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작과 배경
2. 발전
1) 해외
2) 국내
3. 주요사례
3. 특징
4. 현황
5. 의의
6. 맺음말
2. 발전
1) 해외
2) 국내
3. 주요사례
3. 특징
4. 현황
5. 의의
6. 맺음말
본문내용
내어 책을 함께 읽거나 이를 감상하고 토론하는 행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런 일련의 일이 마치 축제처럼 진행된다는 점에서 책의 가치를 다수의 구성원들이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의 마당을 만들었다는 것만으로도 한 책 운동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해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런데 한 책 운동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문화적 네트워크를 이루는 데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다.
6. 맺음말
지금까지 살펴 본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은 1998년 시애틀에서 처음 시작되고 2001년 시카고의 '한 책, 한 시카고' 프로젝트를 통하여 미국 전역 및 해외로까지 확산된 개혁적 독서운동이다.
지역사회에서 읽고 토론할 대상으로 선정된 '한 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대체로 1990년대 이후 최근에 간행된 것들이며, 미국과 같은 다민족, 다문화 사회에서 유색인종과 이민자의 경험에 대한 주제적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소설의 비중이 절대적이지만 개별장르로서는 전기의 중요성이 상당히 컸다. 전기 작품 혹은 전기적 특성을 가진 소설작품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의 삶을 체험하게 하고, '공유된 경험의 통로'를 갖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데 '한 책' 독서운동의 중요성이 있다.
'한 책' 독서운동은 대부분 공공도서관이 주체가 되어 주관하고 있지만, 지역사회의 정부, 각종 기관이나 단체 및 시민 개개인의 적극적 협력으로 진행될 때에 더욱 튼 성과를 거두게 된다. 또한 주요한 '한 책' 독서운동의 사례에서 보이는 것처럼 책과 다양한 매체를 결합하고 각종 프로그램과 활동을 활용함으로써 인쇄 텍스트를 읽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은 '읽기'의 경험을 확대시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전국적으로 공공도서관 및 사서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도서관의 역할과 사회참여에 대한 관·민의 의식이 너무도 열악한 국내 상황에서, 더욱이 '적게 읽고 많이이 배우라(Read Less, Learn More)'는 것이 이른바 '지식인'의 목표이어야 한다고 선동하는 이 사회에서 다른 나라에서 성공적으로 채택된 '한 책' 독서운동의 모형이 빠르게 확산도리 것을 기대하긴 어려운 여건이다. 이런 상황에서 서산이나 부산의 '한 책' 독서운동은 개별 사례로서 보고되었을 뿐, 전체적 특성이 분석되지 않았어도 국내에서도 '한 책' 독서운동이 성공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의 마당을 만들었다는 것만으로도 한 책 운동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해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런데 한 책 운동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문화적 네트워크를 이루는 데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다.
6. 맺음말
지금까지 살펴 본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은 1998년 시애틀에서 처음 시작되고 2001년 시카고의 '한 책, 한 시카고' 프로젝트를 통하여 미국 전역 및 해외로까지 확산된 개혁적 독서운동이다.
지역사회에서 읽고 토론할 대상으로 선정된 '한 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대체로 1990년대 이후 최근에 간행된 것들이며, 미국과 같은 다민족, 다문화 사회에서 유색인종과 이민자의 경험에 대한 주제적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소설의 비중이 절대적이지만 개별장르로서는 전기의 중요성이 상당히 컸다. 전기 작품 혹은 전기적 특성을 가진 소설작품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의 삶을 체험하게 하고, '공유된 경험의 통로'를 갖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데 '한 책' 독서운동의 중요성이 있다.
'한 책' 독서운동은 대부분 공공도서관이 주체가 되어 주관하고 있지만, 지역사회의 정부, 각종 기관이나 단체 및 시민 개개인의 적극적 협력으로 진행될 때에 더욱 튼 성과를 거두게 된다. 또한 주요한 '한 책' 독서운동의 사례에서 보이는 것처럼 책과 다양한 매체를 결합하고 각종 프로그램과 활동을 활용함으로써 인쇄 텍스트를 읽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은 '읽기'의 경험을 확대시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전국적으로 공공도서관 및 사서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도서관의 역할과 사회참여에 대한 관·민의 의식이 너무도 열악한 국내 상황에서, 더욱이 '적게 읽고 많이이 배우라(Read Less, Learn More)'는 것이 이른바 '지식인'의 목표이어야 한다고 선동하는 이 사회에서 다른 나라에서 성공적으로 채택된 '한 책' 독서운동의 모형이 빠르게 확산도리 것을 기대하긴 어려운 여건이다. 이런 상황에서 서산이나 부산의 '한 책' 독서운동은 개별 사례로서 보고되었을 뿐, 전체적 특성이 분석되지 않았어도 국내에서도 '한 책' 독서운동이 성공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추천자료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
표현주의 예술과 도시
행정수도이전 문제와 행정도시특별법에 대한 분석 및 나의 의견
'행정중심 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연구
기업의 지방이전과 혁신도시 건설
고대 그리스 도시계획
EU 국가 도시문화 정책
[행정]도시공공서비스의 정치경제
파주 운정 신도시 개발계획
인구집중으로 인한 도시문제의 유형과 해결 방안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의 정의 및 핵가족화의 사회문제에 대해 논의.
[건축] 도시재개발과 지역사회개발.ppt
[건축과 도시설계] 근린주구 이론 (Who is Clarence perry & what are the characteristi...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