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의 '설화수(雪花秀)' 마케팅 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평양의 '설화수(雪花秀)' 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왜 ‘설화수’ 인가

2. 환경분석
⑴인구통계적 환경
⑵경쟁적 환경
⑶법적 정치적 환경
⑷기술적 환경
⑸경제적 환경
⑹사회문화적 환경

3. STP
⑴Segmentation
⑵Target marketing
⑶Product positining

4. 4P's
(1)Product
(2)Price
(3)Place
(4)Promotion

5. 판매 후 고객 관리

6. 인터뷰

본문내용

***왜 ‘설화수’ 인가?
-국내 고가 브랜드 제품
-백화점 매출 1위의 제품
-無 광고 화장품 제품
***(1)인구통계적 환경
30~40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 2001~2002년 주도 소비자였던15~29세 청년층이 고용불안에 따라 소비가 위축, 50대 이상 장년ㆍ노년층은 명예퇴직과 저금리 추세로 이자ㆍ연금 소득에 이상이 생김
반면, 30~40대 중년층은 여전히 꾸준한 소비 욕구를 보임
⇒ 35세 이상의 중년층 여성에게 반응이 특히 좋은 설화수에게 시장이 열려있다는 유리한 입장
***(2)경제적 환경
1)경제주기
① 불황을 타지 않는 계속적인 성장의 화장품 시장
→지난해도 두 자리수 성장
미샤, 더 페이스 샵 등 가격파괴적인 실속화
장품 매장 역시 빠른 속도로 확산.
백화점 매출 1위인 헤라. 설화수가 백화점에서
만 431억원의 매출
(2002년 1173억원 보다 20% 이상 상승)
백화점 화장품 시장 규모는 지난해 13% 성장
② 화장품 시장의 양극화
→ 화장품 시장이 고가 백화점 시장과 1만원 미만의 저가 시장으로 양극화
고가 백화점 브랜드와 함께 미샤, 더 페이스 샾
등의 초저가 브랜드들이 불황을 타고 큰 인기
***국내 경쟁업체
①LG생활건강
-업계 2위인 LG생활건강은 올해 고대 궁중 비방을 활용한 한방화장품 더 히스토리 오브 후와
중국의 미인 서시의 미용 비방을 활용한 수려한 등 한방화장품 2종을 내놓고
한방화장품 시장에 뛰어들었다.
`더 후` 브랜드에 메이크업 라인 7종을 추가해 출시
→ 불황에도 불구하고 작년 매출이 150억 원에 달하는 등 인기
→ 이번에 메이크업 라인을 추가하여 자사의 대표 브랜드로 육성해 나갈 예정
앞으로 백화점 매장도 고급스러운 단독매장으로 꾸며 내년 말까지 5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방침.
②한국화장품
-방문 판매용 고급 한방화장품 산심, 최근 전문점용 명방선(名方選) 을 새로 출시
명방선은 산심과 차별화하기 위해 가격을 3만~4만원대의 중가로 책정,
립스틱 아이섀도 등 전 메이크업 라인을 함께 내놓은 것이 특징
③한불화장품
-기존 방판용 려홍 외에 시판용 비원이 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7.03.0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398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