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서론
본론Ⅰ.한미 FTA
1. 경과 및 일정
2. 의의
본론Ⅱ. 1.한미 자동차 산업동향
(1). 미국 자동차산업 동향
(2). 국내 자동차산업 동향
본론Ⅱ. 2.한미 자동차 교역구조
(1). 한미 자동차 수출입현황
(2). 대미 자동차 수출현황
(3). 국내 수입차 판매동향
본론Ⅱ. 3.자동차 산업의 한미 경쟁력 비교
(1). 가격경쟁력
(2). 기술경쟁력
(3). 브랜드경쟁력
(4). 품질경쟁력
본론Ⅱ. 4.관세 밎 비관세 장벽 현황
(1). 양국 간 자동차관세 현황
(2). 양국 간 자동차 비관세 장벽 현황
본론Ⅲ. 1.한미 FTA 타결
(1). 주요 협정문 내용
(2). 주요 쟁점별 타결내용
본론Ⅲ. 2.한미 FTA가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수출입 변화
※.자동차 수출입 변화
(2). 산업구조의 변화
본론Ⅳ. 한미 FTA를 통한 자동차산업 고도화 방안
1. 기업의 대응 방안
2. 정부의 정책 지원 방안
결론
참고문헌
본론Ⅰ.한미 FTA
1. 경과 및 일정
2. 의의
본론Ⅱ. 1.한미 자동차 산업동향
(1). 미국 자동차산업 동향
(2). 국내 자동차산업 동향
본론Ⅱ. 2.한미 자동차 교역구조
(1). 한미 자동차 수출입현황
(2). 대미 자동차 수출현황
(3). 국내 수입차 판매동향
본론Ⅱ. 3.자동차 산업의 한미 경쟁력 비교
(1). 가격경쟁력
(2). 기술경쟁력
(3). 브랜드경쟁력
(4). 품질경쟁력
본론Ⅱ. 4.관세 밎 비관세 장벽 현황
(1). 양국 간 자동차관세 현황
(2). 양국 간 자동차 비관세 장벽 현황
본론Ⅲ. 1.한미 FTA 타결
(1). 주요 협정문 내용
(2). 주요 쟁점별 타결내용
본론Ⅲ. 2.한미 FTA가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수출입 변화
※.자동차 수출입 변화
(2). 산업구조의 변화
본론Ⅳ. 한미 FTA를 통한 자동차산업 고도화 방안
1. 기업의 대응 방안
2. 정부의 정책 지원 방안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으나 일부 경쟁차(Toyota Yaris)에 비해서는 가격경쟁력을 상실하고 있습니다. Sonata의 경우에도 경쟁차종 대비 3~4%의 가격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대형승용차 및 SUV의 경우에는 경쟁차 대비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추세는 주로 환율하락 및 원자재가 급등에 따른 수출가격 인상에 따라 對미 수출단가를 상향조정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05년에 U$12,138이던 수출 단가가 2006.1~10월 U$12,592로 수출단가가 3.7% 증가 하였습니다.
미국 내 국산차 및 경쟁차 가격경쟁력
한국산차(A)
미국내 경쟁차종(B)
경쟁력(B/A)
Accent GLS(1.6L)
Yaris(Toyota), 1.5L
95.44
Fit(Honda), 1.5L
109.89
Elantra GLS(2.0L)
Reno(Suzuki), 2.0L
100.71
Civic DX(Honda), 1.8L
111.50
Lancer ES(Mitsubishi),2.0 L
108.64
Mazda 3 i,2.0 L
102.57
Sonata GL(2.4L)
Accord(Honda), 2.4L
106.81
Altima 2.5(Nissan), 2.5L
103.17
Camry(Toyota), 2.4L
104.97
Fusion SEL(Ford), 2.3L
100.00
Azera SE(3.8L)
Accord LX(Honda), 3.0L
82.24
(국내모델명: TG)
Camry LE(Toyota), 3.5L
95.10
Altima 3.5 SE(Nissan), 3.5L
97.70
S40(Volvo), 2.4L
98.97
Santa Fe GLS(2.7L)
CR-V(Honda), 2.4L
97.61
RAV4(Toyota), 2.4L
98.99
주 :각 차종 기본모델 기준임
자료 : Kelly Blue Book, 2006.12
(2). 기술경쟁력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기술의 선진국 대비 범용기술의 격차는 축소된 반면 미래형자동차 등 첨단기술 격차는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기술 수준은 선진국의 70~80% 수준이며, 해당 분야의 특허 출원등록 실적도 일본, 미국 등에 비해 크게 뒤쳐지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의 기술수준 비교
구 분
가솔린하이브리드
디젤하이브리드
엔진모터 및 제어기술
90
50~85
변속기 및 변속제어기
65
50
배터리
95
60
주 :일본의 기술수준(=100) 대비
일본은 토요타가 97년에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을 개발하여 05년 미국시장에서 10만 대 이상을 판매하는 등 세계 하이브리드차량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한국 업체의 경우 아직 시험운행 단계에 있습니다.
