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몸짓으로 표현하는 또 다른 韓流 B-Boying
■ PROLOGUE
■ THE TEXT
■ EPILOGUE
■ PROLOGUE
■ THE TEXT
■ EPILOGUE
본문내용
다. "한국은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중국, 인도 등과 비교 할 때 외국에서는 그다지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며 국가 차원의 홍보 마케팅의 부재를 지적한 내용인데 그는 그에 대한 해법으로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뿐만 아니라 일본과 대만에서도 한국 드라마와 영화에 대한 인기를 언급하며 "일본이 경제력에선 한국에 앞서 있지만 한국과 같은 드라마를 만들지 못하므로 지금과 같은 영화나 문화한류를 상업화 해야 한다"고 했다.
굳이 저명인사의 칼럼이 아니더라도 좋은 기회를 살리지 못한 다른 나라의 시행착오를 우린 종종 보아왔다. 대표적인 예가 홍콩의 영화 산업일 것이다.
태극기를 흔들며 환호하는 유럽 관객들(위)
유럽의 젊은이들이 한국 B-Boy들로 인하여 ‘코리아’를 외치고 스스로 준비한 태극기를 흔들며 한국을 배워가고 있는 것이다. 행사장 주변에서 만난 이탈리아 젊은이들이 ‘대한민국, 동대문, 두타,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를 줄줄이 외우는 것을 보면 이것은 유럽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또 다른 한류의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에겐 아직까지 B-Boying을 뒷골목, 또는 음지문화로 받아들이는 기성세대는 분명 존재한다.. 하지만 그런 불모지에서도 그들은 지금의 한류를 생산해 왔다. 동남아에서 극동으로.. 극동에서 유럽으로 말이다. 이제 유럽에서 불고 있는 작은 한류를 단순히 그들만의 문화로 인식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의 공감이 형성되고 있음은 작은 변화라 할 것이다.. 이미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B-Boy 유닛 대회를 후원하고 있으며 한국 관광공사 역시 위에 언급한 "B-Boy를 사랑한 발레리나"를 외국 관광객 대상 패키지 상품과 추천 공연으로 선정하고 있다고 한다. 굴지의 기업들 또한 B-Boy를 활용한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효성 그룹은 지난 해 Battle of the year 우승팀인Last for one 팀의 1년 공식 계약 스폰서로 체결 되었으니 말이다.
월드컵, 올림픽, 각종 세계 스포츠 대회만이 한국의 이름을 알리는 것이 아니다.. 이제 우리는 지금까지 새로운 문화 코드였던 B-Boying이 대중 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아낌없는 관심과 사랑을 주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젊은 세대와 기성 세대를 구분하지 않는 작은 시작. 몸짓으로 표현하는 아름다운 언어 B-Boying으로 한국의 문화 강국 의지가 꿈이 아닌 유럽 제 2의 한류로 성장 해 나갈 것이다.
굳이 저명인사의 칼럼이 아니더라도 좋은 기회를 살리지 못한 다른 나라의 시행착오를 우린 종종 보아왔다. 대표적인 예가 홍콩의 영화 산업일 것이다.
태극기를 흔들며 환호하는 유럽 관객들(위)
유럽의 젊은이들이 한국 B-Boy들로 인하여 ‘코리아’를 외치고 스스로 준비한 태극기를 흔들며 한국을 배워가고 있는 것이다. 행사장 주변에서 만난 이탈리아 젊은이들이 ‘대한민국, 동대문, 두타,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를 줄줄이 외우는 것을 보면 이것은 유럽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또 다른 한류의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에겐 아직까지 B-Boying을 뒷골목, 또는 음지문화로 받아들이는 기성세대는 분명 존재한다.. 하지만 그런 불모지에서도 그들은 지금의 한류를 생산해 왔다. 동남아에서 극동으로.. 극동에서 유럽으로 말이다. 이제 유럽에서 불고 있는 작은 한류를 단순히 그들만의 문화로 인식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의 공감이 형성되고 있음은 작은 변화라 할 것이다.. 이미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B-Boy 유닛 대회를 후원하고 있으며 한국 관광공사 역시 위에 언급한 "B-Boy를 사랑한 발레리나"를 외국 관광객 대상 패키지 상품과 추천 공연으로 선정하고 있다고 한다. 굴지의 기업들 또한 B-Boy를 활용한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효성 그룹은 지난 해 Battle of the year 우승팀인Last for one 팀의 1년 공식 계약 스폰서로 체결 되었으니 말이다.
월드컵, 올림픽, 각종 세계 스포츠 대회만이 한국의 이름을 알리는 것이 아니다.. 이제 우리는 지금까지 새로운 문화 코드였던 B-Boying이 대중 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아낌없는 관심과 사랑을 주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젊은 세대와 기성 세대를 구분하지 않는 작은 시작. 몸짓으로 표현하는 아름다운 언어 B-Boying으로 한국의 문화 강국 의지가 꿈이 아닌 유럽 제 2의 한류로 성장 해 나갈 것이다.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이해 - 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일본 여성들은 왜 한류에 열광하는가?
‘한류(韓流)’와 동아시아 - 동아시아의 화해와 소통의 가능성에 대해서
‘음식 한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글로벌 한류와 혁신 전략
한국 TV 드라마와 한류
베트남 내 한류형성의 배경과 원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대중문화]한류현상의 특징 및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과제
[세계의풍속과문화] 세계속의 한류 현상 내용과 성격
엔터테인먼트와 산업의 이해와 제2의 한류 성공전략 최종(아이돌가수중심)
k-pop 열풍
K-POP의 국가별 열풍 현황과 향후전략
필리핀이나 베트남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보다 한국의 문화를 더 좋아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
필리핀이나 베트남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보다 한국의 문화를 더 좋아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