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1.1. 동물실험 이 시작된 배경
1.2. 동물실험에 대한 찬반 논란
2. 윤리적 쟁점
2.1. 약육강식의 논리
2.2. 동물을 위한 동물실험
2.3. 육식 금지가 선행되어야
2.4. 과연 동물실험은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가?
2.4.1. 인간과 다른 동물의 생명 가치 비교
2.4.2. 정당화 될 수 없는 동물실험
2.4.3. 위험전이 세계
3. 효과적 쟁점
3.1 동물실험으로 개발된 약에 대한 과대망상
3.1.1. 동물과 인간의 차이
3.1.2. 거짓 부정과 거짓 긍정
3.1.3. 소결
3.2. 자본의 측면에서 살펴본 동물실험
3.2.1. 고등교육의 엔진 : 동물실험에 대한 교수와 대학의 필요
3.2.2. 엔진 출력 높이기 : 동물실험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
3.2.3. 거대산업의 지배력 : 산업으로서의 동물실험
3.2.4. 통찰력있는 소비자 되기
3.3. 동물 실험의 대안들에 대한 고찰
3.3.1. 동물 실험의 일반적인 대안들
3.3.2. 의약품 개발에서 동물 모델 테스팅의 대안들
4. 결론
4.1. 요약
4.2. 소결
1.1. 동물실험 이 시작된 배경
1.2. 동물실험에 대한 찬반 논란
2. 윤리적 쟁점
2.1. 약육강식의 논리
2.2. 동물을 위한 동물실험
2.3. 육식 금지가 선행되어야
2.4. 과연 동물실험은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가?
2.4.1. 인간과 다른 동물의 생명 가치 비교
2.4.2. 정당화 될 수 없는 동물실험
2.4.3. 위험전이 세계
3. 효과적 쟁점
3.1 동물실험으로 개발된 약에 대한 과대망상
3.1.1. 동물과 인간의 차이
3.1.2. 거짓 부정과 거짓 긍정
3.1.3. 소결
3.2. 자본의 측면에서 살펴본 동물실험
3.2.1. 고등교육의 엔진 : 동물실험에 대한 교수와 대학의 필요
3.2.2. 엔진 출력 높이기 : 동물실험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
3.2.3. 거대산업의 지배력 : 산업으로서의 동물실험
3.2.4. 통찰력있는 소비자 되기
3.3. 동물 실험의 대안들에 대한 고찰
3.3.1. 동물 실험의 일반적인 대안들
3.3.2. 의약품 개발에서 동물 모델 테스팅의 대안들
4. 결론
4.1. 요약
4.2. 소결
본문내용
한 동물실험
3.육식 우선금지
1.자연법칙은 윤리법칙에 적용 불가
2.동물의 의지와 무관
3.논점 일탈의 오류
현실적
실효성
1.불치병 환자에 대한 희망 부여 가능
2.동물실험결과의 성과 및 노벨상 수상자
3.실효성 있는 대안의 부재
1.거짓긍정과 거짓부정
2.연구비를 위한 동물실험
3.대안은 있다!
