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 이질 穀菜 과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강목 이질 穀菜 과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水穀痢、小兒疳痢,水和作 (보낼, 빵, 만두 운; 食-총18획; hun,yun)
(찐만두, 빵 돈; 食-총13획; tun)
煮食;
수곡리와 소아감리에 물과 함께 만두를 만들어 달여 먹는다.
休息痢,同木香爲丸,或加訶子、丁香。)
휴식리에 저백피를 목향과 함께 환을 만들어 혹은 가자, 정향을 가미한다.
柏葉
잣잎
(血痢,同芍藥炒,水煎服。血痢、 蠱痢、疳痢,同黃連煎。小兒洞痢,煎代茶。)
백엽은 혈리에 작약볶은 것과 함께 물에 달여 복용한다. 혈리, 고리, 감리에 황련과 함께 달인다. 소아 통리에 차대신 달여 먹는다.
梔子
치자
(主熱痢下重。血痢連年,同鼠尾草、薔薇汁熬丸服。)
치자는 열리와 하중을 주치한다. 혈리로 해를 끌음에 서미초, 장미즙과 함께 볶아서 환으로 복용한다.
黃蘗
황백
(除下焦濕熱及血痢,同黃連、醋煎服;孕痢,同大蒜丸服,神驗。)
황백은 하초 습열과 혈리를 제거하니, 황련과 함께 식초로 달여 복용한다. 임신부이질에는 마늘과 함께 환으로 복용하면 귀신과 같은 효험이 있다.
天蓼
천료
(末服,止氣痢。)
천료는 가루내어 복용하니 기리를 멎게 한다.
桑寄生
상기생
(治毒痢 同川芎防風甘草 煎服.)
상기생은 독리를 치료하니 천궁, 방풍, 감초와 함께 달여 복용한다.
木槿花
목근화
(口痢,煎食。皮煮汁,止血痢、渴。)
목근화는 금구리는 달인 면을 복용한다. 껍질을 달인 즙은 혈리와 갈증을 멎게 한다.

복령
(濕熱。)
복령은 습열을 삼설한다.
: 棕((종려나무 종; 木-총13획; zong)과 同字; 木-총12획; zong)
灰 敗船茹
종려나무 재, 패선여
(止血痢.)
종회와 패선여는 함께 혈리를 멎게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1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