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음식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한국의 음식 문화의 특성

2.향토음식

3.절식과 시식 풍습

4.상차림과 식사 예절(상차림, 식사예절)

5.우리나라 식생활의 개선점

본문내용

고 해서 홀수로 만들어 왔다.
① 메 : 제상에 올리는 밥을 말하는데 젯메 또는 멧밥이라고도 한다. 제사 모시기 직전에 흰쌀만으로 새로 지어 뜨거운 밥을 담아 올린다.
② 탕 : 삼탕(三湯)으로 할 경우에는 소탕(육류를 넣지 않고 두부다시마무우 등으로 끓인 탕)육탕(육류를 넣고 끓인 것)어탕(생선류를 넣고 끓인 것)을 쓰고, 오탕으로 할 경우에는 삼탕에다 봉탕잡탕을 더한다..
③ 적 : 소적육적어적의 삼적으로 하거나 여기에다 봉적채소적을 더해 오적으로 한다.
④ 나물 : 고사리도라지고비버섯 등과 계절에 따라 나는 야채를 볶아서 쓴다.
⑤ 침채(沈菜) : 동치미와 같이 색이 없는 것을 쓴다.
⑥ 청장 : 양념을 하지 않은 맑은 장을 쓴다.
⑦ 청밀(淸蜜) : 꿀이나 조청을 쓴다.
⑧ 편 : 백편꿀떡 등을 많이 쓴다.
⑨ 포 : 북어포대구포문어포오징어포육포 등을 쓴다.
⑩ 숙과 : 유과류강정류다식류를 씌되, 붉은 것을 피한다.
⑪ 당속류(糖屬類) : 옥춘오화당원당빙당매화당각당 등.
⑫ 다식 : 송화다식흑임자다식녹말다식 등.
⑬ 정과 : 연근생강유자 등으로 장만한다.
⑭ 과일 : 사과배감밤 등의 생실과와 대추곶감 등의 숙실과를 장만하되 복숭아는 금기로 되어 있다.
⑮ 제조(祭酒)와 갱수: 제조로는 청주를 많이 쓴다. 갱수는 숭늉을 말하는데, 맑고 뜨겁게 않은 것을 올린다. 이밖에 시접(수저와 대접)모사(茅砂) 지방(紙榜)향로촛대 등을 준비한다.
〔전통적인 진설법 예(양위의 경우)〕
①제상의 진설법은 가가례(家家禮)라 할 만큼 지방에 따라, 또 가풍에 따라 달랐다. 그리고 현재의 가정의례준칙에는 많이 간소화되어 있다.
②단위(單位)인 경우에는 잔을 하나 놓고 그 좌측에 메, 우측에 국을 놓았다.
③제상의 맨 앞줄에는 과일을 괴어서 조율시이(棗栗梨) 또는 홍동 백서(紅東白西)의 순으로 놓았다.
④지방 앞줄에는 시접메국을 놓고 그다음부터 적탕채과의 순으로 놓았다.
⑤좌포우혜(左포右醯)라 해서 포는 좌측, 식혜는 우측에 놓았다.
5. 우리 나라 식생활의 개선점
식생활 습관이란 나라에 따라 다르고 기후나 계절에 따라 다르다. 식생활 습관 및 섭취하는 식품의 종류는 우리의 영양상태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따라서 우리의 영양 개선을 위하여 우리가 먹는 식품의 내용을 검토하고 영양 상태를 살펴보아 식생활 개선점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한국요리의 개선점과 식사형식의 개선점을 대강 살펴보기로 하겠다.
1) 한국요리의 개선점
밥을 주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탄수화물의 과잉 섭취상태이다. 특히 백미(쌀)가 다른 곡식보다 많아서 영양이 편중 섭취되고 있다. 국민 영양이나 건강을 위하여 주식을 개선하여 혼식이나 분식으로 국민 영양과 체위를 향상시켜야 하겠다. 축산업과 어업이 선진국에 비해 뒤떨어진 편이어서 질이 좋은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이 부족 되고 있다. 그러나 식물성 식품 중에서 감자류콩류채소류 등은 비교적 풍부하다. 그중 콩류는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두류(豆類)제품을 잘려하여 질이 좋은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도록 해야 한다.
조리방법이 주로 끓이기데치기삶기찌기굽기 등이다. 튀김방법이나 고압솥의 이용으로 연료를 절약하고 조리 시간을 단축시켜 영양 손실을 줄여야 한다. 조리할 대 정확한 분량이 되어 있지 않아 어림짐작이나 눈대중으로 적당히 하므로 조리하는 사람에 따라 맛이 다르고 배우기 힘들기 때문에 이런 습관을 고쳐나가야 한다. 식생활은 조직적이고 능률적으로 계획해서 식단을 다양하게 하여 음식의 섭취를 골고루 하도록 하고 음식에 대해 싫증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겠다.
2) 식사형식의 개선점
반상형식은 날로 복잡해가는 현대생활에서 매일 반복해 나가는데 시간과 노력의 낭비가 많고 번거롭기 때문에 반찬의 가지 수보다 영양 면에 치중하여 보통 식사 때는 3첩정도로 하거나 일품요리로 한다.
부식을 한 그릇에 담아 공동으로 먹지 않고 개인용 접시, 음식을 더는 수저, 필요한 그릇 등을 이용하면 음식을 버리는 일이 없고 위생적이어서 좋다. 또한 외상겸상보다는 온가족이 한자리에 함께 식사할 수 있는 두레상(두리반)을 이용한다. 식탁을 이용하면 편리한 점도 있고 장소를 차지하는 불편한 점도 있긴 하지만 가옥 구조 및 부엌의 개량으로 상을 들고 드나드는 번거로움을 덜어야겠다. 식사는 영양을 공급하고 가족끼리 대화를 나누며 생활의 계획을 세우는 시간이므로 가족 모두가 모여 화목한 분위기에서 식사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해야겠다.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2.25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