윤리적 측면에서 동물실험을 살펴보면, 적자생존을 이유로 동물실험을 자연적인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자연법칙에 근거해 윤리법칙을 주장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으며,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약육강식이라는 자연법칙으로 인간의 동물실험을 정당화시킬 수는 없다. 동물실험을 위한 동물실험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외계의 어떤 존재가 사람을 상대로 임의로 생체실험을 할 수 없다고 한다면, 황금률에 따라 동물을 대상으로 행하는 실험 역시 동물의 동의 없이는 할 수 없다는 윤리적 결론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는 반박이 가능하다. 동물실험을 통해 희생되는 동물보다 육식에 의해 희생되는 동물이 훨씬 많으므로 육식부터 금지하라는 주장은, 채식만으로도 지금보다 더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기 때문에 별개의 사실을 주장하는 논점 일탈의 오류를 범하는 주장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이고 실효적인 측면에서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동물실험이 불치병 환자에 대한 희망 부여가 가능하다는 주장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반박은 『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4장의 내용을 들어 가능하다. 여러 사례들을 보면 동물실험을 통해 테스트된 약들이 우리 인간에게 동일한 반응을 보일지 전혀 보장할 수 없고, 동물실험을 통해야 한다는 제약 때문에 좋은 약들을 놓치고 있다는 것이다. 동물실험이 효과가 없는 것이라면 동물실험을 통한 여러 성과와 노벨상 수상자는 어떻게 설명한 것인가? 라는 물음은『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5장의 내용을 통해 답이 가능하다. 동물실험은 여러 이익집단과 과련 되어 있고, 거대한 자본의 논리가 이 분야를 지배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동물실험을 금지한다면 그 대안이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6장의 내용이다. 일반적인 동물실험의 대안으로는 시체해부 연구, 임상학적 연구, 역학, 시험관 연구,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있고, 신약 개발에서 동물 모델 테스팅의 대안이라고 한다면, 박테리아 연구,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과 수학적 모델링, 가능성 있는 약품에 대한 생화학적 분석, 세포 생존 가능성 테스팅, 하위세포 활동 분석이 있다. 여러 대안들을 총체적으로 시행하면 확실히 동물실험 보다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서 윤리적인 측면에서 동물실험이 정당한가를 따져보았다. 이는 인간과 동물의 가치 비교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통해 자의식을 가지고, 적극적 미래를 가지는 인간의 생명이 다른 동물의 생명보다 우선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렇다면 동물실험을 통해 보다 우선하는 인간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면 동물실험이 정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을까? 한 인간의 생명을 위해 동물실험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에 희생되는 동물의 수는 상당한 수가 될 것인데, 인간 생명의 우선권은 다른 동물 하나의 생명과 비교했을 때 생기는 것이지 다른 동물 생명의 여럿과 비교했을 때도 우선권을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동물실험에 인간의 생명이 걸린 절실한 상황이라 하더라도 희생되는 동물이 많다면 정당성을 잃게 된다.
또 다른 이유로, 공평한 자리에서 위험전이 원칙에 따른 세계를 선택하는 것이 불합리하다면 인간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동물의 생명을 빼앗는 것도 불합리한 것이 된다. 이는 동물실험이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4.2. 소결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동물실험이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전제가 충족되는 경우에서는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로 동물의 생리와 인간의 생리가 정확히 일치하고, 둘째로 한 동물의 희생이 가져다주는 결과가 그 동물의 희생보다 더 긍정적인 경우에는 동물실험은 인정될 수 있다. 이런 전제가 만족되는 경우에는 동물실험이 인간실험을 대신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고 그 결과가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이러한 전제를 만족할 만한 사례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앞서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동물실험의 시작은 인간과 동물 간의 표면적 유사성에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본론에서 살펴보았듯이 동물과 인간의 생리적 기전은 확연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심지어 종마다 차이는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동물실험을 통해 인간의 생리적인 현상을 밝힌다는 것은 말 그대로 비합리적이다. 거짓긍정과 거짓부정의 사례는 이런 비합리적인 사고의 결과물인 것이다.
그렇다면 동물실험은 금지되는 것이 옳다. 존재성이 매우 미비한 동물과 인간 간의 공통적인 생리적 기전을 위해 동물실험을 허용한다는 것은 그 효과와 결과물에 비해 희생되는 가치가 너무나도 거대하다. 이런 상황에서는 전면금지가 더욱 긍정적인 결과라고 감히 단정한다. 게다가 본론에서 언급하였듯이 대안마저도 존재한다. 그것도 다채롭게 말이다. 이런 대안들은 상황에 맞게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는 유연성의 측면만 보아도 동물실험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을 짐작하게 해준다. 인간의 생리에 맞는 실험방식을 채택하는 것, 이것이 본디 인간실험이 가야할 방향이기에 이에 따라 어긋난 길을 걷고 있던 동물실험에 대한 금지를 주장하는 바이다.
