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벼룩을 이용한 조기경보체계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또는 오존처리시 생성되는 부산물의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천수에서의 부산물 생성실험과 같은 조건으로 실험군을 구분하고 각각의 산화제로 처리한 후 LUMIStox를이용하여 발광미생물의 발광저해율을 측정함으로써 혼합독성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환경오염의 우려가 예상되는 유해화학물질이 정수처리과정에 의하여 분해 되거나 새로운 부산물(DBPS)이 생성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yrene이 포함된 하천수는 염소 및 오존처리시 모두 부산물(benzaldehyde)이 생성되므로 활성탄처리한다. 둘째, Phenol 및 Benzene 등이 포함된 하천수는 염소처리시chorophenol 류 및 Dichlorobenzen과 같은 부산물이 생성하므로 오존처리를 한 후 활성탄 흡착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셋째, Bromoform이 포함된 하천수는 오존처리를 한 결과 C6~C10의 aldehydes가 생성되므로 염소처리를 한 후 활성탄흡착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LUMIStox혼합독성 스크리닝 시험결과염소처리에 의한 독성이 값 이 오존처리에 의한 것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오존처리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2.2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