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절 집행기관의 위상과 역할
Ⅰ. 집행기관의 위상과 구성
1. 집행기관의 위상
2. 집행기관의 구성
3. 집행기관의 지위
Ⅱ. 집행기관의 구조와 종류
1. 지방자치단체의 장
2. 일반집행기관
Ⅲ. 집행기관의 권한
1. 대표 및 통할권
2. 지휘감독권
3. 관리 및 집행권
4. 대회의관련 권한
제 2 절 정부구조와 집행기관
Ⅰ. 정부구성 형태와 집행부
1. 기관구성의 다양성
2. 4유형론
Ⅱ. 정부유형과 집행부 기능
1. 거버넌스 구조의 적합성
2. 유형별 집행기능의 차이
기관통합형의 집행기능
기관대립형의 집행기능
Ⅲ. 우리나라의 제도
1. 절차적 측면
2. 주요 권한관계
제 3 절 단체장의 리더십
Ⅰ. 중요성
1. 정치적 자산과 영향력
2. 제약요소의 극복
Ⅱ. 단체장의 리더십 유형
1) 자질론
2) 상황론
3) 상황적응론
4) 교환론
5) 변혁론
2. 단체장의 3대 역할
제 4 절 단체장의 역할
Ⅰ. 비전의 설정
1. 지방단위의 비전
2. 내부조직의 목표
Ⅱ. 집행기구의 내부관리
1. 내부관리의 영역
2. 일반집행기구의 관리
Ⅲ. 집행기구의 외부관리
1. 중앙과의 관계
2. 지방차원의 관계
Ⅰ. 집행기관의 위상과 구성
1. 집행기관의 위상
2. 집행기관의 구성
3. 집행기관의 지위
Ⅱ. 집행기관의 구조와 종류
1. 지방자치단체의 장
2. 일반집행기관
Ⅲ. 집행기관의 권한
1. 대표 및 통할권
2. 지휘감독권
3. 관리 및 집행권
4. 대회의관련 권한
제 2 절 정부구조와 집행기관
Ⅰ. 정부구성 형태와 집행부
1. 기관구성의 다양성
2. 4유형론
Ⅱ. 정부유형과 집행부 기능
1. 거버넌스 구조의 적합성
2. 유형별 집행기능의 차이
기관통합형의 집행기능
기관대립형의 집행기능
Ⅲ. 우리나라의 제도
1. 절차적 측면
2. 주요 권한관계
제 3 절 단체장의 리더십
Ⅰ. 중요성
1. 정치적 자산과 영향력
2. 제약요소의 극복
Ⅱ. 단체장의 리더십 유형
1) 자질론
2) 상황론
3) 상황적응론
4) 교환론
5) 변혁론
2. 단체장의 3대 역할
제 4 절 단체장의 역할
Ⅰ. 비전의 설정
1. 지방단위의 비전
2. 내부조직의 목표
Ⅱ. 집행기구의 내부관리
1. 내부관리의 영역
2. 일반집행기구의 관리
Ⅲ. 집행기구의 외부관리
1. 중앙과의 관계
2. 지방차원의 관계
본문내용
Ⅰ. 집행기관의 위상과 구성
1. 집행기관의 위상
*합의제 의결기구인 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수행하는 집행부(execution branch)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구
*지방정부의 형태와 구조가 다양하기 때문에 집행기능이 실제 부여되는 집행기관의 위치 역시 매우 다양
2. 집행기관의 구성
*협의의 집행기관은 의회에 대립적인 위치를 가진 최고 집행기관으로서의 지방자치단체장을 지칭하며, 단체장 일인이 집행기관이 됨
*광의의 집행기관은 집행의 최고기관인 단체장을 포함하여, 이를 보조하는 보조기관 및 하부행정기관, 그리고 소속행정기관으로 구성되는 일반집행기관을 지칭
*집행기관 다원주의: 집행기관을 업무나 기능에 따라서 다수를 두는 경우
예: 교육과 학예에 대해서는 별도의 집행기관
(교육・학예사무의 집행기관으로서 교육감 )
Ⅱ. 집행기관의 구조와 종류
1. 지방자치단체의 장
*주민에 의하여 선출되며 지방정부를 대표
*대표기능과 통할기능을 수행하는 수장으로서 단체장은 집행기관의 최고정점에 있는 구성원이다. 도지사, 시장, 구청장, 군수 등이 이에 해당
2. 일반집행기관
