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혁명과 Marshall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한계혁명과 Marshall

Ⅱ. Marshall의 생애
1. 사회적 배경
2. A. Marshall의 생애

Ⅲ. Marshall의 경제학설

Ⅳ. Marshall의 주요 이론
1. 가치 및 균형
2. 수요 측면
3. 공급 측면
4. 생산 요소와 소득 분배

Ⅴ. 경제기사도

Ⅵ. 따뜻한 마음, 냉철한 머리

Ⅶ. 결 론

본문내용

학자이기도 했다. 설교자로서, 인간의 목자로서 그는 다른 사람보다 각별히 우수한 점은 없었다. 그러나 과학자로서의 그는 그의 전문분야에 있어서는 100년간을 통해서 세계에서 가장 위대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이 우위를 주려고 한 것은 그의 본성이 제1의 측면이었다. 이 자아야말로 주인이며, 제2의 자아는 종(從)이어야 한다고 그는 생각했다. 제2의 자아는 지식을 위해서 지식을 추구했다. 제1의 자아는 추상적 목적 현실의 발전의 필요에 종속시켰다.」 여기서 Keynes는 그의 스승 Marshall이 단순한 학자가 아니고 또한 윤리학자 또는 도의 실천자이기도 했다는 것을 극명하게 추사하고 있다. 결국, 신고전학파의 선구자인 Marshall의 경제기사도의 이념도 부유한 자가 빈곤한 자를 위하여 기사도 정신에 입각하여 과감하게 부를 나누어 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자본가 및 기업가는 경제 사회 내에서 축적한 이윤은 사회에 다시 환원시키는 것이야말로 사회정의의 실현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다만 자기 자신만의 경제적 영화를 누림으로써 그치는 것이 아니고 인도적, 선린적, 유리적 정신에서 오늘날 사회가 전개하고 있는 불우이웃돕기 운동도 바로 Marshall의 경제기사도 정신이라 할 수 있다.
Ⅵ. 따뜻한 마음, 냉철한 머리
끝으로 Marshall이 1885년 교수취임연설에서 강조한 학생의 모습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냉철한 머리와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아픔을 이겨내는 데 치선의 능력중 적어도 일부를 즐겁게 바치며, 세련되고 고귀한 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물질적 수단을 모두에게 어느정도 제공할 수 있는가를 깨닫기 위하여 있는 힘을 다하겠다고 결심한 사람’을 배출시키고자 했다. 그는 사회적 아픔을 느낄 수 있는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이를 과학적으로 밝힐 수 있는 ‘냉철한 머리’를 갖고자 하였다. 약자를 외면 하지 않는 따뜻한 마음과 문제의 본질을 꽤뚫어 볼 수 있는 날카로운 지성을 갖춘 경제학자가 될 것을 요구하는 이 말에서 나는 갚은 감동을 느끼게 되었다.
Ⅶ. 결 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경제학부 창설자이며 경제학파 중의 하나인 신고전학파 창시자인 Alfred Marshall에 생애와 경제관을 통하여 그가 이룩한 많은 이론과 정신적 이념들은 경제학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하여 많은 교훈을 주었다. Marshall에 의하면 경제적 진보는 어느 사회에 있어서도 새로운 발명과 생활수단의 축적에 따라 달성된다고 한다. 지금까지 경제가 진보함은 끊임없는 발명이 행해지며 자본이 축적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을 행하는 자는 바로 산업자본가라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사회를 개량할 경우에 있어서나 노사간의 어려운 쟁의를 해결함에 있어서도 경제사회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는 산업자본가의 경제기사도적 정신의 발휘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말하였다. 또한, 자본주의 문제점과 양극화가 심해지는 지금 시점에서‘냉철한 머리와 따뜻한 머리’이라는 Marshall의 경제 기사도의 원칙에서 약자를 외면하지 않는 따뜻한 마음과 문제의 본질을 꾀뚤어 볼 수 있는 날카로운 지성을 갖춘 경제학자가 될 것을 요구하는 그에 말에서 깊은 감동을 느끼게 된다.
Marshall은 공공의 복지를 위해서 부자가 그 재산을 빈자를 위해서 쓰는 것을 기대하는 데 있는 것 이라고 보았다. 오늘날 수정자본주의적인 경제적 후생의 이념, 또는 복지국가의 이념의 삭은 이러한 Marshall의 윤리관에서 싹텄다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Marshall은 ‘공공적 정신’(Public Spirit)도 포함되며 각 기업가는 ‘사회적 복지’(Social Well-being)을 전제화의 가치이념으로서 자각하여 행동하여야 된다고 본다. 또한, 오늘날 경제사회에서 기업가들이 Marshall이 주장하는 공공적 정신 및 사회적 복지증진을 위식하기 보다는 각자의 사적 이윤의 증대에만 혈안이 되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자유주의적인 자본주의 경제체제하에서는 사적 이윤의 추구가 경제활동의 중요 동기라 할지라도 경제사회를 통일하는 사회적 복지 공공적 정신으로서의 이념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김종혁, 「Alfred Marshall의 생애와 경제관」(주)한국재경사
조영달,「경제학과 경제사상」드림북스
토드 부크홀츠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김영사
유시민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푸른나무
E. K. Hunt 저, 김성구 역, 「경제사상사」 풀빛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3.25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