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졸중의 정의 및 뇌의구조 (그림포함)
2) 뇌혈관의 구조 (그림포함)
1. 전뇌순환
2. 후뇌순환
3. 윌리스환 (그림포함)
4. 심부관통 혈관
3) 뇌졸중의 구분 (그림포함)
1. Ischemia 허혈성
2. Hemorrhage
4) 뇌졸중의 증상
5) 뇌졸중의 진단
1. Brain CT (그림포함)
2. Brain MRI (그림포함)
<뇌혈관잘환의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
1. 뇌혈관장애
2. 심혈관장애
6) 뇌졸중의 치료 (그림포함)
7) 뇌졸중의 간호
8) 뇌졸중의 급성기 이후의 간호
9) 뇌졸중의 예방법
2) 뇌혈관의 구조 (그림포함)
1. 전뇌순환
2. 후뇌순환
3. 윌리스환 (그림포함)
4. 심부관통 혈관
3) 뇌졸중의 구분 (그림포함)
1. Ischemia 허혈성
2. Hemorrhage
4) 뇌졸중의 증상
5) 뇌졸중의 진단
1. Brain CT (그림포함)
2. Brain MRI (그림포함)
<뇌혈관잘환의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
1. 뇌혈관장애
2. 심혈관장애
6) 뇌졸중의 치료 (그림포함)
7) 뇌졸중의 간호
8) 뇌졸중의 급성기 이후의 간호
9) 뇌졸중의 예방법
본문내용
대나 공기침대 등 특수한 침대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일단 욕창이 생기면 적절한 소독, 심한 경우는 피부이식수술등이 요구된다.
배변 훈련
소변을 못보는 경우는 간헐적 요관삽입 등이 요구되기도 하며 장의 운동저하로 대변 완화제나 관장 등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폐합병증 관리
흡인성 폐렵이 가장 흔하며 연하장애가 있는 경우 비위관을 통해 음식물을 공급하고 한번에 적은양의 음식물을 섭취하게 하고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넣는다.
그 외 합병증 관리
심부전, 비뇨기계 감염, 폐색전증 등의 합병증 예방 및 조기 사정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약물 관리
약물 복용을 통한 관리는 뇌의 혈액순환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재활치료
-(운동장애 치료)
어느정도 힘이 생기기 시작하면 환자 본인이 힘을 주면서 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능동적 보조 관절운동을 하도록 한다. 근력과 몸의 균형등을 키워가는 것이 중요하다.
-(인지장애, 감각 결손의 치료)
인지장애는 여러 가지 기구나 컴퓨터 등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많은 도움을 준다. 감각장애는 위치감각, 촉각, 진동감각, 고유체위 감각 등의 재활 치료를 통해 도움을 받을수 있다.
-(언어치료)
실어증, 구음 장애등은 언어병리학자나 언어치료사에 의하여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다.
뇌졸중의 위험인자관리
고혈압 : 뇌졸중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이며 뇌경색환자에서 50%이상, 뇌출혈환자에서 70-88%가 동반된다. 고혈압이 있으면 동맥경화증이 일어나서 혈관의 벽이 두꺼워지거나 딱딱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고 혈관의 안벽이 상처받기 쉬워 매끄럽지 못해 엉겨붙으면서 결국 막히게 되어 뇌경색이 일어나게 된다. 또 혈압이 높은 경우에는 작은 혈관의 벽이 약해지다 파열되므로 뇌출혈 원인이 된다.
심장병 : 뇌졸중환자의 75%에서 심장병이 동반된다.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장판막증 또는 심방세동 등에 의하여 심장내의 피의 흐름에 이상이 생겨 혈액이 심장내에 부분적으로 정체해 있게 되고 따라서 응고되어 피찌꺼기(혈구가 뭉쳐진 작은 덩어리)가 생기게 되며 이것이 떨어져 나가 뇌혈관을 막게 되어 뇌경색이 발생하게 된다.
당뇨병 : 당뇨병환자에서는 고지혈증이 발생하여 동맥경화증이 초래되며 따라서 고혈압이 잘 동반된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작은 동맥이 막혀서 정상인에 비해 약 3배 정도 뇌경색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뇌졸중의 과거력 : 뇌졸중환자에서 위험인자에 대한 치료없이는 흔히 재발함을 볼 수 있는데 재발빈도는 100명의 환자 당 해마다 8~10명 정도이며 일시적으로 혈관이 막혔다가 저절로 풀려서 24시간 내에 정상으로 회복되는 경우에서도 약 40%에서의 뇌경색이 결국 발생하게 된다.
고지혈증 : 혈중의 총콜레스테롤 양과 저밀도 지방단백이 증가하게 되면 동맥경화증이 촉진되고 고밀도 지방단백이 많아지면 동맥경화증이 억제된다. 고지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뇌졸중이 잘 발생하게 된다.
