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정신착란을 경험했다고 해서 그의 작품을 정신병자의 그것으로 간주할 일은 아니다. 정신병자와는 달리 그는 환각과 현실을 분명히 구별할 줄 알았고, 프로이드와 정신분석학에 대해 잘 알고 있었던 그는 자신의 비정상적인 경험을 자신의 무의식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기억의 고집>은 달리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이 그림은 달리의 고향인 까딸로니아 지방의 해변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후경으로 보이는 바위 절벽들은 까딸로니아 지방에서 실제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우리의 시선을 가장 끄는 것은 전경의 기묘한 풍경인데, 왼쪽에 책상이 하나 놓여 있고, 그 위로 나뭇가지가 솟아오르고 있다. 이 비현실적인 조합은 초현실주의자들이 즐겨 쓰는 데페이즈망이다. 그런데 더 이상한 것은 나뭇가지 위에 나뭇잎 대신 널어져 있는 회중시계이다. 시계는 대개 금속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어서 이렇게 흐느적거릴 수가 없는 것인데, 여기선 현실적인 시계의 재료가 가진 속성이 완전히 무시되고 있다. 달리의 유년기 기억 중에는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던 것이 있는데, 너무나 가기 싫은 병원에 가면, 의사 선생님이 입을 벌려 보라고 하고 혀를 내밀어 보라고 하기도 한다. 불어로 '혀를 내밀다'는 말은 'montre la molle' 인데, 이 말은 불어의 '부드러운 시계(la montre molle)'라는 말을 연상시킨다. 즉 내밀다(montre)라는 동사와 시계(montre)라는 말이 동음이의어라는 사실을 이용하고 있다. 결국 달리의 유년기의 기억이 혀와 같은 부드러운 시계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의의
초현실주의는 인습과 기존의 질서에 얽매인 수동적 기계적 삶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세계에 과감히 맞서는 행위로서 자유를 강조해 인간 회복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다른 사람 혹은 또 다른 세계의 현존을 인정하고 화홰로운 합일을 이룰 수 있는 창조적인 에너지로서 사랑을 제시하여 우리의 생을 열린 공간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었다. 정신 분석학의 면에서 그동안 억압되어 왔던 본능적인 욕망들 특히 에로스에 원초적인 생명력을 돌려주어 도덕적 위선적 콜플렉스에서 인간을 해방 시킬 수 있었다. 또한 무궁무진한 무의식의 세계의 탐색은 인간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고 나아가 인간의 본성에서 사회의 역동적 구성원칙을 밝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초현실주의는 일종의 휴머니즘이다. 순수한 시적 열광에 의해 천상의 낙원을 지상으로 끌어 내리고자한 신 없는 현대 신화를 만들었던 예술운동이다. 초현실주의는 실증주의 정신의 독선을 막는데 기여 하였으며 포스트모더니즘과 아르누보 팝아트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참조 : http://www.youngs2k.com/frame.htm
http://my.dreamwiz.com/k9204/surre.htm
http://my.dreamwiz.com/mijk/surrealism.htm
야후 백과사전
두산동아 백과사전
서양미술사 2 /에밀말 엮음, 정진국 옮김 / 눈빛
서양미술사 / 장문호 지음 / 형설출판사
<기억의 고집>은 달리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이 그림은 달리의 고향인 까딸로니아 지방의 해변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후경으로 보이는 바위 절벽들은 까딸로니아 지방에서 실제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우리의 시선을 가장 끄는 것은 전경의 기묘한 풍경인데, 왼쪽에 책상이 하나 놓여 있고, 그 위로 나뭇가지가 솟아오르고 있다. 이 비현실적인 조합은 초현실주의자들이 즐겨 쓰는 데페이즈망이다. 그런데 더 이상한 것은 나뭇가지 위에 나뭇잎 대신 널어져 있는 회중시계이다. 시계는 대개 금속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어서 이렇게 흐느적거릴 수가 없는 것인데, 여기선 현실적인 시계의 재료가 가진 속성이 완전히 무시되고 있다. 달리의 유년기 기억 중에는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던 것이 있는데, 너무나 가기 싫은 병원에 가면, 의사 선생님이 입을 벌려 보라고 하고 혀를 내밀어 보라고 하기도 한다. 불어로 '혀를 내밀다'는 말은 'montre la molle' 인데, 이 말은 불어의 '부드러운 시계(la montre molle)'라는 말을 연상시킨다. 즉 내밀다(montre)라는 동사와 시계(montre)라는 말이 동음이의어라는 사실을 이용하고 있다. 결국 달리의 유년기의 기억이 혀와 같은 부드러운 시계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의의
초현실주의는 인습과 기존의 질서에 얽매인 수동적 기계적 삶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세계에 과감히 맞서는 행위로서 자유를 강조해 인간 회복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다른 사람 혹은 또 다른 세계의 현존을 인정하고 화홰로운 합일을 이룰 수 있는 창조적인 에너지로서 사랑을 제시하여 우리의 생을 열린 공간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었다. 정신 분석학의 면에서 그동안 억압되어 왔던 본능적인 욕망들 특히 에로스에 원초적인 생명력을 돌려주어 도덕적 위선적 콜플렉스에서 인간을 해방 시킬 수 있었다. 또한 무궁무진한 무의식의 세계의 탐색은 인간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고 나아가 인간의 본성에서 사회의 역동적 구성원칙을 밝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초현실주의는 일종의 휴머니즘이다. 순수한 시적 열광에 의해 천상의 낙원을 지상으로 끌어 내리고자한 신 없는 현대 신화를 만들었던 예술운동이다. 초현실주의는 실증주의 정신의 독선을 막는데 기여 하였으며 포스트모더니즘과 아르누보 팝아트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참조 : http://www.youngs2k.com/frame.htm
http://my.dreamwiz.com/k9204/surre.htm
http://my.dreamwiz.com/mijk/surrealism.htm
야후 백과사전
두산동아 백과사전
서양미술사 2 /에밀말 엮음, 정진국 옮김 / 눈빛
서양미술사 / 장문호 지음 / 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