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휴식과 수면의 기전
2.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수면-각성 주기에 따른 각 단계별 특성
4. 연령에 따른 수면-각성 주기의 특성
5. 수면장애의 종류와 증상/요인
7. 간호과정
2.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수면-각성 주기에 따른 각 단계별 특성
4. 연령에 따른 수면-각성 주기의 특성
5. 수면장애의 종류와 증상/요인
7. 간호과정
본문내용
경우와 기간, 아침에 깨어난 시간
대상자가 수면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어떤 걱정
대상자가 수면에 긍적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요인
③ 수면일기를 쓰는 것이 대상자에게 스트레스를 준다면 같이 자는 사람의 도움을 받거나 일기를 중단하도록 함.
(3) 신체검진
① 신체검진은 대상자의 얼굴 모습, 행동, 에너지 수준의 관찰을 포함
② 에너지 부족은 대상자가 육체적으로 약하거나 무기력, 피로한 것을 관찰
③ 간호사는 대상자의 비중격이 삐뚤어졌는지, 목이 굵은지, 살이 쪘는지 사정 (→폐색성 수면성 무호흡 또는 코골기와 연관)
(4) 진단검사
① 수면은 수면장애 검사실에서 폴리솜노그래프(polysomnography)에 의해 객관적으로 측정된다. 뇌전도(EEG), 근전도(EMG), 안구전도(EOG)가 동시에 기록되며, 기록들은 수면을 REM과 NREM 수면으로 구분
② 초기 인터뷰의 결과에 따라 호흡 노력과 공기흐름, 심전도(ECG), 다리 운동, 산소 포화도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산소 포화도와 심전도 검사는 수면성 무호흡이 의심될 경우, 특히 중요
③ 폴리솜노그래프를 통하여 수면중의 대상자의 행동(운동, 몸부림, 거친 호흡)을 사정가능
2) 간호진단
몽유병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불충분한 수면의 질과 양에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불면증과 관련된 피로
수면성 무호흡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위험성
잘못된 정보와 관련된 지식부족(불면증에 대한 자가 치료)
만성 불면증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수면성 무호흡과 죽음의 위협과 관련된 불안
수면박탈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3) 간호계획
① 간호사는 각 간호진단의 원인에 근거한 특정 간호중재를 계획한다.
② 수면장애가 있는 대상자를 돕는 NIC 중재의 예
ⅰ) 불안 감소
ⅱ) 환경관리 : 안위
ⅲ) 수면강화
ⅳ) 간단한 마사지
ⅴ) 간단한 이완요법
4) 수행
(1) 대상자 교육
- 수면을 향상시키는 상황과 수면을 방해하는 상황
- 수면제의 안전한 사용
- 다른 처방된 약물이 수면에 미치는 효과
- 질병 상태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① 수면 양상
일주일 동안 매일 규칙적인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설정한다.
낮에 적당한 운동을 하되 잠자기 2시간전에 과도한 육체적 운동은 피한다.
독서, 조용한 음악 감상, 따뜻한 목욕, 또는 좋아하는 다른 조용한 활동 등 잠자기 전의 규칙적인 습관을 가진다.
잠을 잘 수 없을 때에는 졸릴 때까지 이완활동을 수행한다.
② 환경
적당한 조명, 온도, 환기를 보장한다.
소음을 최소로 하고, 필요하다면 조용한 음악을 틀어 외부소음을 차단한다.
③ 식이
잠자기 3시간 전부터 과식을 피한다.
최소한 잠자기 4시간 전부터 알코올과 카페인이 든 음식과 음료를 피한다.
잠자기 2~4시간 전부터 수분섭취를 줄인다.
야식이 필요할 경우 가벼운 탄수화물 음식을 섭취하거나 우유를 마신다.
④ 투약
최후의 수단으로 수면제를 사용한다. 수면제는 적당하게 복용한다.
아픔과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잠자기 30분전에 진통제를 투여한다.
불면증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약물을 조정하는 것에 대해 보건 의료인과 상담한다.
(2) 취침 시의 일상적 습관 보조
(3) 휴식할 수 있는 환경 조성
(4) 안위와 이완증진
① 안위간호
헐렁한 잠옷을 제공한다.
침상 홑이불이 부드럽고,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인지 확인한다.
취침 전에 등을 마사지 해준다.
의존적인 대상자들에게 근육이완을 돕기 위해 적절하게 체위를 취해 주고, 압박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통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수면 30분 전에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통증 부위에 온냉요법을 적용하거나, 지지 드레싱을 하거나, 부목을 대준다.
호흡 문제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잠자기 전에 기관지 확장제 같은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숨쉬기가 편하도록 적절한 자세(예:반좌위)를 취하도록 해준다.
② 보온
더운물 주머니나 미리 따뜻하게 한 목욕 담요로 침대를 따뜻하게 하고, 대상자가 침대에 들어가기 전에 더운물 주머니를 치운다.
보온을 위해 가능하면 100% 면 플란넬 홑이불을 사용하고, 그렇지 못하면 시트와 침대커버 사이에 보혼 담요를 넣어 준다.
