목차
1. 상대시가 개괄
2. 구지가
3. 공무도하가
4. 헌화가
2. 구지가
3. 공무도하가
4. 헌화가
본문내용
. 따라서 여기서의 물은 임의 부재와 사랑의 종언(둘째 구)과 임의 죽음(셋째 구)을 나타낸다. 넷째 구는 이별의 정서가 나타난다. 결국 이 가요는 정읍사, 가시리, 서경별곡, 진달래꽃 등으로 그 정서가 이어져 오는 한국 정서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헌화가
어느 노인
작품 원문
딛배 바회
자온손 암쇼 노시고
나 안디 븟리샤
곶 것가 받리이다.
양주동 해석
붉은 바위 끝에
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
나를 부끄러워하지 않으신다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배경 설화
삼국유사 권2 '기이 제이(紀異 第二)' 《수로 부인》편의 배경 설화 중 관련 대목만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성덕왕 시대에 순정공이 강릉 태수로 부임할 적에, 가다가 바닷가에 머물러 점심을 먹었다. 곁에는 돌로 된 산봉우리가 병풍처럼 바다에 다가서 있는데, 높이가 천 길이나 되었고, 그 위에는 철쭉꽃이 무성하게 피어 있었다. 순정공의 부인 수로가 이것을 보고 좌우에 있는 이들에게 말하였다. “꽃을 꺾어다 바칠 사람이 그 누구인고?” 종자(從者)들이 말하였다. “사람의 발자취가 다다를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모두들 불가능하다고 물러섰는데, 그 곁으로 암소를 끌고 지나가던 노옹이 수로 부인의 말을 듣고는 그 꽃을 꺾어 오고 또한 노래를 지어서 바치었다. 그 노옹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었다.
핵심 정리
지은이 : 모름(소를 끌고 가던 노인)
연대 : 신라 성덕왕대 702-737년
형식 : 4구체
내용 : 아름다운 수로 부인을 위해 한 노인이 절벽에 핀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노래이다.
출전 : 삼국유사에 전함
헌화가
어느 노인
작품 원문
딛배 바회
자온손 암쇼 노시고
나 안디 븟리샤
곶 것가 받리이다.
양주동 해석
붉은 바위 끝에
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
나를 부끄러워하지 않으신다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배경 설화
삼국유사 권2 '기이 제이(紀異 第二)' 《수로 부인》편의 배경 설화 중 관련 대목만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성덕왕 시대에 순정공이 강릉 태수로 부임할 적에, 가다가 바닷가에 머물러 점심을 먹었다. 곁에는 돌로 된 산봉우리가 병풍처럼 바다에 다가서 있는데, 높이가 천 길이나 되었고, 그 위에는 철쭉꽃이 무성하게 피어 있었다. 순정공의 부인 수로가 이것을 보고 좌우에 있는 이들에게 말하였다. “꽃을 꺾어다 바칠 사람이 그 누구인고?” 종자(從者)들이 말하였다. “사람의 발자취가 다다를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모두들 불가능하다고 물러섰는데, 그 곁으로 암소를 끌고 지나가던 노옹이 수로 부인의 말을 듣고는 그 꽃을 꺾어 오고 또한 노래를 지어서 바치었다. 그 노옹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었다.
핵심 정리
지은이 : 모름(소를 끌고 가던 노인)
연대 : 신라 성덕왕대 702-737년
형식 : 4구체
내용 : 아름다운 수로 부인을 위해 한 노인이 절벽에 핀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노래이다.
출전 : 삼국유사에 전함
추천자료
방문매너에 대해서
청년기 발달내용 과제 및 문제
날개의 주인공의 심리에 대한 분석 및 고찰
이기철의 '가장 따뜻한 책' 비평
애플의 회생
나만의 적립식 투자 주식 종목 선정하기 요약
[시인 정지용][정지용][정지용 생애][정지용 시 세계][저지용 시 향수][향수][정지용 시 향수...
[구글VS네이버]구글과 네이버 경영비교분석 -구글VS네이버-
(부동산개발사업)서초동고급빌라사업계획서
백석 시의 시교육적·문학 교육적 의의
나도 뉴스다? -새로워진 MBC 주말 뉴스데스크 비평-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에 대한 인지시학적 논고
인지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김소월의 초혼
세종의 음악 사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