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자궁내막염 및 자궁주위염 (Endometritis)
Ⅱ. 혈전성 정맥염 (Pelvic thrombophlebitis)
Ⅲ. 유방염 (Mastitis)
Ⅳ. 복막염과 부속기 감염 (Peritonitis)
Ⅴ. 질, 회음, 자궁경부의 감염
Ⅵ. 비뇨기계 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s)
Ⅶ.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
Ⅷ. 제왕절개분만 후 감염
Ⅱ. 혈전성 정맥염 (Pelvic thrombophlebitis)
Ⅲ. 유방염 (Mastitis)
Ⅳ. 복막염과 부속기 감염 (Peritonitis)
Ⅴ. 질, 회음, 자궁경부의 감염
Ⅵ. 비뇨기계 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s)
Ⅶ.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
Ⅷ. 제왕절개분만 후 감염
본문내용
이 없을 때까지 비 경구적으로 투여하고 그 다음 10~14일간 경구적으로 투여.
5. 간호중재
① 방광염을 가진 환자일때
- 감염의 상행성 증상 감시
-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 수분 섭취를 권장 (1000cc/8hrs)
- 구강항생제 투약에 대한 교육
- 진통제와 약물을 투여
② 신우신염을 가진 환자일때
- 4시간 마다 또는 필요시 더 자주 활력 징후를 측정
- 수분공급과 배설을 감시
- 혈뇨 관찰과 치료효과 측정키 위해 소변검사
- 휴식, 치료적 식이, 적절한 수분섭취
;수분은 주로 정맥으로 공급하지만 구강섭취가 허용되는 경우에는 수분을 제한없이
마시도록
- 해열제, 진통제, 차가운 담요
;초기 24시간은 극심한 동통과 함께 심한 오한, 고열, 전신근육통, 요통 발생
6. 예방
비뇨기계의 감염 예방을 위해 다음을 교육
① 비뇨생식기계 청결에 대한 방법
② 면 내의를 착용
③ 적당한 수분을 공급
④ 소변배설을 자주하도록
⑤ 성교 전후 소변을 배설
⑥ 질염의 조기치료
Ⅶ.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
폐색전증은 혈전이 색전이 되어 혈행을 따라 폐순환계내에 머무는 것으로 폐동맥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폐쇄되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폐농양, 폐렴, 쇼크 등이 합병되면 사망에 이른다.
1. 원인과 유발요인
① 심층혈전성 정맥염
② 혈전성 정맥염과 동일
2. 진단
;산욕기에 호흡곤란을 호소함과 동시에 다음의 증상이 나타나면 폐색전증을 의심
① 빈호흡, 짧은 호흡, 빈맥, 호흡곤란
② 가슴을 죄는 듯한 동통
③ 기침, 객혈
④ 창백함, 청색증
⑤ 불안
3. 치료 및 간호중재
① 급성기에는 5분마다 vital sign측정
② 심폐기능지지,8~10ml/분의 산소를 마스크로 투여
③ 출혈증상과 알레르기 증상을 관찰
④ 진통제투여 (morphine, demerol)
⑤ 절대안정
⑥ 항응고제(헤파린) 투여시 과민성 반응과 독성반응에 대한 감시
⑦ 산욕부와 가족에게 합병증과 진단적, 치료적 과정에 대한 정보제공
⑧ 정서적 지지
⑨ 회복 초기에 소화 잘 되는 영양식이 제공
Ⅷ. 제왕절개분만 후 감염
; 제왕절개분만 후 절개부위에 상처감염이 일어난 것.
1. 원인과 유발요인
① 지연분만
② 양막의 조기파막
③ 빈번한 질 검진
④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⑤ 융모양막염
⑥ 지연된 외과수술
⑦ 응급 제왕절개
⑧ 당뇨, 약물남용
⑨ 흡연, 비만, 영양실조
* 원인균은 호기성 및 혐기성 그람양성구균이며 가장 많은 균은 연쇄상구균이다.
2. 진단
① 절재부위 염증증상, 농성 분비물 나타나면 상처감염으로 정의함.
② 분만 후 약 3~8일경에 나타난다.
③ 절개부위 피부에 홍반성 부종, 압통, 피부 밑에 촉진성 흔들림이 있다.
④ 농성 삼출물 배양과 항생제 민감성 검사 실시.
3. 치료 및 간호중재
; 간호사는 조직의 치유와 치료효과에 대해 계속적인 사정을 해야 한다.
① 상처 다시 개방후 소독, 변연절제함.
② 홍반과 부종 여부, 크기, 분비물의 특성 관찰.
③ 드레싱 교환시 조직 내층 관찰
④ 조직치유 증진, 휴식, 치료적 식이, 적절한 수분섭취
⑤ 항생제, 해열제 및 진통제 투여
⑥ 상처 세척시 불쾌감 완하하도록 환기 시키고 식사 1시간 전에 실시한다.