미국내 하이브리드차 판매현황
(단위 : 대, %)
모델명/브랜드
2004
2005
증가율
토요타 프리우스
53,991
107,897
99.8
혼다 어코드
1,061
16,826
--
혼다 시빅
25,571
25,864
1.1
혼다 인사이트
583
666
14.2
포드 이스케이프
2,993
15,591
420.9
렉서스 RX400
0
20,661
--
토요타 하이랜더
0
17,957
--
머큐리 마리나
0
369
--
총계
84,199
205,828
144.5
하이브리드차 시장선점에 성공한 도요타에 대응하여 ‘GM-다임러크라이슬러- BMW’ 및 ‘폭스바겐-아우디-포르세’가 기술제휴 관계를 구축하였고, 현대, 르노 등은 독자적인 기술개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본, 미국의 하이브리드자동차 개발보급 현황
국가
개발 및 생산 현황
보급 지원 현황
일본
도요타
- 10년내 전 차종의 하이브리드화 추진
- ’06년 7개 모델 40만 대 생산계획
혼다
- 하이브리드 차종 및 시장점유 확대전략 추구
닛산 : 도요타와 기술제휴
- ’06년 북미 판매 목표
기존차와의 차액의 50% 보조
취득세 2.7% 감면
자동차세 50% 감면
초년도 30% 감가상각
법인세 7% 우대 조치
미국
포드
- 하이브리드형 SUV 개발(’04년)
- 향후 3년간 4차종 양산, 토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 장착
GM
- ’07년까지 100만 대 생산능력 구축, 12종의 하이브리드차종 생산 예정
’06년부터 4년간 3,400달러
세액 공제(업체별 6만 대 한도)
하이브리드자동차 구입비의
10% 세액 공제(상한 4,000달러)
소비세 8% 공제
州세 우대(등록세, 매상세 공제등)
(3). 브랜드경쟁력
인터브랜드에 따르면 2005년 현대차의 브랜드가치는 35억 달러로 전 세계 84위위를 차지했으며, 자동차기업 중 8위를 차지하여 매년 향상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차는 브랜드가치 면에서 도요타의 7분의 1에 불과하며 아직 브랜드 가치가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동차 기업별 브랜드가치 및 순위(2005년)
업체명
브랜드가치(억 달러)
자동차 순위
Toyota
248.4
1
M-Benz
200.1
2
BMW
171.3
3
Honda
157.9
4
Ford
131.6
5
현 대
34.8
8
(4). 품질경쟁력
미국의 품질평가기관인 J.D.Power에 따르면 2003년까지 한국산 자동차의 품질경쟁력이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업체에 비해 뒤졌으나, 2004년 이후 미국, 유럽업체들을 앞선 것으로 나타나 초기품질은 크게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외국에서 품질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06년 업체별 IQS지수는 현대가 102로서 Porsche(91) 및 Lexus(93) 등 럭셔리브랜드를 제외할 경우 1위를 차지했습니다.
본사 위치별 자동차업체의 IQS 지수추이
연도
2001
2002
2003
2004
한국업체
214
172
152
117
미국업체
153
137
135
123
유럽업체
141
137
135
122
일본업체
135
123
126
111
산업평균
147
133
133
119
그러나 내구품질에 있어서는 한국 업체가 아직 전체 산업평균에 미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었습니다. 다만 초기품질이 크게 향상된 차량이 조사대상이 되는 2007년 이후에는 한국차 의 내구품질도 선진업체 자동차와 대등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본론Ⅱ. 4.관세
이와 같은 추세는 주로 환율하락 및 원자재가 급등에 따른 수출가격 인상에 따라 對미 수출단가를 상향조정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05년에 U$12,138이던 수출 단가가 2006.1~10월 U$12,592로 수출단가가 3.7% 증가 하였습니다.