대상자의 플란넬 나이트 가운이나 파자마, 헐렁한 조깅복, 보온 양말, 다리 보온대, 긴 속옷, 수면 모자, 스웨터, 혹은 좋아하는 퀼트나 담요 등을 사용하도록 해준다.
③ 이완증진
몇 분간의 느리고 깊은 호흡 다음에 느리고 리드미컬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은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온함을 유도한다.
심상요법, 명상, 요가도 가르칠 수 있다.
(5) 약물을 이용한 수면증진
수면제로는 수면을 유도하는 진정제와 수면제, 불안과 긴장을 감소시키는 항불안제 또는 정온제(벤조디아제핀)가 있으며, 흔히 prn(필요시 투여)으로 처방된다. 가능한 비약물적 중재가 우선되어야 한다.
간호사와 대상자 둘 다 처방된 약물의 작용, 효과, 적응증, 위험에 대해 알아야 한다.
5) 평가
(1)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 방법
① 대상자에게 0에서 10까지의 척도에서 어느 정도 불편하지를 질문한다.
(10이 가장 나쁜 것).
② 수면 준비 이후 30분간 대상자가 자는지 관찰하고 그 후 매 시간마다 관찰한다.
③ 일관된 수면-각성주기를 지키는지 확인한다.
④ 이완술 사용, 잠자기 전 유제품의 섭취 등 수면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한 중재방법이 도움되었는지 질문한다.
⑤ 아침에 깨었을 때 푹 쉬었다는 느낌이 드는지 대상자를 사정한다.
(2) 바라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이유를 찾음
① 원인 요인들이 잘 확인되었는가?
②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나 약물치료가 달라졌는가?
③ 대상자가 규칙적인 수면-각성 양상 설정에 대한 지시를 따랐는가?
④ 대상자는 카페인 섭취를 피했는가?
⑤ 대상자는 과도한 낮잠을 피하기 위해 자극적인 낮 활동에 참여했는가?
⑦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이 되도록 모든 가능한 방법이 동원되었는가?
⑧ 취침 시의 일상적 습관을 도와주었는가? 아침마다 저녁과 치침 시 행하는 일상습관을 확인한다.
⑨ 안위와 이완간호가 효과적이었나?
⑩ 수면증진을 위한 약물의 이용은 적절하였는가
대상자가 수면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어떤 걱정
대상자가 수면에 긍적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요인
③ 수면일기를 쓰는 것이 대상자에게 스트레스를 준다면 같이 자는 사람의 도움을 받거나 일기를 중단하도록 함.
(3) 신체검진
① 신체검진은 대상자의 얼굴 모습, 행동, 에너지 수준의 관찰을 포함
② 에너지 부족은 대상자가 육체적으로 약하거나 무기력, 피로한 것을 관찰
③ 간호사는 대상자의 비중격이 삐뚤어졌는지, 목이 굵은지, 살이 쪘는지 사정 (→폐색성 수면성 무호흡 또는 코골기와 연관)
(4) 진단검사
① 수면은 수면장애 검사실에서 폴리솜노그래프(polysomnography)에 의해 객관적으로 측정된다. 뇌전도(EEG), 근전도(EMG), 안구전도(EOG)가 동시에 기록되며, 기록들은 수면을 REM과 NREM 수면으로 구분
② 초기 인터뷰의 결과에 따라 호흡 노력과 공기흐름, 심전도(ECG), 다리 운동, 산소 포화도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산소 포화도와 심전도 검사는 수면성 무호흡이 의심될 경우, 특히 중요
③ 폴리솜노그래프를 통하여 수면중의 대상자의 행동(운동, 몸부림, 거친 호흡)을 사정가능
2) 간호진단
몽유병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불충분한 수면의 질과 양에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불면증과 관련된 피로
수면성 무호흡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위험성
잘못된 정보와 관련된 지식부족(불면증에 대한 자가 치료)
만성 불면증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수면성 무호흡과 죽음의 위협과 관련된 불안
수면박탈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3) 간호계획
① 간호사는 각 간호진단의 원인에 근거한 특정 간호중재를 계획한다.
② 수면장애가 있는 대상자를 돕는 NIC 중재의 예
ⅰ) 불안 감소
ⅱ) 환경관리 : 안위
ⅲ) 수면강화
ⅳ) 간단한 마사지
ⅴ) 간단한 이완요법
4) 수행
(1) 대상자 교육
- 수면을 향상시키는 상황과 수면을 방해하는 상황
- 수면제의 안전한 사용
- 다른 처방된 약물이 수면에 미치는 효과
- 질병 상태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① 수면 양상
일주일 동안 매일 규칙적인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설정한다.
낮에 적당한 운동을 하되 잠자기 2시간전에 과도한 육체적 운동은 피한다.
독서, 조용한 음악 감상, 따뜻한 목욕, 또는 좋아하는 다른 조용한 활동 등 잠자기 전의 규칙적인 습관을 가진다.
