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색 및 시작단계
2) 진전단계
3) 제도화 단계
제 2절 남북경제협력의 현황
1) 반.출입추이
2) 거래성 교역 추이
3) 비거래성 교역 비중의 증가
4) 주요 현안사업
제 3절 남북경제협력의 평가 및 방향
2) 진전단계
3) 제도화 단계
제 2절 남북경제협력의 현황
1) 반.출입추이
2) 거래성 교역 추이
3) 비거래성 교역 비중의 증가
4) 주요 현안사업
제 3절 남북경제협력의 평가 및 방향
본문내용
1) 모색 및 시작단계(1984~1994)
1. 1984년 9월 북한의 대남 수해물자 지원을 계기로 1984년 11월부터 1985년 11월까지 총 5차례에 걸쳐 경제회담을 개최
2. 1988년 10월에 ‘남북경제개방조치’를 통해 교역 허용
3. 1989년 6월에 ‘ 남북교류 교류협력에 관한 지침’ 제정
4. 1990년 8월에 ‘남북교류 협력에 관한 법률’ 제정
5. 1991년 12월 ‘남북 사의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채택
6. 1992년 9월 제8차 회담에서는 남북 기본합의서의 구체적 이행 대책을 담은 부속합의서가 채택․발효.
7. 1994년 11월 ‘남북 경제협력 활성화’ 조치 발표.
‘남북기본합의서’ 및 ‘부속합의서’의 경협관련 주요 합의사항
남북기본합의서
- 자원 공동개발, 물자교류, 합작투자 실시
- 합의서 발표(1992년 2월 19일) 후 3개월 안에 ‘남북경제교류, 협력공동위원회’ 구성 및 운영
부속합의서
- 과학, 기술, 환경 분야의 교류협력
- 동서해 해로 개설, 경의선 및 문산-개성간 도로 연결 등
- 남북간 우편, 전기통신 연결
- 국제경제분야에서 남북협력, 대외 공동진출
진전단계(1994~1998)
1. ‘남북 교역물풀 및 반출․반입 승인절차에 관한 고시’ 개정
2. ‘남북 교역품목 통관관리 지침’ 제정․시행
3. 1998년 4월 ‘제2차 남북경협활성화 조치‘를 통해 대기업의 경협참여 허용
1. 1984년 9월 북한의 대남 수해물자 지원을 계기로 1984년 11월부터 1985년 11월까지 총 5차례에 걸쳐 경제회담을 개최
2. 1988년 10월에 ‘남북경제개방조치’를 통해 교역 허용
3. 1989년 6월에 ‘ 남북교류 교류협력에 관한 지침’ 제정
4. 1990년 8월에 ‘남북교류 협력에 관한 법률’ 제정
5. 1991년 12월 ‘남북 사의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채택
6. 1992년 9월 제8차 회담에서는 남북 기본합의서의 구체적 이행 대책을 담은 부속합의서가 채택․발효.
7. 1994년 11월 ‘남북 경제협력 활성화’ 조치 발표.
‘남북기본합의서’ 및 ‘부속합의서’의 경협관련 주요 합의사항
남북기본합의서
- 자원 공동개발, 물자교류, 합작투자 실시
- 합의서 발표(1992년 2월 19일) 후 3개월 안에 ‘남북경제교류, 협력공동위원회’ 구성 및 운영
부속합의서
- 과학, 기술, 환경 분야의 교류협력
- 동서해 해로 개설, 경의선 및 문산-개성간 도로 연결 등
- 남북간 우편, 전기통신 연결
- 국제경제분야에서 남북협력, 대외 공동진출
진전단계(1994~1998)
1. ‘남북 교역물풀 및 반출․반입 승인절차에 관한 고시’ 개정
2. ‘남북 교역품목 통관관리 지침’ 제정․시행
3. 1998년 4월 ‘제2차 남북경협활성화 조치‘를 통해 대기업의 경협참여 허용
추천자료
남북한 경제협력에 대한 완벽분석
21세기 세계 질서와 아랍 지역의 경제협력
경제협력 체제 구축을 위한 북한경제특구 고찰
[북한] 북한과 중국의 경제협력과 향후 전망 PPT자료
동아시아 경제협력의 현재와미래,동아시아경제협력현황,동아시아통화통합,동아시아경제협력전...
[한국 러시아 FTA] 한국과 러시아의 경제협력에 따른 영향과 전망.PPT자료
중일역할증대(중국과 일본의 역할증대), 중일관계(중국과 일본의 관계), 중일경제협력(중국과...
동아시아평화의 의미, 동아시아평화의 인권사상, 동아시아평화의 경제협력, 동아시아평화의 ...
[러시아][북한][북러][정치][정상회담]러시아와 북한(북러)의 정치적 특징, 러시아와 북한(북...
[소비에트연방]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과 북한의 교역,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과 북...
세계화와 동북아 경제협력-중국일본북한한국의 경제성장,동북아 경제협력,한중일 FTA,동북아...
지역적 국제기구 (북대서양조약기구,유럽연합,바르샤바조약기구, 동구상호경제협력회의,미주...
[기업 경제][기업][경제][기업 경제환경][경제통합][경제협력기구][경제환위험][경제정책][경...
TPP 합의 및 TPP(Trans-Pacific Partnership)에 대한 이해 (TPP,TPP합의,환태평양경제동반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