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OLED 개발의 역사
2.OLED 기본 원리와 구조
3.OLED의 발광재료와 구동방식
-저분자 재료의 기술 현황과 장단점
-고분자 재료의 기술 현황과 장단점
-OLED의 구동방식
-수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PMOLED)의 근황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의 근황
4. OLED의 기술별 전망
-OLED 구동용 Back Plane 기술
- Encapsulation 기술
- 발광 방식 관련 기술
- 능동형 OLED를 위한 반도체 층 형성 기술
- 발광 방향에 대한 기술
- 저소비전력 기술
5. 결론
-OLED 개발의 역사
2.OLED 기본 원리와 구조
3.OLED의 발광재료와 구동방식
-저분자 재료의 기술 현황과 장단점
-고분자 재료의 기술 현황과 장단점
-OLED의 구동방식
-수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PMOLED)의 근황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의 근황
4. OLED의 기술별 전망
-OLED 구동용 Back Plane 기술
- Encapsulation 기술
- 발광 방식 관련 기술
- 능동형 OLED를 위한 반도체 층 형성 기술
- 발광 방향에 대한 기술
- 저소비전력 기술
5. 결론
본문내용
는 anode 메탈이 증착되어야 하는데 메탈을 투명하게 하기 위해서는 매우 얇게 증착하는 기술이 필요함. 이는 양산성이 없는 방식이다. 반대로 OLED 하부에 메탈 anode를 두고 상부에 ITO cathode를 두는 방식은 OLED와 하부 ITO는 접합성이 좋으나 OLED 위의 ITO는 접합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을 가짐. 따라서 이 또한 양산성이 없다. 결국 모든 OLED 업체들이 top emission 기술을 개발해 오고 있지만 아직 기술적 장벽을 넘지 못해 고전하고 있는 상황이며 하지만 향후 OLED의 기술 방향 상 top emission 기술을 반드시 양산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각 업체의 노력에 의해 조만간 top emission 기술이 현실화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이를 위해 투명 cathode 물질 개발 및 OLED 위에 ITO 증착 기술 등 장애가 되는 기술에서의 breakthrough가 있어야 한다.
- 저소비전력 기술
LCD의 경우 전압 구동 방식으로 화상에 상관없이 큰 편차가 없는 전력 소모를 보이나 OLED는 화상에 따라 전력 소모에 차이를 보인다. 가장 power를 많이 소모하는 것은 백색이며 이를 기준으로 black은 0%, 동영상은 약 20~30%, 정지 화상은 50~60%를 소모하며 통상적인 평균 power 소모량은 Full white 상태의 30% 정도로 알려져 있다.
Power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OLED 물질의 효율을 향상시켜야 하고 구동 전압을 낮추어야 하며 구동 전압은 기존에 12V 이상에서 최근에는 10V 미만으로 낮추는 기술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
OLED 물질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광 dopant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 경우 양자 수율이 10% 이상 비약적으로 향상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 청색 발광 인광 dopant 개발이 미진하고 dopant를 첨가할 호스트 재료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5. 결론
-30년의 연구역사를 가진 OLED는 핸드폰의 내부, 외부 디스플레이에서부터 TV, 그리고 Flexible display와 같은 꿈의 Display분야로 까지 개발될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 주고 있습니다.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핸드폰의 디스플레이경우는 저 전력의 뛰어난 화질을 지닌 AMOLED 제조에 여러 한계가 있어서( AMOLED 제조에 필요한 구동 TFT는 주어진 게이트 전압에 동일한 전류를 OLED에 뿌려 주어야 하므로 흐르는 전류의 양이 OLED를 구동하는데 충분하여아 하며 모든 TFT가 동일한 양을 흘려야 한다는 기술적 제약을 가짐 ) 지금 대량으로 생산라인을 갖추고 생산중인 것은 고소비전력에 화면의 밝기와 해상도에 한계(128x160 26만 컬러)가 있지만 비교적 제조가 간단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PMOLED를 생산중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OLED가 나아가야 할 방향인 TV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AMOLED의 제조가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로서는 최선의 AMOLED 제조방법인 am top emesion 기술(적은 수의 TFT 사용 하도록) 보다 뛰어난 기술개발이 필요합니다.
