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욕기 간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하고 협조를 구한다.
- 환자에게 용변을 보도록 한다.
- 손을 씻는다.
- 좌욕기를 사용할 경우 세척제로 소독하여 감염을 방지한다.
- 좌욕기를 이용할 경우 좌욕통의 1/2~1/3정도 물을 담는다.
- 좌욕통 채 끓여서 그대로 식힌 물의 온도(38~42도)를 점검한다.
- 하의를 벗도록 도와준다.
- 좌욕통에 혼자 앉도록 하며 찬물수건을 머리에 대준다.
- 좌욕하는 시간을 확인한다.(보통 10~15분)
- 좌욕하는 동안 환자의 상태를 확인한다.
- 좌욕이 끝난 후 깨끗한 수건으로 회음에서 항문쪽으로 물기를 닦고 패드를 한다.
하루 2~3회 정도 실시하며 특히 수유 후나 화장실에 다녀온 후에 하면 더욱 이상적이다.
(3) 회음등(Heat Lamp)
목적
- 회음부의 동통을 경감시킨다.
- 회음부의 감염을 예방한다.
수행
- 물품을 준비한다.
-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 적절한 체위를 취해준다.
- 가열램프(30W)를 회음부에서 25~30cm 떨어지게 놓는다.
- 크래들 위를 이불로 덮어준다.
- 약 20분정도 가열한다.
(4) 모유수유 산모의 유방관리
- 비누 사용 않기: 비누가 유두의 피지를 제거하여 유두균열이 생기기 쉬움. 깨끗한 물로만 씻긴다.
- 분만 후 유방이 커지므로 잘 맞는 브래지어로 잘 지지한다.
- 패드 대어주기: 유즙 흘림 방지한다.
- 유방덮개(breast shield) 사용: 함몰유두, 유두열상 치료한다.
- 유방덮개: 유륜에 지속적으로 적당한 압력을 가해 편편하거나 함몰된 유두가 점차 나오도 록 한다. 임신 중반기부터 브래지어 안에 끼워 사용하면 좋다. 처음에는 하루에 한 두 시간 정도 착용하고 차츰 8~10시간으로 늘려간다.
(5) 유방출혈 시 유방관리
-유방울혈 정맥 및 림프관의 종창과 포도상선의 유즙 충만에 의해서 울혈현상
-유방울혈은 산후 3~4일경에 나타나며 산후4~5일에 불편이 가장 심함
-증상으로는 유방이 단단해지며 긴장되고,커지고, 후끈거리며 동통이 있음
예방법
수유를 자주 한다. (1일 8~12회)
수분보충이나 분유는 피한다. (첫 3~4주 동안 특별히 의학적인 소견이 없는 한)
젖먹이는 기회를 놓쳤을 경우에는 모유를 짜내어 준다.
이유식은 점차적으로 시행한다.
치료
-유방대 혹은 브래지어로 적당하게지지
-온찜질이나 냉찜질을 하여 동통을 완화시켜 줌
-수유시키기 전에 15~20분 동안의 온찜질은 효과적임
-aspirin, codein같은 진통제 사용
(6) 자궁퇴축
- 분만 직후 자궁저부는 치골결합부와 제와부 중간(치골결합 상부 12cm)에 위치
자궁퇴축으로 인한 산후통(after pain)있으며, 경산부 수유부, 자궁수축제 투여 시 더욱 심하다.
- 분만 12시간 후에 자궁저부는 제와부(치골결합 상부 20cm)로 상승하고, 단단하다.
- 분만 2일째부터 자궁저부는 매일 1cm 씩 하강, 산후 10일 후부터는 복부에서 촉진 불가하다
- 분만 2~3일 후부터 산후통의 빈도는 줄어들고, 수유, 다산, 다태아 분만, 자궁의 과대한
팽대가 있는 경우 심하다.
- 2~3주까지 자궁내막의 분비선과 결합 조직인 간질이 증식
- 태반부착 부위는 지름이 8~9cm에서 1주후 6~7cm, 2주후 3~4cm, 6주경 1~2cm에서
박피작용으로 치유되고 복구 부전시 무통성 출혈 발생한다.
- 퇴축 부전으로 인한 산후출혈은 모성 이환과 사망의 원인이 된다.
(7) 목욕 및 개인위생
(8) 복부탄력회복을 위한 운동
엉덩이 근육을 팽팽하게 교정하는 운동 - 이 운동은 골반 경사를 교정하고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등을 대고 누워서 무릎을 약간 굽힌 뒤 발바닥을 바닥에 붙인다. 엉덩이 근육을 팽팽하게 하며 동시에 복부 근육을 탄력있게 해서 등의 움푹 들어간 곳을 바닥에 누르면서 하복부 근육을 바짝 죈다. 점차 하복부 근육과 엉덩이 근육을 이완시키며 등을 약간 움푹 들어가게 한다.
머리 들어올리기 운동 - 등을 대고 누워서 양 무릎을 굽힌 뒤 턱을 당겨 머리를 베게로부터 들어올린다.
누워서 하는 발과 다리 운동 - 누워서 다리를 곧게 뻗어준다. 발을 번갈아가며 완전히 상하로 향하게 함으로서 발목 관절을 굽혔다 폈다 하고 발까락도 굽혔다 폈다 한다. 발도 내부로 원을 그린다. 무릎 뒷 부분으로 바닥을 누름으로써 무릎 상부 근육을 꽉 죄는 듯한 기분으로 한다.
심호흡법 - 손을 가볍게 늑골 아래에 얹고 가슴을 가볍게 누르면서 천천히 숨을 내쉬어 가능한 한 폐를 완전히 비운다. 다음에 폐가 늑골을 밀면서 부풀어올라 가슴에 댄 손을 움직이게 할 정도가 되도록 코로 숨을 깊이 들이마신다.
(9) 회음부 탄력회복을 위한 운동
케겔 운동은 임신 후기 회음부 처짐을 막아준다 -케겔 운동은 질과 회음부 근육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임신 초기부터 케겔 운동을 꾸준히 하면 임신 후기 화음부 처짐을 막아주고 출산 시 회음부 통증을 줄일 수 있다.
(10) 산후 추후 검진
산후방문은 4~6주후에 진찰하게 됨
엄마나 아기에게 문제나 합병증이 있을 때는 더 일찍 진찰방문을 하게 됨
(11) 영양
(12) 병원방문을 요하는 증세
심한 질출혈 또는 선홍색 올로
심한 악취를 동반한 질분비물이 증가할 때
유방에 종창, 압통, 발적, 열감 부위가 있을 때
회음부 혹은 골반부의 지속적인 통증
열(오한이 있거나 없음)
한쪽 다리가 붓고 , 압통이 있고, 발적 열감이 있을 때
배뇨하기 어렵거나 배뇨시 따가운 통증이 있을 때
<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생식의학 간행위원회, 생식의학, 광주 :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9.
산과학 제 3판/대한산부인과학회/1997
맥진모유수유클럽 책자 제 3호
최신임상간호메뉴얼, 서울 : 현문사, 1999
정문숙 외, 여성건강간호학, 서울 : 도서출판 정담, 2001.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최신임상간호메뉴얼, 서울 : 현문사, 1999.
이영숙 외 다수, 모성 간호학, 서울 : 현문사, 1998.
최연순 외 다수, 여성 건강 간호학, 서울 : 수문사, 1999.
참고 사이트 http://www.agacamp.com
http://www.nurscape.net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8.04.21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1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