*일반집행기관에 포함될 수 있는 기관으로서는, i) 보조기관, ii) 하부 행정기관, iii) 소속행정기관, iv) 특별행정위원회를 들 수 있음. 모두 지방자치단체장의 관리감독을 받으면서 전문화의 원리에 따라서 업무를 처리함. 이러한 기관들은 기본적으로 계선기능(line function)을 수행하며 보좌기능(staff function)을 수행하지 않음
1. 집행기관의 위상
*합의제 의결기구인 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수행하는 집행부(execution branch)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구
*지방정부의 형태와 구조가 다양하기 때문에 집행기능이 실제 부여되는 집행기관의 위치 역시 매우 다양
2. 집행기관의 구성
*협의의 집행기관은 의회에 대립적인 위치를 가진 최고 집행기관으로서의 지방자치단체장을 지칭하며, 단체장 일인이 집행기관이 됨
*광의의 집행기관은 집행의 최고기관인 단체장을 포함하여, 이를 보조하는 보조기관 및 하부행정기관, 그리고 소속행정기관으로 구성되는 일반집행기관을 지칭
*집행기관 다원주의: 집행기관을 업무나 기능에 따라서 다수를 두는 경우
예: 교육과 학예에 대해서는 별도의 집행기관
(교육・학예사무의 집행기관으로서 교육감 )
Ⅱ. 집행기관의 구조와 종류
1. 지방자치단체의 장
*주민에 의하여 선출되며 지방정부를 대표
*대표기능과 통할기능을 수행하는 수장으로서 단체장은 집행기관의 최고정점에 있는 구성원이다. 도지사, 시장, 구청장, 군수 등이 이에 해당
2. 일반집행기관
*일반집행기관에 포함될 수 있는 기관으로서는, i) 보조기관, ii) 하부 행정기관, iii) 소속행정기관, iv) 특별행정위원회를 들 수 있음. 모두 지방자치단체장의 관리감독을 받으면서 전문화의 원리에 따라서 업무를 처리함. 이러한 기관들은 기본적으로 계선기능(line function)을 수행하며 보좌기능(staff function)을 수행하지 않음
추천자료
지방자치시대 지방정부의 복지불균형 실태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행정과 세계화, 지방화
정부의 디지털컨텐츠교육지원 사례, 정부의 지방교육지원 사례,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지원 사...
지방자치제도의 사회복지적 성격(개념)을 단단하게 설명하고,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지역사...
지방자치의 이해 - 지방자치단체와 프로스포츠의 관계
지방행정-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 확보방안, 경영수익사업 사례 2가지
[갈등해소][경제적 갈등][중복규제][교직원파벌][지방자치단체]갈등해소와 경제적 갈등, 갈등...
[국고, 국고와 국고지원사업, 국고와 국고보조사업, 국고와 국고채, 국고와 지방자치단체, 국...
[사회복지지출, 사회복지지출과 지출결정요인, 사회복지지출과 공공지출, 지방자치단체, 복지...
지방자치제도의 사회복지적 성격(개념)을 단단하게 설명하고,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지역사...
지방자치제 : [지역사회복지론]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의 연관성에 대하여 논하라
지방자치제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고 지방정부의 책임성 강화와 민간의 복지 참여 확대...
[비교 지방 자치 특강] 지방자치와 사회복지
지방자치제의 실시가 지역복지에 미칠 영향에 대한 전망을 해보고 지방자치제의 긍정적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