-저분자 OLED는 긴수명과 우수한 발광효율을 갖고 있지만 재료를 바르는데 있어서 액화시키기가 여러워 어려움을 격고 있습니다. 반만 고분자 OLED는 제조 공정은 재료를 액화시켜 바를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지만 저분자 물질 보다 성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성능이 우수한 저분자 OLED를 사용하기 위해서 제조방법에 발전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금속기판 봉지기술에서부터 박막형 봉지기술로 발전해가고 있는 재료에 따른 OLED 제조기술은 앞으로 필름형 봉지기술 이용시 꿈의 Display분야인 Flexible display로의 개발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방습성 및 산소등에 대한 투과정도를 증가시키고, 저온성먹이 가능하며, 소자에 해를 입히지 않고, 응력이 적으며, 커버리지가 좋아야하는 등의 아직 기술 개발이 필요한 사항이 많이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이를 위해서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막 기술, 무기유기 다중막 기술이 개발중에 있습니다.
-현재 발광 방식은 정밀한 OLED 증착에는 기술의 한계가 있어 단색의 OLED에서 여러색을 추출해서 사용하는데 이것은 발광효율 측면에서 손해입니다. 이것으로 보아 OLED 증착 기술이 발전을 한다면 더 뛰어난 밝기와 색상의 디스플레이가 개발될 수 있고, 이미 드러난 AMOLED와 PMOLED, 저분자 OLED와 고분자 OLED의 단점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LCD와는 달리 OLED는 화면이 표현될 때 화상에 따라 전력 소모에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물질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구동전압을 낮춤으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현제 구동전압을 10V 미만으로 낮추는 기술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무기 EL에 비해 다양한 컬러와 빠른 응답속도로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OLED는 재료 개발과 증착기술 개발이 앞당겨 진다면 조만간 핸드폰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TV, 전광판, 뿐만아니라 Flexible display를 이용한 전자책, 자동차 전면 유리창에 나타나는 지도, 안내표시등 SF영화에서나 봤던 것들이 실생활로 다가올 것입니다.
<참고문헌>
[1] “유망 전자기기 부품 현황 분석”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 (www.eic.re.kr).
[2] 삼성 SDI (http://www.samsungsdi.com/contents/kr/tech/disClass_03_01.html).
[3] “유망 전자기기 부품 현황 분석”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 (www.eic.re.kr).
[4] 삼성 SDI (http://www.samsungsdi.com/contents/kr/tech/disClass_03_01.html).
[5] OLEDNET ( http://www.olednet.co.kr/main/main/index.asp ).
[6] 삼성 SDI (http://www.samsungsdi.com/contents/kr/tech/disClass_03_01.html).
[7] “유망 전자기기 부품 현황 분석”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 (www.eic.re.kr)
- 저소비전력 기술
LCD의 경우 전압 구동 방식으로 화상에 상관없이 큰 편차가 없는 전력 소모를 보이나 OLED는 화상에 따라 전력 소모에 차이를 보인다. 가장 power를 많이 소모하는 것은 백색이며 이를 기준으로 black은 0%, 동영상은 약 20~30%, 정지 화상은 50~60%를 소모하며 통상적인 평균 power 소모량은 Full white 상태의 30% 정도로 알려져 있다.
Power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OLED 물질의 효율을 향상시켜야 하고 구동 전압을 낮추어야 하며 구동 전압은 기존에 12V 이상에서 최근에는 10V 미만으로 낮추는 기술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
OLED 물질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광 dopant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 경우 양자 수율이 10% 이상 비약적으로 향상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 청색 발광 인광 dopant 개발이 미진하고 dopant를 첨가할 호스트 재료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5. 결론
-30년의 연구역사를 가진 OLED는 핸드폰의 내부, 외부 디스플레이에서부터 TV, 그리고 Flexible display와 같은 꿈의 Display분야로 까지 개발될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 주고 있습니다.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핸드폰의 디스플레이경우는 저 전력의 뛰어난 화질을 지닌 AMOLED 제조에 여러 한계가 있어서( AMOLED 제조에 필요한 구동 TFT는 주어진 게이트 전압에 동일한 전류를 OLED에 뿌려 주어야 하므로 흐르는 전류의 양이 OLED를 구동하는데 충분하여아 하며 모든 TFT가 동일한 양을 흘려야 한다는 기술적 제약을 가짐 ) 지금 대량으로 생산라인을 갖추고 생산중인 것은 고소비전력에 화면의 밝기와 해상도에 한계(128x160 26만 컬러)가 있지만 비교적 제조가 간단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PMOLED를 생산중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OLED가 나아가야 할 방향인 TV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AMOLED의 제조가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로서는 최선의 AMOLED 제조방법인 am top emesion 기술(적은 수의 TFT 사용 하도록) 보다 뛰어난 기술개발이 필요합니다.
