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산하의 TAO(Telecommunications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주도로“고도 3D 텔레비전 프로젝트”(1997∼2002)를 통하여 기존 양안식 3DTV가 가지는 거리에 의한 부자연성 및 장시간의 시청으로 인한 피로감을 해결하기 위해 다시점 영상방식 또는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특수한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을 연구함.
- 도시바는 18시점 15.4인치와 32시점 20.8인치 다시점 모니터의 원형을 개발하였고, 그 시점 간의 분리가 우수하여 상용화의 가능성을 제고 중
- 샤프는 노트북과 모니터, 휴대 전화에 2D/3D 전환 가능 2시점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상용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고, 2003년에 액정배리어 방식의 3D 모바일 폰과 노트북을 개발하여 판매 중
- 산요는 4시점 배리어를 적용한 모바일 폰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였으며 출시 예정 중
- 동경 농공대는 과거 TAO의 45시점 흑백에서 발전하여 128시점 컬러의 초다시점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3차원 영상의 시청시 발생하는 눈의 피로현상과 관련하여 SMV 시스템 및 다양한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연구 중
- 니혼대는 AOM과 LCD 방식을 이용하여 홀로그램 동영상 재생 시스템을 구축
○ 연구소의 경우 KIST의 3D 디스플레이 연구, KETI의 3D 신호처리 연구, ETRI의 3D 방송과 홀로그래픽 시스템 연구 등이 진행 중에 있음.
○ KIST
- 고속 CRT와 고속 액정 셔터를 이용하여 16시점까지 실시간 입출력 가능한 다시점 3D 디스플레이를 개발
- 일본의 초 다시점 기술을 변형 발전시켜, 수평 시차만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초점조절이 가능한 HMD형 초 다시점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연하였고, 완벽한 초점 조절이 가능한 완전 시차 방식의 HMD형 초 다시점 시스템 개발 중
- 홀로그래픽 동영상 표시 장치는 MIT 방식을 발전시켜 폴리곤 미러를 대체하는 정지 미러세트를 개발하였고, 수평 방향의 AOM 배열로 인한 해상도 향상 기술을 개발
- 홀로그래픽 동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한 CGH 연산 방법론 연구와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홀로그램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을 연구 중
- 3D 다시점 디스플레이 상용화를 위해 휴먼 팩터와 관련된 기초연구를 진행 중
○ 대기업으로는 삼성전자, 삼성SDI, LG전자, LG필립스LCD 등이 3D디스플레이 개발을 진행 중이고,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국내 대기업 중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하고 있으며, 다시 점 2D/3D 전환 가능 3D 디스플레이를 적극적으로 개발 중임.
- 삼성전자는 10년 후 미래의 고수익 신사업 아이템으로 3D 디스플레이 사업을 채택 추진할 계획이며, 현재 무안경식 16시점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시제품을 개발 중
- 삼성 SDI는 2D/3D 전환이 가능한 무안경식 스테레오 Parallax Barrier 휴대전화용 3D 디스플레이를 개발
○ 대학으로는 광운대, 강원대, 광주과기원, 서울대 등이 3D 디스플레이 및 3D 신호처리 분야를 연구하고 있음.
- 한양대는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IP 변형 형태로 렌티큘러 기반 다시점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
- 서울대는 IP의 시야각 향상기술, 재생상 깊이 영역의 확대 방법, IP에서의 2D/3D 전환방법, Floating Image 기술과 IP의 결합을 연구 중
- 세종대, 서울대, 부경대 및 광운대는 디지털 홀로그램과 CGH를 기반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 중
○ 중소기업으로 파버나인은 무안경식 스테레오 3D 모니터를, 세븐데이터는 편광식 고해상 3D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고 있음.