항상 그러하듯이 너무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이를 때이다.
5. 참고문헌
김진석.『동물의 권리와 복지』.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5.
DesJardins, J. R.『환경윤리의 이론과 전망』. 서울: 자작아카데미, 1999.
Greek, C. Ray and Jean Swingle Greek.『가면을 쓴 과학 동물실험』. 서울: 다른세상, 2006.
.『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 서울: 다른세상, 2005.
Rowlands, Mark.『동물의 역습』. 서울: 달팽이, 2004.
Singer, Peter.『동물해방』.
.『실천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9.
3.육식 우선금지
1.자연법칙은 윤리법칙에 적용 불가
2.동물의 의지와 무관
3.논점 일탈의 오류
현실적
실효성
1.불치병 환자에 대한 희망 부여 가능
2.동물실험결과의 성과 및 노벨상 수상자
3.실효성 있는 대안의 부재
1.거짓긍정과 거짓부정
2.연구비를 위한 동물실험
3.대안은 있다!
윤리적 측면에서 동물실험을 살펴보면, 적자생존을 이유로 동물실험을 자연적인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자연법칙에 근거해 윤리법칙을 주장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으며,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약육강식이라는 자연법칙으로 인간의 동물실험을 정당화시킬 수는 없다. 동물실험을 위한 동물실험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외계의 어떤 존재가 사람을 상대로 임의로 생체실험을 할 수 없다고 한다면, 황금률에 따라 동물을 대상으로 행하는 실험 역시 동물의 동의 없이는 할 수 없다는 윤리적 결론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는 반박이 가능하다. 동물실험을 통해 희생되는 동물보다 육식에 의해 희생되는 동물이 훨씬 많으므로 육식부터 금지하라는 주장은, 채식만으로도 지금보다 더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기 때문에 별개의 사실을 주장하는 논점 일탈의 오류를 범하는 주장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이고 실효적인 측면에서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동물실험이 불치병 환자에 대한 희망 부여가 가능하다는 주장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반박은 『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4장의 내용을 들어 가능하다. 여러 사례들을 보면 동물실험을 통해 테스트된 약들이 우리 인간에게 동일한 반응을 보일지 전혀 보장할 수 없고, 동물실험을 통해야 한다는 제약 때문에 좋은 약들을 놓치고 있다는 것이다. 동물실험이 효과가 없는 것이라면 동물실험을 통한 여러 성과와 노벨상 수상자는 어떻게 설명한 것인가? 라는 물음은『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5장의 내용을 통해 답이 가능하다. 동물실험은 여러 이익집단과 과련 되어 있고, 거대한 자본의 논리가 이 분야를 지배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동물실험을 금지한다면 그 대안이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6장의 내용이다. 일반적인 동물실험의 대안으로는 시체해부 연구, 임상학적 연구, 역학, 시험관 연구,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있고, 신약 개발에서 동물 모델 테스팅의 대안이라고 한다면, 박테리아 연구,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과 수학적 모델링, 가능성 있는 약품에 대한 생화학적 분석, 세포 생존 가능성 테스팅, 하위세포 활동 분석이 있다. 여러 대안들을 총체적으로 시행하면 확실히 동물실험 보다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서 윤리적인 측면에서 동물실험이 정당한가를 따져보았다. 이는 인간과 동물의 가치 비교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통해 자의식을 가지고, 적극적 미래를 가지는 인간의 생명이 다른 동물의 생명보다 우선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렇다면 동물실험을 통해 보다 우선하는 인간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면 동물실험이 정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을까? 한 인간의 생명을 위해 동물실험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에 희생되는 동물의 수는 상당한 수가 될 것인데, 인간 생명의 우선권은 다른 동물 하나의 생명과 비교했을 때 생기는 것이지 다른 동물 생명의 여럿과 비교했을 때도 우선권을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동물실험에 인간의 생명이 걸린 절실한 상황이라 하더라도 희생되는 동물이 많다면 정당성을 잃게 된다.
