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한국경제
2.최근 한국경제 동향
3.한국경제침체 살아남는방법
4.한국경제의 미래
2.최근 한국경제 동향
3.한국경제침체 살아남는방법
4.한국경제의 미래
본문내용
계속된다면 소비가 우리 예상보다 더 강세를 보일 수 있지만, 그에 따라 통화긴축 조치가 취해질 수도 있다.
― 불안정한 부동산시장에 직면해 있지만 수출주도형 경제가 경기 침체를 겪고 있기 때문에 한국은행이 가까운 장래에 이자율을 인상하기가 어려워졌다. 그 결과 한국은행은 이자율을 더 나은 수출 전망과 안정적인 국내 수요에 힘입어 경기가 회복되는 2007년 하반기까지 조정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것이다.
2007년 하반기의 추가적 이자율 인상으로 부동산 가격은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가 침체 위험을 보일 경우에만 이자율 인하가 이루어질 것인데, 2007년에는 이러한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12). 2008년 경기 회복세 지속…부동산시장 위험 증가
― 경기는 2007년 하반기와 2008년 초부터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배경은 ▷정부의 주택 공급 공약에 따른 건설활동 증가 ▷정부가 소비심리를 안정시키려고 노력함에 따른 소비 안정 ▷한국산 반도체·가전제품·자동차 수요를 불러일으킬 베이징올림픽이 다가옴에 따른 수출 증대 등이다.
― 하지만 더욱 많은 신규 주택 건설이 완료돼 수요를 초과하는(새 세대의 증가 대비) 2008년에는 주택 가격이 하락해 부동산시장이 악화할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가격이 2007년에도 계속 상승한다면 2007년 하반기에는 추가적인 통화긴축을 촉발할 수도 있고, 2008년 들어서는 새 정부가 부동산정책을 강화하게 할 수도 있다.
정책 규제가 강화되고 그와 함께 공급물량이 늘어나면 2008년에는 부동산시장의 경착륙 가능성이 커질 수도 있다고 본다. 주택시장을 신중하게 다루어 지나친 가격 상승을 막는 것을 2007년 부동산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4.한국경제의 미래
위에서 간단히 살펴 보았지만 한국경제는 그렇게 미약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적으로 한국은 경제 강국이라고 생각 합니다 GDP가 10위권이라고 하지만 자동차,전자,화학,철강,조선 등 주요산업에 있어 우리나라의 순위는 대부분 5위권 또는 그 이내입니다. 일본하고 비교해서 미약하다고 하면 곤란합니다. 일본보다 경제가 강한 나라는 미국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15년 전에 일본 경제는 우리나라의 15배였습니다. 지금은 5배 정도지요. 우리 부모님 세대가 열심히 해주셔서 이 만큼이나 성장한 겁니다. 전교에서 꼴찌하던 친구가 열심히 해서 전교 10등 안으로 올라왔는데 전교에서 1~2등하는 친구와 비교해서 그것밖에 못하냐고 하면 곤란하겠지요. 또 일본이 우리에 비해 미국에 당당하게 대응을 한다고 보기도 힘듭니다. 물론 일본의 경제규모가 크기 때문에 미국이 어느 정도 대접을 해 주는 면이 없지는 않습니다만 전체적으로 일본은 미국에 대해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순종적인 편입니다.
최근에 일본경제가 살아난다는 말을 많이 하지요. 일본 경제는 최근 10여년 동안 불황이 계속되어 성장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정부와 기업들이 정말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그 효과가 최근에 나타나는 중이었습니다. 마침 또 이에 맞춰 일본 엔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수출도 잘 되다 보니 일본의 경제가 살아나는 것이지요. 그렇다고 무슨 일본이 중국처럼 10%씩 성장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0~1%하던 성장이 3~5%정도까지 나온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요즘 우리 경제가 어렵다는 말을 많이 하지요. 사실 성장률 5%정도면 외형상으로는 중간이상 하는 겁니다. 문제는 일자리가 부족해서 실업자가 많다는 점. 그리고 수출은 되도 국내에서는 물건이 안 팔린다는 점인데요. 하지만 우리 모두가 현위치 현상황속에서 열심히 노력한다면 우리한국경제는 무궁한 발전을 할 것입니다.