- 도시바는 18시점 15.4인치와 32시점 20.8인치 다시점 모니터의 원형을 개발하였고, 그 시점 간의 분리가 우수하여 상용화의 가능성을 제고 중
- 샤프는 노트북과 모니터, 휴대 전화에 2D/3D 전환 가능 2시점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상용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고, 2003년에 액정배리어 방식의 3D 모바일 폰과 노트북을 개발하여 판매 중
- 산요는 4시점 배리어를 적용한 모바일 폰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였으며 출시 예정 중
- 동경 농공대는 과거 TAO의 45시점 흑백에서 발전하여 128시점 컬러의 초다시점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3차원 영상의 시청시 발생하는 눈의 피로현상과 관련하여 SMV 시스템 및 다양한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연구 중
- 니혼대는 AOM과 LCD 방식을 이용하여 홀로그램 동영상 재생 시스템을 구축
○ 연구소의 경우 KIST의 3D 디스플레이 연구, KETI의 3D 신호처리 연구, ETRI의 3D 방송과 홀로그래픽 시스템 연구 등이 진행 중에 있음.
○ KIST
- 고속 CRT와 고속 액정 셔터를 이용하여 16시점까지 실시간 입출력 가능한 다시점 3D 디스플레이를 개발
- 일본의 초 다시점 기술을 변형 발전시켜, 수평 시차만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초점조절이 가능한 HMD형 초 다시점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연하였고, 완벽한 초점 조절이 가능한 완전 시차 방식의 HMD형 초 다시점 시스템 개발 중
- 홀로그래픽 동영상 표시 장치는 MIT 방식을 발전시켜 폴리곤 미러를 대체하는 정지 미러세트를 개발하였고, 수평 방향의 AOM 배열로 인한 해상도 향상 기술을 개발
- 홀로그래픽 동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한 CGH 연산 방법론 연구와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홀로그램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을 연구 중
- 3D 다시점 디스플레이 상용화를 위해 휴먼 팩터와 관련된 기초연구를 진행 중
○ 대기업으로는 삼성전자, 삼성SDI, LG전자, LG필립스LCD 등이 3D디스플레이 개발을 진행 중이고,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국내 대기업 중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하고 있으며, 다시 점 2D/3D 전환 가능 3D 디스플레이를 적극적으로 개발 중임.
- 삼성전자는 10년 후 미래의 고수익 신사업 아이템으로 3D 디스플레이 사업을 채택 추진할 계획이며, 현재 무안경식 16시점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시제품을 개발 중
- 삼성 SDI는 2D/3D 전환이 가능한 무안경식 스테레오 Parallax Barrier 휴대전화용 3D 디스플레이를 개발
○ 대학으로는 광운대, 강원대, 광주과기원, 서울대 등이 3D 디스플레이 및 3D 신호처리 분야를 연구하고 있음.
- 한양대는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IP 변형 형태로 렌티큘러 기반 다시점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
- 서울대는 IP의 시야각 향상기술, 재생상 깊이 영역의 확대 방법, IP에서의 2D/3D 전환방법, Floating Image 기술과 IP의 결합을 연구 중
- 세종대, 서울대, 부경대 및 광운대는 디지털 홀로그램과 CGH를 기반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시스템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 중
○ 중소기업으로 파버나인은 무안경식 스테레오 3D 모니터를, 세븐데이터는 편광식 고해상 3D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고 있음.
추천자료
정보공학 기술과 가상기업, 정보 기술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의 기술전략 - 최근 경제 동향
기술중심 시대의 전망, 기업의 기술경영과 R&D 방향성
기술환경변화와 관광기업; 호텔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첨단기술과 중소기업
기업경영과 정보기술의 발전 방향에 관한 발표자료
디지털기업에 대해 설명하시고 기업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기업의 핵심정보기술과 성공요인에...
기술과 기업(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사업 구상 및 재무타당성 검토)
[중소기업 지원][중소기업][기업][자금][세제]중소기업 자금지원, 중소기업 세제지원, 중소기...
[국제기업의 기술혁신] 기술혁신의 의의와 과정, 기술혁신의 거시정책방향(경쟁이론)
[경제학개론] 생산자 이론 - 기업과 생산기술의 관계와 비용극소화를 위한 기업의 선택.pptx
기술 혁신 트랜드 & 기술혁신 기업문화 조직 특성·사례-혁신을 촉진하는 조직- (기업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