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문학과 민중의 발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민중의 발견

3. 배제의 논리와 이분법

4. 주인공 중심주의

5. 마무리

본문내용

시하는 관점과 무관하지 않다. 소설 속의 화자는 "언제나 어떤 정도로든 이념인(理念人, ideologue)"31)으로서 마찬가지로 이념인인 작가와 겹쳐 있는 존재이지만, 작가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주인공을 비롯한 등장인물들의 담론 실현을 열어주고 그것들을 조직하여 시간적, 공간적 질서를 부여함으로써 독자적 세계를 구성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소설의 화자는 작가에 의해서 규정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등장인물들과 그들의 서로 다른 담론들, 그리고 그것을 더 아래쪽에서 규정하는 다양한 사회역사적 관계망에 의해 규정된다. 그는 작가가 소설 속에 설정한 장치이지만 전적으로 작가에게 종속된 존재는 아닌 것이다. 이렇게 살피면 '작가를 대변하는 화자가' '주인공을 통해서' '작가의 이념을 실천한다'는 임화의 기본 관점은 대단히 경직된 성격의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 경직성이 그 자체 하나의 세계인 작품의 내적 질서를 깊이 탐구하는 것을 또한 가로막았다.
어디 임화에게만 국한된 것이겠는가. 임화는 지난 100 년의 한국 민중문학사의 안쪽에 자리잡아 한국 민중문학의 폭과 깊이를 제한했던 주인공 중심주의의 논리적 대변자일 뿐이다.
5. 마무리
한국 민중문학은, 언제나 그랬던 것은 물론 아니지만, 한국사회 변혁운동의 한 부문운동으로서의 문학운동이 생산해낸 것이다. 당연하게도 전체 변혁운동의 구체적 맥락을 떠나서는 그 진정한 의미를 올바르게 파악할 수 없다.
이 짧은 글에서 나는 그 맥락을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이것은 이 글의 결정적인 한계이다. 그러나 운동의 역사와 무관한 문학의 역사가 존재하며, 그 문학의 역사를 운동의 역사로부터 떼어내 살피는 일 또한 중요한 의의가 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문학의 장에서는 결국 작품이 남아 후대의 문학을 향해 발언하는 것이며, 그 전후의 작품들이 모여 나름의 질서를 이루고 새로운 문학의 역사를 열어나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거듭 밝히는 것이지만, 이 글이 한국 민중문학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해서 한국 민중문학의 성취를 부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변혁의 20세기가 낳은 정치적 변혁문학인 민중문학으로 인해 한국문학사는 한국사회와 그 속을 살아가는 한국인들의 의식과 삶을 전체적구조적으로 성찰하는 문학을 가질 수 있게 되었으며 한 사회의 근본 변혁을 향해 자기갱신을 거듭하며 나아가는 이타적 정신들의 열정에 찬 행로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역동의 세계를 지닐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2.25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5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