잠을 잘 수 없을 때에는 졸릴 때까지 이완활동을 수행한다.
② 환경
적당한 조명, 온도, 환기를 보장한다.
소음을 최소로 하고, 필요하다면 조용한 음악을 틀어 외부소음을 차단한다.
③ 식이
잠자기 3시간 전부터 과식을 피한다.
최소한 잠자기 4시간 전부터 알코올과 카페인이 든 음식과 음료를 피한다.
잠자기 2~4시간 전부터 수분섭취를 줄인다.
야식이 필요할 경우 가벼운 탄수화물 음식을 섭취하거나 우유를 마신다.
④ 투약
최후의 수단으로 수면제를 사용한다. 수면제는 적당하게 복용한다.
아픔과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잠자기 30분전에 진통제를 투여한다.
불면증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약물을 조정하는 것에 대해 보건 의료인과 상담한다.
(2) 취침 시의 일상적 습관 보조
(3) 휴식할 수 있는 환경 조성
(4) 안위와 이완증진
① 안위간호
헐렁한 잠옷을 제공한다.
침상 홑이불이 부드럽고,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인지 확인한다.
취침 전에 등을 마사지 해준다.
의존적인 대상자들에게 근육이완을 돕기 위해 적절하게 체위를 취해 주고, 압박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통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수면 30분 전에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통증 부위에 온냉요법을 적용하거나, 지지 드레싱을 하거나, 부목을 대준다.
호흡 문제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잠자기 전에 기관지 확장제 같은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숨쉬기가 편하도록 적절한 자세(예:반좌위)를 취하도록 해준다.
② 보온
더운물 주머니나 미리 따뜻하게 한 목욕 담요로 침대를 따뜻하게 하고, 대상자가 침대에 들어가기 전에 더운물 주머니를 치운다.
보온을 위해 가능하면 100% 면 플란넬 홑이불을 사용하고, 그렇지 못하면 시트와 침대커버 사이에 보혼 담요를 넣어 준다.
대상자의 플란넬 나이트 가운이나 파자마, 헐렁한 조깅복, 보온 양말, 다리 보온대, 긴 속옷, 수면 모자, 스웨터, 혹은 좋아하는 퀼트나 담요 등을 사용하도록 해준다.
③ 이완증진
몇 분간의 느리고 깊은 호흡 다음에 느리고 리드미컬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은 긴장을 완화시키고 평온함을 유도한다.
심상요법, 명상, 요가도 가르칠 수 있다.
(5) 약물을 이용한 수면증진
수면제로는 수면을 유도하는 진정제와 수면제, 불안과 긴장을 감소시키는 항불안제 또는 정온제(벤조디아제핀)가 있으며, 흔히 prn(필요시 투여)으로 처방된다. 가능한 비약물적 중재가 우선되어야 한다.
간호사와 대상자 둘 다 처방된 약물의 작용, 효과, 적응증, 위험에 대해 알아야 한다.
5) 평가
(1)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 방법
① 대상자에게 0에서 10까지의 척도에서 어느 정도 불편하지를 질문한다.
(10이 가장 나쁜 것).
② 수면 준비 이후 30분간 대상자가 자는지 관찰하고 그 후 매 시간마다 관찰한다.
③ 일관된 수면-각성주기를 지키는지 확인한다.
④ 이완술 사용, 잠자기 전 유제품의 섭취 등 수면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한 중재방법이 도움되었는지 질문한다.
⑤ 아침에 깨었을 때 푹 쉬었다는 느낌이 드는지 대상자를 사정한다.
(2) 바라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이유를 찾음
① 원인 요인들이 잘 확인되었는가?
②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나 약물치료가 달라졌는가?
③ 대상자가 규칙적인 수면-각성 양상 설정에 대한 지시를 따랐는가?
④ 대상자는 카페인 섭취를 피했는가?
⑤ 대상자는 과도한 낮잠을 피하기 위해 자극적인 낮 활동에 참여했는가?
⑦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이 되도록 모든 가능한 방법이 동원되었는가?
⑧ 취침 시의 일상적 습관을 도와주었는가? 아침마다 저녁과 치침 시 행하는 일상습관을 확인한다.
⑨ 안위와 이완간호가 효과적이었나?
⑩ 수면증진을 위한 약물의 이용은 적절하였는가
추천자료
산욕기 여성에 관한 영어 논문 해석본- when your patient is postpartum
산후조리
고혈압이란?
HIV양성자 및 AIDS환자의 간호
나의 인생설계서(공무원)
표준보육과정의 한영역 선택후 연령별 보육 활동의 예
전염성 질병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질병의 종류에 따라 아이들을 어떻게 관리해야하는가
표준보육과정에 제시된 안전교육(성격 목표 및 내용)을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기술하십시오
표준보육과정에+기본생활과+유치원교육과정+비교
[케이스스터디][정신분열증][위암][아스페르길루스증][담석증]정신분열증 케이스스터디(CaseS...
[질환별 물리치료] 중증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ppt
[아동건강교육] 아동건강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에 ...
2017년 2학기 놀이지도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