― 불안정한 부동산시장에 직면해 있지만 수출주도형 경제가 경기 침체를 겪고 있기 때문에 한국은행이 가까운 장래에 이자율을 인상하기가 어려워졌다. 그 결과 한국은행은 이자율을 더 나은 수출 전망과 안정적인 국내 수요에 힘입어 경기가 회복되는 2007년 하반기까지 조정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것이다.
2007년 하반기의 추가적 이자율 인상으로 부동산 가격은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가 침체 위험을 보일 경우에만 이자율 인하가 이루어질 것인데, 2007년에는 이러한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12). 2008년 경기 회복세 지속…부동산시장 위험 증가
― 경기는 2007년 하반기와 2008년 초부터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배경은 ▷정부의 주택 공급 공약에 따른 건설활동 증가 ▷정부가 소비심리를 안정시키려고 노력함에 따른 소비 안정 ▷한국산 반도체·가전제품·자동차 수요를 불러일으킬 베이징올림픽이 다가옴에 따른 수출 증대 등이다.
― 하지만 더욱 많은 신규 주택 건설이 완료돼 수요를 초과하는(새 세대의 증가 대비) 2008년에는 주택 가격이 하락해 부동산시장이 악화할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가격이 2007년에도 계속 상승한다면 2007년 하반기에는 추가적인 통화긴축을 촉발할 수도 있고, 2008년 들어서는 새 정부가 부동산정책을 강화하게 할 수도 있다.
정책 규제가 강화되고 그와 함께 공급물량이 늘어나면 2008년에는 부동산시장의 경착륙 가능성이 커질 수도 있다고 본다. 주택시장을 신중하게 다루어 지나친 가격 상승을 막는 것을 2007년 부동산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4.한국경제의 미래
위에서 간단히 살펴 보았지만 한국경제는 그렇게 미약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적으로 한국은 경제 강국이라고 생각 합니다 GDP가 10위권이라고 하지만 자동차,전자,화학,철강,조선 등 주요산업에 있어 우리나라의 순위는 대부분 5위권 또는 그 이내입니다. 일본하고 비교해서 미약하다고 하면 곤란합니다. 일본보다 경제가 강한 나라는 미국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15년 전에 일본 경제는 우리나라의 15배였습니다. 지금은 5배 정도지요. 우리 부모님 세대가 열심히 해주셔서 이 만큼이나 성장한 겁니다. 전교에서 꼴찌하던 친구가 열심히 해서 전교 10등 안으로 올라왔는데 전교에서 1~2등하는 친구와 비교해서 그것밖에 못하냐고 하면 곤란하겠지요. 또 일본이 우리에 비해 미국에 당당하게 대응을 한다고 보기도 힘듭니다. 물론 일본의 경제규모가 크기 때문에 미국이 어느 정도 대접을 해 주는 면이 없지는 않습니다만 전체적으로 일본은 미국에 대해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순종적인 편입니다.
최근에 일본경제가 살아난다는 말을 많이 하지요. 일본 경제는 최근 10여년 동안 불황이 계속되어 성장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정부와 기업들이 정말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그 효과가 최근에 나타나는 중이었습니다. 마침 또 이에 맞춰 일본 엔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수출도 잘 되다 보니 일본의 경제가 살아나는 것이지요. 그렇다고 무슨 일본이 중국처럼 10%씩 성장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0~1%하던 성장이 3~5%정도까지 나온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요즘 우리 경제가 어렵다는 말을 많이 하지요. 사실 성장률 5%정도면 외형상으로는 중간이상 하는 겁니다. 문제는 일자리가 부족해서 실업자가 많다는 점. 그리고 수출은 되도 국내에서는 물건이 안 팔린다는 점인데요. 하지만 우리 모두가 현위치 현상황속에서 열심히 노력한다면 우리한국경제는 무궁한 발전을 할 것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