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의
2. 성격
3. 국민연금 제도의 연혁
4. 국민 연금의 필요성
5. 가입 대상자
7. 대부제도
2. 성격
3. 국민연금 제도의 연혁
4. 국민 연금의 필요성
5. 가입 대상자
7. 대부제도
본문내용
수 없는 경우에 반환일시금에 상당하는금액을 사망한 사람의 배우자, 자녀, 부모, 손자녀, 조부모, 형제자매 또는 4촌 이내의 방계혈족으로서 사망한 사람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던 유족에게 지급합니다.
7. 대부제도
5년이상(장애인은 3년이상)국민연금에 가입한 사람에게 전세자금 등을 대부합니다.
대부종류
내용
비고
전세자금
무주택기간 1년이상인 세대주(단독세대주 및 가입자의 배우자 포함)으로 이사(임차), 또는 현 주소지에서 1년이상 거주 후 임차례약을 갱신하려는 경우로 전세 보증금이 서울 6천만원, 시지역 4천만원, 기타지역 3천만원 이하일 때 500만원 이하를 대부함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임차한 경우에 한함
※2년거치 3년간 원금균등분할 상환
재해복구비
화재 또는 풍수해 등으로 1백만원 이상 재해를 당한 경우에 500만원 이하를 대부함.
※2년거치 3년간 원금균등분할 상환
의료비
본인,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의 진료비중 본인 부담 금이 1백만원 이상인 경우 200만원 이하를 대부함
※3년 원금균등분할 상환
학자금
본인, 배우자 또는 자녀가 국내 대학 입학 또는 재학중인 경우에 가입자 1인당 2회까지 200만원 이하를 대부함
※3년 원금균등분할 상환
경조사비
본인 또는 자녀가 결혼한 경우, 배우자 또는 직계존속(배우자 직계 존속 포함)이 사망한 경우에 300만원 이하를 대부함
※3년 원금균등분할 상환
대부절차
①대부요건이 발생하였음을 입증하는 서류를 구비하여
②국민연금관리공단 전국지사에서 대부결정통지서를 받아
③위탁금융기관(제일, 평화, 축협)의 여신규정에 의한 절차를 거친후에 대출금을 수령함
7. 대부제도
5년이상(장애인은 3년이상)국민연금에 가입한 사람에게 전세자금 등을 대부합니다.
대부종류
내용
비고
전세자금
무주택기간 1년이상인 세대주(단독세대주 및 가입자의 배우자 포함)으로 이사(임차), 또는 현 주소지에서 1년이상 거주 후 임차례약을 갱신하려는 경우로 전세 보증금이 서울 6천만원, 시지역 4천만원, 기타지역 3천만원 이하일 때 500만원 이하를 대부함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임차한 경우에 한함
※2년거치 3년간 원금균등분할 상환
재해복구비
화재 또는 풍수해 등으로 1백만원 이상 재해를 당한 경우에 500만원 이하를 대부함.
※2년거치 3년간 원금균등분할 상환
의료비
본인,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의 진료비중 본인 부담 금이 1백만원 이상인 경우 200만원 이하를 대부함
※3년 원금균등분할 상환
학자금
본인, 배우자 또는 자녀가 국내 대학 입학 또는 재학중인 경우에 가입자 1인당 2회까지 200만원 이하를 대부함
※3년 원금균등분할 상환
경조사비
본인 또는 자녀가 결혼한 경우, 배우자 또는 직계존속(배우자 직계 존속 포함)이 사망한 경우에 300만원 이하를 대부함
※3년 원금균등분할 상환
대부절차
①대부요건이 발생하였음을 입증하는 서류를 구비하여
②국민연금관리공단 전국지사에서 대부결정통지서를 받아
③위탁금융기관(제일, 평화, 축협)의 여신규정에 의한 절차를 거친후에 대출금을 수령함
추천자료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건강보혐 및 국민연금 보험료 도표
[국민연금제도][연기금]국민연금제도의 연혁과 현황 및 향후 개선방향 분석(국민연금제도의 ...
[국민연금]국민연금의 중장기 목표와 정책과제 및 개혁방안 분석(국민연금의 성격 및 필요성,...
사회보험방식의 4대 공적 연금제도
국민연금과 사보험에 대한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하여 예시를 들어 비교 설명하시오
[사회문제] 국민연금법에 관해.ppt
국민건강보험제도(발표용 PPT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사회보험)
국민연금, 공공부조 사회복지정책 신문기사분석(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신문기사분석, 개인...
[사회보험법] 국민건강보험법 (의의, 입법 배경과 연혁, 내용).pptx
우리나라 복지정책 중(국민연금, 건강보험, 아동학대, 가정폭력, 보육정책) 등 한 개 주제를 ...
[사회복지법제]국민연금 3대 크레딧제도에 대한 이해와 개선
사회복지 정책론 - 국민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