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화론의 원리 및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의 언어변화 기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머리말

2. 문법화론의 정의와 특징

3. 문법화의 원리
3.1 층위화
3.2 분화
3.3 전문화
3.4 의미지속성
3.5 탈범주화

4. 담화표지의 형태와 기능
4.1 단어
4.2 구
4.2.1 명사구
4.2.2 동사구

5.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
5.1 문법화의 개념과 원리
5.2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

6.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장의 명제 내용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디 단어와 구로 기능하는 여러 형태가 문법화하여 담화표지로 바뀌는 언어 변화 과정에 Hopper(1991)에서 제시한 문법화의 원리와 Heine & Kuteva(2002)에서 제시한 문법화의 4가지 기제가 적용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여러 형태의 단어와 구가 내용어로서 본디 기능을 유지하면서 한편으로는 그것이 기능어로 바뀌어 담화표지로 사용되는 현상이 분화 원리에 따른 문법화에 의한 언어 변화임이 드러났다. 그리고 이러한 문법화에는 서로 연관된 4가지 중요한 기제가 작용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어의 담화표지 중에는 본디 담화표지로 기능하지 않던 내용어인 단어와 구가 문법화에 의해 기능어인 담화표지로 바뀌어 사용되는 형태가 적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6. 맺음말
의사소통의 단위라 할 수 있는 담화는 전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담화의 구성에 여러 종류의 담화표지가 사용된다. 담화표지에는 본디부터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형태와 내용어가 문법화에 의해 담화표지로 바뀌어 사용되는 형태가 있는데, 이 글에서는 후자에 한하여 먼저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형태를 단어와 구로 나누어 그 담화적 기능을 기술하고, 그 다음으로 내용어가 담화표지로 바뀌는 과정에 Hopper(1991)가 제시한 분화 원리에 따른 문법화가 관여하는 사실과 Heine & Kuteva(2002)가 제시한 문법화의 기제 4가지가 작용함을 확인해 보았다.
담화표지로 사용되는 형태는 단어와 구로 크게 갈라진다. 단어의 형태에는 명사, 대명사, 관형사, 부사 따위가 있으며, 구의 형태에는 명사구와 동사구가 있다. 명사가 문법화하여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형태에는 어머님, 아버님, 선생님 따위가 있고, 대명사가 문법화하여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형태에는 어디, 뭐, 저, 거, 거시기, 왜 따위가 있으며, 관형사가 문법화하여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형태에는 무슨과 웬이 있다. 그리고 부사가 문법화하여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형태에는 가만, 참, 아니, 이제, 그냥 따위가 있다. 또 명사구가 문법화하여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것으로는 뭘과 어디요가 있으며, 동사구가 문법화하여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형태에는 말이야, 뭐야, 있잖아, 뭔가 하면, 그러잖아도 따위가 있다.
이들 담화표지는 문장의 명제 내용에는 관여하지 않으면서 각 형태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담화의 전달 효과를 높이는 공통의 담화적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담화표지가 문장의 명제 내용에 관여하지 않는 사실을 통해, 이들 형태가 문장 문법의 층위에서는 수의적 요소이지만, 담화 문법의 층위에서는 필수적 요소임을 잘 알 수 있다.
내용어인 여러 형태의 단어와 구가 문법화하여 담화표지로도 기능하면서 한편으로는 본디 내용어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는 현상은, 분화 원리에 따른 문법화에 의한 언어 변화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문법화에는 의미의 표백화, 문맥의 확장, 비범주화, 음성적 실체의 삭제 따위의 서로 연관된 기제가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권영환. 1993. "도움풀이씨의 문법화," 부산한글 12. 한글학회 부산지회.
권영환. 1996. "매인이름씨 구성의 씨끝되기에 대하여," 우리말연구 6. 우리말연구회.
권재일. 1996. "문법 형태소의 소멸과 생성," 한국어 토씨외 씨끝의 연구사.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김기혁. 1995. 국어 문법 연구 - 형태.통어론 -.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고영진(1997), 한국어 문법화 과정, 국학자료원.
권재일(1998), 문법 변화와 문법화, 방언학과 국어학, 태학사.
김태엽(2000), 국어 담화표지의 유형과 담화표지되기, 우리말글 19, 우리말글학회.
(2001), 기능어의 문법화, 우리말글 23, 우리말글학회.
서경희·홍종화(1999), "이게 바로 그거야":원근지시에서 태도지시로, 담화와 인지 6-2, 담화인지언어학회.
안주호(1992), 한국어 담화표지 분석, 말 17, 연세대 한국어학당.
(1996),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유창돈(1962), 허사화 고구, 인문과학 7,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1964), 이조국어사 연구, 선명문화사.
이기갑91995), 한국어 담화표지 '이제', 담화와 인지 1,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정애(2002), 국어 화용표지의 연구, 월인.
이태영(1988), 국어 동사의 문법화 연구, 한신문화사.
이한규(1996), 한국어 담화표지어 '그래'의 의미 연구, 담화와 인지 3, 담화인지언어학회.
(1997), 한국어 단화 표지어 '왜', 담화와 인지 4-1, 담화인지언어학회.
임규홍(1996), 국어 담화표지 '인자'에 대한 연구, 담화와 인지 2, 담화인지언어학회.
(1998), 국어 '말이야'의 의미와 담화기능, 담화와 인지 5-2, 담화인지언어학회.
임지룡(1997),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1998), 인지의미론, 의미론 연구의 새 방향, 도서출판 박이정.
허재영(1997), 우리말 문법화의 흐름, 한말연구3, 한말연구학회.
Givon, T.(1979), From discourse to syntax : grammar as a processing strategy, In T. Givon, Syntax and Semantics, vol 12, Academic Press, New York.
Leech, G. N.(1983), Principles of Pragmatics, London: Longman.
Hopper, P.(1991), On some principles of grammaticalization, In E. Traugott & B. Heine eds, Approaches to Grammaticalization, vol 1, 17-35.
Hopper, p. & Traugott, E.(1993), Grammatic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Heine, B. & Kuteva, T.(2002), World Lexicon of Grammatic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가격2,8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03.1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6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