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용약부 痰核 영류 유핵 폐옹 삼출보비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과용약부 痰核 영류 유핵 폐옹 삼출보비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지모, 패모, 생지황, 아교, 천궁, 상백피, 백급, 백지, 감초 각각2g, 사간, 길경, 천문동, 박하, 행인, 반하, 자소엽, 방풍 각각 3g, 생강 7조각, 오매 1개를 물에 달여 복용한다.
治肺癰의 有膿하야 腥氣上衝 嘔吐咳嗽니라.
소농음은 폐옹에 농이 있어서, 비린내가 상충하고 구토 해수함을 치료한다.
蔘補肺湯
삼기보폐탕
人蔘 黃 白朮 茯 陳皮 當歸 山茱萸 山藥 五味子 麥門冬 甘草 各五分 熟地一錢半 牧丹皮一錢 薑煎服하니라.
삼기보폐탕은 인삼, 황기, 백출, 복령, 진피, 당귀, 산수유, 산약, 오미자, 맥문동, 감초 각각2g, 숙지황 6g, 목단피 4g과 생강에 달여 복용한다.
治肺癰의 腎水不足으로 虛火上炎하야 咳吐膿血 發熱作渴 小便不調니라.
삼기보폐탕은 폐옹의 신수가 부족하여 허화가 상염하여 기침 농혈을 토하고 발열 갈증생기고 소변이 고르지 않음을 치료한다.
參朮補脾湯
삼출보비탕
人蔘 白朮 各二錢 黃 二錢半 茯 陳皮 當歸各一錢 升麻三分 麥門七分 桔梗六分 五味子四分 甘草五分 薑煎服하니라.
인삼, 백출 각각 8g, 황기 10g, 복령, 진피, 당귀 각각 4g, 승마 1.2g, 맥문동 2.8g, 길경2.4g, 오미자 1.6g, 감초 2g을 생강에 달여 복용한다.
治肺癰의 脾氣虛弱하야 咳吐膿涎하고 中滿不食이라.
폐옹의 비기가 허약하여 기침으로 농연을 토하고 중초창만하여 먹지 못함을 치료한다.
凡肺癰에 見膿血하고 久不愈하면 必兼服此藥하야 以補脾生肺니 否則不治니라.
폐옹에 농혈이 나타나고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 반드시 이 삼출보비탕을 겸하면 비를 보하고 폐를 생성하니 그렇지 않으면 치료하지 못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1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