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태를 확인하여 타이머의 다듬질 시간을 설 정한다.
5)다듬질 시간이 길어도 면이 거칠 경우에는 렌즈축의 속도 DIA-W의 거칠기 등의 관계가 있으므로 검토하여 수정토록 한다.
6)렌즈의 구면을 링 스페로메터나 기본 게이지에 밀착시켜 확인한다.
7)무리한 힘으로 레버를 작동시키거나 충격을 주었을 때는 두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7 )렌즈 분리 방법
레버를 뒤로 누르면 스프링 장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밀려나와 렌즈가 빠져 나온다.
( 8 )렌즈 가공시 주의 사항
1)가공 절삭 량 을 적절히 조절한다.
2)다듬질 시간을 적절히 조절한다.
-시간이 짧을 경우 렌즈의 다듬질 면에 렌즈절삭용 다이아몬드 공구의 절삭 자리 면이 거칠어진다. 작동 중 외부의 충격을 받게되면 기계내부의 정미부위에 손상을 입게되어 정확한 제품을 만들 수 없다.
3)작업 전, 후 윤활유를 주입 기계의 청결 성 유지 (렌즈 축 스핀들에는 필히 급유)
3.렌즈 붙이기
1차 연마 및 2차 연마를 위하여 피치를 사용하여 연마 틀에 붙여주어야 한다.
고체의 피치를 고주파 가열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녹인다.
-피치를 부을 평면 연마 툴의 가장자리에 종이 테이프 등으로 일정한 높이로 맞추어 붙인다.
-접착시킬 렌즈를 연마할 면에 바셀린을 바른 후 연마 반에 올려 놓는다.
-피치가 잘 붙게 하기 위하여 테이프 붙인 연마 틀을 가열한 후 피치를 붙는다
-빠른 시간에 바셀린을 이용하여 렌즈를 붙인 연마 반을 피치를 부은 연마 툴 위에 살짝 올려놓는다.
-피치가 어느 정도 굳으면 연마 툴 가장자리의 테이프를 뜯어버리고 가장자리를 칼을 이용해 다음 번 연마 시 떨어져서 연마 제와 섞이는 일이 없도록 한다.
-피치가 완전히 굳을 때까지 놓아둔다.
4.일차연마(smoothing)
SiC(산화규소)로 된 연마 제를 사용하여 커브제너레이션에 의해 가공된 면을 보다 곱고, 좀더 완성품의 치수에 가까운 렌즈 면으로 가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800-1200인 연마 제를 이용 렌즈를 붙인 연마 틀을 연마 반 위에 올려놓고 전원을 켠 뒤 연마 제가 적당량으로 적당한 곳에 뿌려 지도록 한다. 빠른 시간에 연마하기 위하여 무거운 추를 올려놓아도 된다.(800으로 연마를 마친 후 깨끗하게 씻은 후 다른 연마 제에서 연마를 하여야 한다.)
5.이차연마(Polishing) - CeO2(산화세륨)를 사용하여 렌즈의 가공 면을 투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차 연마가 끝난 틀을 깨끗이 씻은 후 Polishing을 할 수 있는 연마대의 연마 반 위에 올려놓는다.
-PUMP ON 버튼을 누른 후 연마제의 양과 위치를 적당히 조절한다.
6.표면검사
이차 연마가 끝난 렌즈를 틀에서 떼어내기 전에 이차연마 중에 생긴 흠집이나 이차연마 후에도 남아있는 일차연마의 흔적들에 대해서 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면의 형상이나 곡률 반경에 대해서는 원기를 사용하여 검사한다. 만일 불량이 발견되면 일차연마부터 다시 가공하거나 렌즈의 두께가 다시 가공하기 어려울 정도로 얇아진 경우는 폐기해 버려야 한다. 잘 못하면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신중을 기해야겠다.
7.렌즈 떼기
렌즈는 냉동 조 내에 넣어져 온도를 낮추어서 유리와 피치의 열팽창률이 다른 점을 이용 하여 접착되어 있던 틀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나. 실험실에 냉동 조가 없는 관계로 나무 망치를 이용하여 살살 쳐서 조심스레 떼어낸다.
8.세척
떼어낸 렌즈는 초음파 세척으로 오염을 제거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또한 실험실에 없는 관계로 피치가 지용성인 것을 이용하여 휘발성 액체를 이용하여 마지막으로 렌즈에
붙어있는 피치조각을 제거한다.
9.보호막 칠하기
연마된 면은 공기중의 먼지나 연마 제, 취급상의 부주의 등에 의하여 흠집이 생기기 쉬어 피치용액으로 된 보호막을 칠해주게 된다.
여기 까지가 1면의 렌즈에 대한 실험 과정이었고, 보호막을 칠하고 나서 2면 렌즈에 같은 방법으로 렌즈 붙이기에서 세척까지의 과정을 거치면 되겠다.