-저분자 OLED는 긴수명과 우수한 발광효율을 갖고 있지만 재료를 바르는데 있어서 액화시키기가 여러워 어려움을 격고 있습니다. 반만 고분자 OLED는 제조 공정은 재료를 액화시켜 바를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지만 저분자 물질 보다 성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성능이 우수한 저분자 OLED를 사용하기 위해서 제조방법에 발전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금속기판 봉지기술에서부터 박막형 봉지기술로 발전해가고 있는 재료에 따른 OLED 제조기술은 앞으로 필름형 봉지기술 이용시 꿈의 Display분야인 Flexible display로의 개발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방습성 및 산소등에 대한 투과정도를 증가시키고, 저온성먹이 가능하며, 소자에 해를 입히지 않고, 응력이 적으며, 커버리지가 좋아야하는 등의 아직 기술 개발이 필요한 사항이 많이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이를 위해서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막 기술, 무기유기 다중막 기술이 개발중에 있습니다.
-현재 발광 방식은 정밀한 OLED 증착에는 기술의 한계가 있어 단색의 OLED에서 여러색을 추출해서 사용하는데 이것은 발광효율 측면에서 손해입니다. 이것으로 보아 OLED 증착 기술이 발전을 한다면 더 뛰어난 밝기와 색상의 디스플레이가 개발될 수 있고, 이미 드러난 AMOLED와 PMOLED, 저분자 OLED와 고분자 OLED의 단점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LCD와는 달리 OLED는 화면이 표현될 때 화상에 따라 전력 소모에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물질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구동전압을 낮춤으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현제 구동전압을 10V 미만으로 낮추는 기술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무기 EL에 비해 다양한 컬러와 빠른 응답속도로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OLED는 재료 개발과 증착기술 개발이 앞당겨 진다면 조만간 핸드폰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TV, 전광판, 뿐만아니라 Flexible display를 이용한 전자책, 자동차 전면 유리창에 나타나는 지도, 안내표시등 SF영화에서나 봤던 것들이 실생활로 다가올 것입니다.
<참고문헌>
[1] “유망 전자기기 부품 현황 분석”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 (www.eic.re.kr).
[2] 삼성 SDI (http://www.samsungsdi.com/contents/kr/tech/disClass_03_01.html).
[3] “유망 전자기기 부품 현황 분석”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 (www.eic.re.kr).
[4] 삼성 SDI (http://www.samsungsdi.com/contents/kr/tech/disClass_03_01.html).
[5] OLEDNET ( http://www.olednet.co.kr/main/main/index.asp ).
[6] 삼성 SDI (http://www.samsungsdi.com/contents/kr/tech/disClass_03_01.html).
[7] “유망 전자기기 부품 현황 분석”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 (www.eic.re.kr)
추천자료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살펴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의 미래 전개 방향 - 디지털 TV, LCD, OLED, 3D 디스플레이
LCD, OLED, 3D 디스플레이 - 선진국 및 국내 기술 개발 동향과 전략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경쟁력 및 국내외 시장, 분업 전망 - 디지털 TV, LCD, OLED, 3D 디스...
[디스플레이] OLED와 PLED (정의,제조방법,활용분야,기술동향,대체기술 등)
OLED의 구조 및 종류와 이 기술이 타 디스플레이 기술들에 대비되는 특징들에 대하여
OLED의시장성에 따른 OlED발전가능성 및 분류별현재문제점 앞으로 계획.hwp
OLED의 개요, 핵심기술, 기술개발 동향, 개선점 및 관련특허분석, 시장분석
OLED의 개요, 핵심기술, 기술개발 동향, 개선점 및 관련특허분석, 시장분석 발표 자료
대면적 OLED 제작의 가능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