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위험요인
Ⅳ. 종류
Ⅴ. 증상
Ⅵ. 진단
Ⅶ. 치료
Ⅶ. 합병증
Ⅷ. 간호중재
Ⅱ. 원인
Ⅲ. 위험요인
Ⅳ. 종류
Ⅴ. 증상
Ⅵ. 진단
Ⅶ. 치료
Ⅶ. 합병증
Ⅷ. 간호중재
본문내용
(4) 파트너에게 검사와 치료를 받을 것을 교육
(5) 상대방이 완치될 때까지 성 관계를 갖지 않아야 함을 교육
3. 성교 교육
(1) 성 관계를 갖지 않는다.
(2) 피부 접촉이 완전히 끝날 때까지 모든 성 관계 시에 콘돔을 착용한다.
(3) 일대일의 관계를 유지한다. 성적 상대가 많으면 골반염을 포함한 성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짐
(4) 성병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다. 증상이 없더라도 부적절한 관계 후에는 성병에 대한 검사를 받는다.
(5) 성병이 있다면 모든 사람이 치료되기 전까지 성 관계를 삼간다.서로 전염되는 순환고리를 근절시키기 위해서는 남녀 모두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6) 골반염은 음경이나 혀가 질, 입, 직장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도 전염될 수 있으므로 피부접촉이 완전히 끝나는 시점까지 콘돔을 착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7) 치료하는 동안 뒷물을 하지 않는다. 염증의 회복이 지연됨
4. 더운 물주머니를 1회에 20분간, 하루에 2번 정도씩 아랫배에 대어준다.
-> 더운물 목욕은 질내 분비물을 깨끗이 하고, 근육을 이완시켜 편안하게 해준다
5. 아침, 저녁으로 체온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6. 의사 지시없이 약을 복용하지 않고. 음주를 삼간다.
7. 청결한 위생상태
8. 조기치료와 추후방문의 중요성 강조
9. 생식력이 잠재적 또는 실제적으로 상실될 수 있고 자아개념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적응하도록 지지적 간호 제공
<참고자료>
<참고문헌>
박문일. 부인병 알아야 이긴다, 흥신문화사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 2], 현문사, 2001
백동호. [병리학], 대한병리학회 편, 고문사, 2003
여성건강교과간호연구회 편집부. [여성건강간호학 2], 수문사, 2006
<참고 인터넷 사이트>
http://stdinfo.net/std/pid/pid.jsp
http://pregnancyok.com/html/04common_09.htm
http://www.jeilobgy.co.kr/html/genaral/general5.htm
http://www.hsrh.co.kr/pages/obsgyne/gynecology/genital_pelvis.htm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kspid=HI000299&disease=148
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위험요인
Ⅳ. 종류
Ⅴ. 증상
Ⅵ. 진단
Ⅶ. 치료
Ⅶ. 합병증
Ⅷ. 간호중재
(5) 상대방이 완치될 때까지 성 관계를 갖지 않아야 함을 교육
3. 성교 교육
(1) 성 관계를 갖지 않는다.
(2) 피부 접촉이 완전히 끝날 때까지 모든 성 관계 시에 콘돔을 착용한다.
(3) 일대일의 관계를 유지한다. 성적 상대가 많으면 골반염을 포함한 성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짐
(4) 성병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다. 증상이 없더라도 부적절한 관계 후에는 성병에 대한 검사를 받는다.
(5) 성병이 있다면 모든 사람이 치료되기 전까지 성 관계를 삼간다.서로 전염되는 순환고리를 근절시키기 위해서는 남녀 모두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6) 골반염은 음경이나 혀가 질, 입, 직장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도 전염될 수 있으므로 피부접촉이 완전히 끝나는 시점까지 콘돔을 착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7) 치료하는 동안 뒷물을 하지 않는다. 염증의 회복이 지연됨
4. 더운 물주머니를 1회에 20분간, 하루에 2번 정도씩 아랫배에 대어준다.
-> 더운물 목욕은 질내 분비물을 깨끗이 하고, 근육을 이완시켜 편안하게 해준다
5. 아침, 저녁으로 체온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6. 의사 지시없이 약을 복용하지 않고. 음주를 삼간다.
7. 청결한 위생상태
8. 조기치료와 추후방문의 중요성 강조
9. 생식력이 잠재적 또는 실제적으로 상실될 수 있고 자아개념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적응하도록 지지적 간호 제공
<참고자료>
<참고문헌>
박문일. 부인병 알아야 이긴다, 흥신문화사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 2], 현문사, 2001
백동호. [병리학], 대한병리학회 편, 고문사, 2003
여성건강교과간호연구회 편집부. [여성건강간호학 2], 수문사, 2006
<참고 인터넷 사이트>
http://stdinfo.net/std/pid/pid.jsp
http://pregnancyok.com/html/04common_09.htm
http://www.jeilobgy.co.kr/html/genaral/general5.htm
http://www.hsrh.co.kr/pages/obsgyne/gynecology/genital_pelvis.htm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kspid=HI000299&disease=148
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위험요인
Ⅳ. 종류
Ⅴ. 증상
Ⅵ. 진단
Ⅶ. 치료
Ⅶ. 합병증
Ⅷ. 간호중재
추천자료
피임과 불임에 대한 레포트
자궁근종 case study
성문제와 낙태 그리고 임신과 섹스에 관하여
골반내 염증 질환 PELVIC INFLAMMATORY DISEASE
자궁적출수술 환자 케이스사례 보고
여성 생식계
여성생식기
[자궁근종, leiomyoma of uterus] 간호과정, Case Study입니다.
자궁적출술(수술실)
수술대상자 케이스 - TA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복식 전 자궁 절제술
OR - myoma uteri LAVH,TAH
여성간호 병동 case study - 자궁근종((A+ 칭찬받은자료))
[성인간호학]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복강경 ...
문헌고찰 아두골반 불균형 제왕절개 cpd cse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