10.검사
두 번째 면까지의 연마가 끝난 후 검사는 앞서 흠집검사 외에 렌즈의 두께검사가 추가로 실시된다. 또한 틀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좋은 표면 형상을 나타내던 렌즈도 틀에서 떼어내고 나면 향상이 변하는 수가 있으므로 다시 한번 뉴톤 링 검사를 행한다.
5.고찰 및 결론
본 실험은 렌즈를 평면 연마하는 실험이었다. 연마에 대한 아무런 지식이 없었던 상황이었지만 직접 몸으로 느끼며 실험하면서 연마에 대한 것을 이해 할 수가 있었다. 평면렌즈를 얻기 위해선 커브제너레이터 가공에서 입력값을 o°로 하고 작업해야했다. 특히 절삭량의 조절은 무엇보다도 중요했다. 너무 절삭량을 너무 많게 하려다 렌즈에 무리가 가서 렌즈가 깨졌다. 또한 렌즈절삭용 다이아몬드 공구의 절삭 자리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이다. 주위를 기울여야했다. 평면 렌즈를 깍을 때 렌즈의 가운데에 배꼽이 생기지 않도록 축을 조절하면서 해야했다. 결과로는 나오지 않았지만 볼록오목 렌즈를 연마하기 위해서는 커브제너레이션 입력값이 렌즈의 곡률 반경에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커브제너레이터로 연마후 피치에 가공한 렌즈를 붙여 거친면을 연마제를 이용하여 면을 곱게 다듬고 광택을 내기위한 연마는 생각보다 시간도 많이 소비되고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기 까지 인내심이 필요했다.
또, 렌즈의 연마제에의한 연마시 렌즈의 모든곳에 골고루 압력이 똑같이 가해지게 두손으로 렌즈를 돌려가며 가공을 하고서야 깨끗한 렌즈를 얻을 수 있었다. 렌즈가공에서 이 마지막 Polishing 과정은 렌즈 품질에 가장 중요한 공정으로 그만큼 손도 많이 가고 시간도 많이 소비되었다.
사진은 Fizeau 간섭계를 이용한 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newton Ring모양을 보면 동심원이 많이 생긴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로인해 완전한 평면이 아니라 약간의 곡률이 있고 원 모양도 삐뚠 것으로 봐서 연마를 할 때 힘 조절이 그리 잘 되지 못함을 알 수 가 있었다.
본 실험은 사실 연마결과도 중요하지만 연마 과정을 몸으로 익히면서 렌즈연마에 대한 전체적인 공정 이해가 더 중요했던 실험이었다. 실험을 통하여 연마에 대한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5)다듬질 시간이 길어도 면이 거칠 경우에는 렌즈축의 속도 DIA-W의 거칠기 등의 관계가 있으므로 검토하여 수정토록 한다.
6)렌즈의 구면을 링 스페로메터나 기본 게이지에 밀착시켜 확인한다.
7)무리한 힘으로 레버를 작동시키거나 충격을 주었을 때는 두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7 )렌즈 분리 방법
레버를 뒤로 누르면 스프링 장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밀려나와 렌즈가 빠져 나온다.
( 8 )렌즈 가공시 주의 사항
1)가공 절삭 량 을 적절히 조절한다.
2)다듬질 시간을 적절히 조절한다.
-시간이 짧을 경우 렌즈의 다듬질 면에 렌즈절삭용 다이아몬드 공구의 절삭 자리 면이 거칠어진다. 작동 중 외부의 충격을 받게되면 기계내부의 정미부위에 손상을 입게되어 정확한 제품을 만들 수 없다.
3)작업 전, 후 윤활유를 주입 기계의 청결 성 유지 (렌즈 축 스핀들에는 필히 급유)
3.렌즈 붙이기
1차 연마 및 2차 연마를 위하여 피치를 사용하여 연마 틀에 붙여주어야 한다.
고체의 피치를 고주파 가열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녹인다.
-피치를 부을 평면 연마 툴의 가장자리에 종이 테이프 등으로 일정한 높이로 맞추어 붙인다.
-접착시킬 렌즈를 연마할 면에 바셀린을 바른 후 연마 반에 올려 놓는다.
-피치가 잘 붙게 하기 위하여 테이프 붙인 연마 틀을 가열한 후 피치를 붙는다
-빠른 시간에 바셀린을 이용하여 렌즈를 붙인 연마 반을 피치를 부은 연마 툴 위에 살짝 올려놓는다.
-피치가 어느 정도 굳으면 연마 툴 가장자리의 테이프를 뜯어버리고 가장자리를 칼을 이용해 다음 번 연마 시 떨어져서 연마 제와 섞이는 일이 없도록 한다.
-피치가 완전히 굳을 때까지 놓아둔다.