또 다른 이유로, 공평한 자리에서 위험전이 원칙에 따른 세계를 선택하는 것이 불합리하다면 인간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동물의 생명을 빼앗는 것도 불합리한 것이 된다. 이는 동물실험이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4.2. 소결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동물실험이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전제가 충족되는 경우에서는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로 동물의 생리와 인간의 생리가 정확히 일치하고, 둘째로 한 동물의 희생이 가져다주는 결과가 그 동물의 희생보다 더 긍정적인 경우에는 동물실험은 인정될 수 있다. 이런 전제가 만족되는 경우에는 동물실험이 인간실험을 대신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고 그 결과가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이러한 전제를 만족할 만한 사례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앞서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동물실험의 시작은 인간과 동물 간의 표면적 유사성에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본론에서 살펴보았듯이 동물과 인간의 생리적 기전은 확연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심지어 종마다 차이는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동물실험을 통해 인간의 생리적인 현상을 밝힌다는 것은 말 그대로 비합리적이다. 거짓긍정과 거짓부정의 사례는 이런 비합리적인 사고의 결과물인 것이다.
그렇다면 동물실험은 금지되는 것이 옳다. 존재성이 매우 미비한 동물과 인간 간의 공통적인 생리적 기전을 위해 동물실험을 허용한다는 것은 그 효과와 결과물에 비해 희생되는 가치가 너무나도 거대하다. 이런 상황에서는 전면금지가 더욱 긍정적인 결과라고 감히 단정한다. 게다가 본론에서 언급하였듯이 대안마저도 존재한다. 그것도 다채롭게 말이다. 이런 대안들은 상황에 맞게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는 유연성의 측면만 보아도 동물실험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을 짐작하게 해준다. 인간의 생리에 맞는 실험방식을 채택하는 것, 이것이 본디 인간실험이 가야할 방향이기에 이에 따라 어긋난 길을 걷고 있던 동물실험에 대한 금지를 주장하는 바이다.
항상 그러하듯이 너무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이를 때이다.
5. 참고문헌
김진석.『동물의 권리와 복지』.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5.
DesJardins, J. R.『환경윤리의 이론과 전망』. 서울: 자작아카데미, 1999.
Greek, C. Ray and Jean Swingle Greek.『가면을 쓴 과학 동물실험』. 서울: 다른세상, 2006.
.『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 서울: 다른세상, 2005.
Rowlands, Mark.『동물의 역습』. 서울: 달팽이, 2004.
Singer, Peter.『동물해방』.
.『실천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9.
추천자료
[식품분석 및 실험] 유지의 화학적 성질
(생명윤리) 인체실험의 정의, 문제점, 정당화 조건, 법규, 우리의 견해
스키너의 조건형성 실험과 그 의미
동물해방과 동물의 권리
[동물육종학 -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동물육종 및 개량방법]
흰쥐에서 콜레스테롤 첨가 고지방식이와 대조식이의 비교를 통한 건강기능평가 실험
[NGO 분석] 동물자유연대 (동물보호 단체의 등장, 설립배경, 동물자유연대 핵심가치, 연혁, ...
탄수화물의 검출 및 소화효소 : 화학적 반응실험으로 탄수화물을 검정하고, 아밀라아제로 pH ...
[일반생물학 및 실험보고서 Experiment Report] 현미경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
[동물행동학이론] 동물행동학적 이론 - 로렌츠(Lorenz)의 각인이론, 보울비(Bowlby)의 애착이...
[동물생태학이론] 동물생태학적 이론 - 동물생태학의 주요개념(본능과 각인), 보울비(Bowlby)...
[동물행동학이론] 동물행동학적 이론 - 로렌츠의 각인이론, 보울비의 애착이론, 윌슨의 사회...
[동물매개심리치료] 동물매개치료의 역사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