⑦ 정서적 지지
목차>
Ⅰ. 자궁내막염 및 자궁주위염 (Endometritis)
Ⅱ. 혈전성 정맥염 (Pelvic thrombophlebitis)
Ⅲ. 유방염 (Mastitis)
Ⅳ. 복막염과 부속기 감염 (Peritonitis)
Ⅴ. 질, 회음, 자궁경부의 감염
Ⅵ. 비뇨기계 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s)
Ⅶ.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
Ⅷ. 제왕절개분만 후 감염
5. 간호중재
① 방광염을 가진 환자일때
- 감염의 상행성 증상 감시
-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 수분 섭취를 권장 (1000cc/8hrs)
- 구강항생제 투약에 대한 교육
- 진통제와 약물을 투여
② 신우신염을 가진 환자일때
- 4시간 마다 또는 필요시 더 자주 활력 징후를 측정
- 수분공급과 배설을 감시
- 혈뇨 관찰과 치료효과 측정키 위해 소변검사
- 휴식, 치료적 식이, 적절한 수분섭취
;수분은 주로 정맥으로 공급하지만 구강섭취가 허용되는 경우에는 수분을 제한없이
마시도록
- 해열제, 진통제, 차가운 담요
;초기 24시간은 극심한 동통과 함께 심한 오한, 고열, 전신근육통, 요통 발생
6. 예방
비뇨기계의 감염 예방을 위해 다음을 교육
① 비뇨생식기계 청결에 대한 방법
② 면 내의를 착용
③ 적당한 수분을 공급
④ 소변배설을 자주하도록
⑤ 성교 전후 소변을 배설
⑥ 질염의 조기치료
Ⅶ.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
폐색전증은 혈전이 색전이 되어 혈행을 따라 폐순환계내에 머무는 것으로 폐동맥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폐쇄되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폐농양, 폐렴, 쇼크 등이 합병되면 사망에 이른다.
1. 원인과 유발요인
① 심층혈전성 정맥염
② 혈전성 정맥염과 동일
2. 진단
;산욕기에 호흡곤란을 호소함과 동시에 다음의 증상이 나타나면 폐색전증을 의심
① 빈호흡, 짧은 호흡, 빈맥, 호흡곤란
② 가슴을 죄는 듯한 동통
③ 기침, 객혈
④ 창백함, 청색증
⑤ 불안
3. 치료 및 간호중재
① 급성기에는 5분마다 vital sign측정
② 심폐기능지지,8~10ml/분의 산소를 마스크로 투여
③ 출혈증상과 알레르기 증상을 관찰
④ 진통제투여 (morphine, demerol)
⑤ 절대안정
⑥ 항응고제(헤파린) 투여시 과민성 반응과 독성반응에 대한 감시
⑦ 산욕부와 가족에게 합병증과 진단적, 치료적 과정에 대한 정보제공
⑧ 정서적 지지
⑨ 회복 초기에 소화 잘 되는 영양식이 제공
Ⅷ. 제왕절개분만 후 감염
; 제왕절개분만 후 절개부위에 상처감염이 일어난 것.
1. 원인과 유발요인
① 지연분만
② 양막의 조기파막
③ 빈번한 질 검진
④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⑤ 융모양막염
⑥ 지연된 외과수술
⑦ 응급 제왕절개
⑧ 당뇨, 약물남용
⑨ 흡연, 비만, 영양실조
* 원인균은 호기성 및 혐기성 그람양성구균이며 가장 많은 균은 연쇄상구균이다.
2. 진단
① 절재부위 염증증상, 농성 분비물 나타나면 상처감염으로 정의함.
② 분만 후 약 3~8일경에 나타난다.
③ 절개부위 피부에 홍반성 부종, 압통, 피부 밑에 촉진성 흔들림이 있다.
④ 농성 삼출물 배양과 항생제 민감성 검사 실시.
3. 치료 및 간호중재
; 간호사는 조직의 치유와 치료효과에 대해 계속적인 사정을 해야 한다.
① 상처 다시 개방후 소독, 변연절제함.
② 홍반과 부종 여부, 크기, 분비물의 특성 관찰.
③ 드레싱 교환시 조직 내층 관찰
④ 조직치유 증진, 휴식, 치료적 식이, 적절한 수분섭취
⑤ 항생제, 해열제 및 진통제 투여
⑥ 상처 세척시 불쾌감 완하하도록 환기 시키고 식사 1시간 전에 실시한다.
⑦ 정서적 지지
목차>
Ⅰ. 자궁내막염 및 자궁주위염 (Endometritis)
Ⅱ. 혈전성 정맥염 (Pelvic thrombophlebitis)
Ⅲ. 유방염 (Mastitis)
Ⅳ. 복막염과 부속기 감염 (Peritonitis)
Ⅴ. 질, 회음, 자궁경부의 감염
Ⅵ. 비뇨기계 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s)
Ⅶ.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
Ⅷ. 제왕절개분만 후 감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