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황장애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황장애란 무엇인가?

2. 공황장애의 원인
1)생물학적 원인
2)심리학적 원인

3. 공황장애의 진행과정
제1기 증상발현 단계
제2기 공황단계
제3기 건강염려 단계
제4기 제한적 공포증 단계
제5기 사회공포증 단계
제6기 임소공포증 단계
제7기 우울증 단계

4. 공황장애는 어떻게 치료하는 것인가?
◈ 질병의 증상 (초기 증상부터 단계적 증상)
◈ 질병의 원인
◈ 진단 방법
◈ 진단을 위해 필요한 검사들
◈ 치료의 부작용
◈ 환자들이 가장 많이 하게 되는 질문들 (답변 포함)

★유발요인

본문내용

때 불안 증상을 보이고, 공황발작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갑상선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그 밖에 우울증이나 다른 정신과적 장애가 있는지 심리검사를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치료의 부작용
인지행동요법의 부작용은 전혀 없습니다.
단, 약물요법 중 항불안제는 정교한 작업을 할 때 지장을 주기 때문에 처음 약을 복용하고 운전을 할 때 주의하셔야 합니다. 3개월 이상 장기간 약을 복용하면 습관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는 체중감소, 성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습관성은 없는 아주 안전한 약입니다.
◈ 환자들이 가장 많이 하게 되는 질문들 (답변 포함)
심장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닌가요?
답변) 그렇지 않습니다. 심장이 빨리 뛰고, 가슴이 답답하지만 심장의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교감신경이 흥분이 되어 심장 박동수가 빨라지는 것입니다.
공황발작이 심해지면 미치지 않을까요?
답변) 공황장애가 심해지더라도 결코 미치지 않으니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공황 상태에 정신이 흐릿한 것 같고, 멍해지는데 일시적으로 느껴지는 것입니다. 결국은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약물치료를 받으면 중독이 되는 것이 아닌가요?
답변) 항불안제는 습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의해서 사용을 해야 합니다. 3개월 정도 복용하고 서서히 감량해서 끊는 것이 좋습니다. 항불안제를 끊는 대신에 습관성이 없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를 복용하시면 좋습니다. 나중에 항불안제를 끊은 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는 약 12개월 정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는 습관성이 없기 때문에 쉽게 끊을 수 있습니다.
공황발작으로 죽지는 않을까요?
답변) 공황발작 중 숨쉬기 곤란하여 곧 죽을 것 같이 느껴지는데 절대로 공황발작으로 죽지 않습니다. 그렇게 두려워하기 때문에 더욱 교감신경계가 흥분이 되어 공황발작이 더 잘 발생하게 됩니다. 안심하십시오.
정신과 약물은 해롭지 않습니까?
답변) 정신과 약물은 다른 과 약물보다 더 안전하고 인체에 나쁜 영향을 거의 주지 않습니다. 항불안제도 습관성이 있다는 점만 빼면 매우 안전한 약입니다. 그래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3개월 정도 복용한 후 서서히 끊으면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치료가 될 수 있나요?
답변) 비교적 치료가 잘 되는 병이니 조속히 정신과 의사를 찾으십시오.
우황청심환 등 한약제가 도움이 됩니까?
답변)일시적으로 불안을 가라앉혀주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지속적인 효과가 있을지는 의심스럽습니다.
★유발요인
이러한 공황장애를 더욱 잘 유발시키는 요인들이 분명 있습니다. 첫째는 스트레스로 인해 만성적으로 긴장되거나 예민한 상태에 있을 때 환자는 조그만 외부환경 변화에도 쉽게 지나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 환자의 약 80%에서 스트레스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환경적으로 공황장애를 잘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공기소통이 잘 안되는 장소, 차를 타거나 승강기가 올라갈 때처럼 어지럼이 잘 일어날 수 있는 환경, 백화점처럼 밝고 넓은 공간, 방향성이 있는 강한 냄새를 맡을 때, 집에서 멀리 떠나 있을 때, 장례식이나 중환자실처럼 죽음에 대한 공포를 자극할 수 있는 환경등입니다. 세번째는 완전한 휴식상태에 있을 때, 분노의 감정을 경험했을 때, 신체적 피로, 남편이나 자식처럼 의지할 수 있는 대상과 이별한 경우, 약물이나 알콜섭취후, 커피를 많이 마셨을 때, 계단을 뛰어오르거나 지나친 운동을 한 후, 몹시 더운 날이나 추운 날 돌아다닐 때, 아슬아슬한 운동이나 공포영화를 관람한 후, 과식, 열띤 논쟁을 벌인 후 등의 상황에서 더욱 잘 일어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3.0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