미국 내 국산차 및 경쟁차 가격경쟁력
한국산차(A)
미국내 경쟁차종(B)
경쟁력(B/A)
Accent GLS(1.6L)
Yaris(Toyota), 1.5L
95.44
Fit(Honda), 1.5L
109.89
Elantra GLS(2.0L)
Reno(Suzuki), 2.0L
100.71
Civic DX(Honda), 1.8L
111.50
Lancer ES(Mitsubishi),2.0 L
108.64
Mazda 3 i,2.0 L
102.57
Sonata GL(2.4L)
Accord(Honda), 2.4L
106.81
Altima 2.5(Nissan), 2.5L
103.17
Camry(Toyota), 2.4L
104.97
Fusion SEL(Ford), 2.3L
100.00
Azera SE(3.8L)
Accord LX(Honda), 3.0L
82.24
(국내모델명: TG)
Camry LE(Toyota), 3.5L
95.10
Altima 3.5 SE(Nissan), 3.5L
97.70
S40(Volvo), 2.4L
98.97
Santa Fe GLS(2.7L)
CR-V(Honda), 2.4L
97.61
RAV4(Toyota), 2.4L
98.99
주 :각 차종 기본모델 기준임
자료 : Kelly Blue Book, 2006.12
(2). 기술경쟁력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기술의 선진국 대비 범용기술의 격차는 축소된 반면 미래형자동차 등 첨단기술 격차는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기술 수준은 선진국의 70~80% 수준이며, 해당 분야의 특허 출원등록 실적도 일본, 미국 등에 비해 크게 뒤쳐지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의 기술수준 비교
구 분
가솔린하이브리드
디젤하이브리드
엔진모터 및 제어기술
90
50~85
변속기 및 변속제어기
65
50
배터리
95
60
주 :일본의 기술수준(=100) 대비
일본은 토요타가 97년에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을 개발하여 05년 미국시장에서 10만 대 이상을 판매하는 등 세계 하이브리드차량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한국 업체의 경우 아직 시험운행 단계에 있습니다.
미국내 하이브리드차 판매현황
(단위 : 대, %)
모델명/브랜드
2004
2005
증가율
토요타 프리우스
53,991
107,897
99.8
혼다 어코드
1,061
16,826
--
혼다 시빅
25,571
25,864
1.1
혼다 인사이트
583
666
14.2
포드 이스케이프
2,993
15,591
420.9
렉서스 RX400
0
20,661
--
토요타 하이랜더
0
17,957
--
머큐리 마리나
0
369
--
총계
84,199
205,828
144.5
하이브리드차 시장선점에 성공한 도요타에 대응하여 ‘GM-다임러크라이슬러- BMW’ 및 ‘폭스바겐-아우디-포르세’가 기술제휴 관계를 구축하였고, 현대, 르노 등은 독자적인 기술개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본, 미국의 하이브리드자동차 개발보급 현황
국가
개발 및 생산 현황
보급 지원 현황
일본
도요타
- 10년내 전 차종의 하이브리드화 추진
- ’06년 7개 모델 40만 대 생산계획
혼다
- 하이브리드 차종 및 시장점유 확대전략 추구
닛산 : 도요타와 기술제휴
- ’06년 북미 판매 목표
기존차와의 차액의 50% 보조
취득세 2.7% 감면
자동차세 50% 감면
초년도 30% 감가상각
법인세 7% 우대 조치
미국
포드
- 하이브리드형 SUV 개발(’04년)
- 향후 3년간 4차종 양산, 토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 장착
GM
- ’07년까지 100만 대 생산능력 구축, 12종의 하이브리드차종 생산 예정
’06년부터 4년간 3,400달러
세액 공제(업체별 6만 대 한도)
하이브리드자동차 구입비의
10% 세액 공제(상한 4,000달러)
소비세 8% 공제
州세 우대(등록세, 매상세 공제등)
(3). 브랜드경쟁력
인터브랜드에 따르면 2005년 현대차의 브랜드가치는 35억 달러로 전 세계 84위위를 차지했으며, 자동차기업 중 8위를 차지하여 매년 향상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차는 브랜드가치 면에서 도요타의 7분의 1에 불과하며 아직 브랜드 가치가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동차 기업별 브랜드가치 및 순위(2005년)
업체명
브랜드가치(억 달러)
자동차 순위
Toyota
248.4
1
M-Benz
200.1
2
BMW
171.3
3
Honda
157.9
4
Ford
131.6
5
현 대
34.8
8
(4). 품질경쟁력
미국의 품질평가기관인 J.D.Power에 따르면 2003년까지 한국산 자동차의 품질경쟁력이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업체에 비해 뒤졌으나, 2004년 이후 미국, 유럽업체들을 앞선 것으로 나타나 초기품질은 크게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외국에서 품질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06년 업체별 IQS지수는 현대가 102로서 Porsche(91) 및 Lexus(93) 등 럭셔리브랜드를 제외할 경우 1위를 차지했습니다.
본사 위치별 자동차업체의 IQS 지수추이
연도
2001
2002
2003
2004
한국업체
214
172
152
117
미국업체
153
137
135
123
유럽업체
141
137
135
122
일본업체
135
123
126
111
산업평균
147
133
133
119
그러나 내구품질에 있어서는 한국 업체가 아직 전체 산업평균에 미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었습니다. 다만 초기품질이 크게 향상된 차량이 조사대상이 되는 2007년 이후에는 한국차 의 내구품질도 선진업체 자동차와 대등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본론Ⅱ. 4.관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