4.일차연마(smoothing)
SiC(산화규소)로 된 연마 제를 사용하여 커브제너레이션에 의해 가공된 면을 보다 곱고, 좀더 완성품의 치수에 가까운 렌즈 면으로 가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800-1200인 연마 제를 이용 렌즈를 붙인 연마 틀을 연마 반 위에 올려놓고 전원을 켠 뒤 연마 제가 적당량으로 적당한 곳에 뿌려 지도록 한다. 빠른 시간에 연마하기 위하여 무거운 추를 올려놓아도 된다.(800으로 연마를 마친 후 깨끗하게 씻은 후 다른 연마 제에서 연마를 하여야 한다.)
5.이차연마(Polishing) - CeO2(산화세륨)를 사용하여 렌즈의 가공 면을 투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차 연마가 끝난 틀을 깨끗이 씻은 후 Polishing을 할 수 있는 연마대의 연마 반 위에 올려놓는다.
-PUMP ON 버튼을 누른 후 연마제의 양과 위치를 적당히 조절한다.
6.표면검사
이차 연마가 끝난 렌즈를 틀에서 떼어내기 전에 이차연마 중에 생긴 흠집이나 이차연마 후에도 남아있는 일차연마의 흔적들에 대해서 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면의 형상이나 곡률 반경에 대해서는 원기를 사용하여 검사한다. 만일 불량이 발견되면 일차연마부터 다시 가공하거나 렌즈의 두께가 다시 가공하기 어려울 정도로 얇아진 경우는 폐기해 버려야 한다. 잘 못하면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신중을 기해야겠다.
7.렌즈 떼기
렌즈는 냉동 조 내에 넣어져 온도를 낮추어서 유리와 피치의 열팽창률이 다른 점을 이용 하여 접착되어 있던 틀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나. 실험실에 냉동 조가 없는 관계로 나무 망치를 이용하여 살살 쳐서 조심스레 떼어낸다.
8.세척
떼어낸 렌즈는 초음파 세척으로 오염을 제거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또한 실험실에 없는 관계로 피치가 지용성인 것을 이용하여 휘발성 액체를 이용하여 마지막으로 렌즈에
붙어있는 피치조각을 제거한다.
9.보호막 칠하기
연마된 면은 공기중의 먼지나 연마 제, 취급상의 부주의 등에 의하여 흠집이 생기기 쉬어 피치용액으로 된 보호막을 칠해주게 된다.
여기 까지가 1면의 렌즈에 대한 실험 과정이었고, 보호막을 칠하고 나서 2면 렌즈에 같은 방법으로 렌즈 붙이기에서 세척까지의 과정을 거치면 되겠다.
10.검사
두 번째 면까지의 연마가 끝난 후 검사는 앞서 흠집검사 외에 렌즈의 두께검사가 추가로 실시된다. 또한 틀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좋은 표면 형상을 나타내던 렌즈도 틀에서 떼어내고 나면 향상이 변하는 수가 있으므로 다시 한번 뉴톤 링 검사를 행한다.
5.고찰 및 결론
본 실험은 렌즈를 평면 연마하는 실험이었다. 연마에 대한 아무런 지식이 없었던 상황이었지만 직접 몸으로 느끼며 실험하면서 연마에 대한 것을 이해 할 수가 있었다. 평면렌즈를 얻기 위해선 커브제너레이터 가공에서 입력값을 o°로 하고 작업해야했다. 특히 절삭량의 조절은 무엇보다도 중요했다. 너무 절삭량을 너무 많게 하려다 렌즈에 무리가 가서 렌즈가 깨졌다. 또한 렌즈절삭용 다이아몬드 공구의 절삭 자리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이다. 주위를 기울여야했다. 평면 렌즈를 깍을 때 렌즈의 가운데에 배꼽이 생기지 않도록 축을 조절하면서 해야했다. 결과로는 나오지 않았지만 볼록오목 렌즈를 연마하기 위해서는 커브제너레이션 입력값이 렌즈의 곡률 반경에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커브제너레이터로 연마후 피치에 가공한 렌즈를 붙여 거친면을 연마제를 이용하여 면을 곱게 다듬고 광택을 내기위한 연마는 생각보다 시간도 많이 소비되고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기 까지 인내심이 필요했다.
또, 렌즈의 연마제에의한 연마시 렌즈의 모든곳에 골고루 압력이 똑같이 가해지게 두손으로 렌즈를 돌려가며 가공을 하고서야 깨끗한 렌즈를 얻을 수 있었다. 렌즈가공에서 이 마지막 Polishing 과정은 렌즈 품질에 가장 중요한 공정으로 그만큼 손도 많이 가고 시간도 많이 소비되었다.
사진은 Fizeau 간섭계를 이용한 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newton Ring모양을 보면 동심원이 많이 생긴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로인해 완전한 평면이 아니라 약간의 곡률이 있고 원 모양도 삐뚠 것으로 봐서 연마를 할 때 힘 조절이 그리 잘 되지 못함을 알 수 가 있었다.
본 실험은 사실 연마결과도 중요하지만 연마 과정을 몸으로 익히면서 렌즈연마에 대한 전체적인 공정 이해가 더 중요했던 실험이었다. 실험을 통하여 연마에 대한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