흡연 : 담배를 피우게 되면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인하여 혈중 카테콜라민이 증가하게 되고 동맥경화증이 유발되어 뇌졸중에 대한 위험이 3배로 늘어난다. 특히 최근까지도 담배를 하루에 10개피 이상을 피우고 있는 경우에는 뇌경색증이 잘 발생하게 된다.
비만과 식이 습관 : 비만환자에서는 고혈압과 당뇨병의 빈도가 비교적 높아 동맥경화증이 쉽게 발생하므로 뇌졸중의 위험이 커진다.
알콜 : 만성 알콜 중독이나 과음을 할 때는 심부정맥과 심근수축이상, 고혈압 및 뇌혈관 수축 등을 일으켜서 쉽게 뇌졸중이 많이 발생한다.
뇌출혈의 다른 위험인자들 : 뇌동맥류, 동정맥기형 및 출혈성 질환을 가지는 경우에는 뇌출혈의 위험성이 상당히 높다.
나이: 연간 발생하는 뇌졸중의 야 28%가 65세 이하에서 일어난다. 나이가 들수록 뇌졸중을 앓을 확률이 높아지며 ,70대는 50대에 비해 발병 빈도가 4배 정도 높다.
경구용 피임약: 여성에서 피임약 복용은 피를 잘 굳게하고 따라서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복용하는 호르몬은 피임약으로 복용하는 호르몬과는 용량이나 성분의 조성이 달라 뇌경색의 위험성을 높이지는 않는다.
9) 뇌졸중의 예방법
★ 위험인자의 조절
고혈압 조절 : 예) 수축기 혈압이 160이상 일때 정상 혈압자의 4뱅의 이환율이 있음
금연 : 예) 흡연은 뇌졸중의 위험을 50%나 증가시킴
당뇨병 : 예) 3.5배 정도 이환율이 있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 예) 동맥경화 예방
심장질환 관리
절주 : 과음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생활요법
1. 겨울철 추운 곳에서 오랜 시간을 있거나 갑자기 추운곳으로 나오는 것을 피한다.
특히 고혈압이나 비만한 고령자는 화장실, 목욕탕 등 급격한 기온변화나 혈압변화를 가져오는 곳에서 특별히 주의를 해야 한다. 이는 추우면 혈관이 수축하여 혈압을 높혀 혈관이 터지기 쉽기 때문이다.
2. 과로를 피한다.
3.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 해소를 잘 해야 한다.
4.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5. 규칙적인 운동
신체에 불어넣는 에너지보다 신체를 움직여 소비하는 에너지가 적으면 에너지 과잉이 되고 비만의 원인이 된다. 에너지의 균형을 잡는 것 이외에 운동부족을 그대로 방치하고 식사의 양을 줄이는 것보다 신체를 자주 움직여서 거기에 어울리는 에너지를 소비하도록 해야 한다. 또 적당한 운동은 스트레스 해소, 불면해소에도 효과가 있다. 전업주부나 앉아서 하는 일이 많은 사람은 1일에 남성은 200~300㎉, 여성은 100~200㎉ 정도의 운동이 이상적이다.
6. 배변습관을 좋게 가지도록 노력한다.
7. 염분의 과다섭취에 주의한다.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 1일 10g 이내로 한다. 단순당분을 섭취하지 않는다.
8. 동맥경화(콜레스테롤)예방식사법을 이용한다.
동물성 지방질을 피하고 신선한 야채를 섭취하기를 권함
참/고/문/헌
- 중앙문화사(2000), 신경외과과 최신개정판
- 김종성(2001), 뇌졸중 119
- 임상간호사회(2003), 환자교육지침서 2. 뇌졸중
- On-line http://medcity.com
- 현문사(2002), 원색인체해부도(Atlas of Anatomy)
- 정담(2000), 성인간호학
배변 훈련
소변을 못보는 경우는 간헐적 요관삽입 등이 요구되기도 하며 장의 운동저하로 대변 완화제나 관장 등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폐합병증 관리
흡인성 폐렵이 가장 흔하며 연하장애가 있는 경우 비위관을 통해 음식물을 공급하고 한번에 적은양의 음식물을 섭취하게 하고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넣는다.
그 외 합병증 관리
심부전, 비뇨기계 감염, 폐색전증 등의 합병증 예방 및 조기 사정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약물 관리
약물 복용을 통한 관리는 뇌의 혈액순환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재활치료
-(운동장애 치료)
어느정도 힘이 생기기 시작하면 환자 본인이 힘을 주면서 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능동적 보조 관절운동을 하도록 한다. 근력과 몸의 균형등을 키워가는 것이 중요하다.
-(인지장애, 감각 결손의 치료)
인지장애는 여러 가지 기구나 컴퓨터 등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많은 도움을 준다. 감각장애는 위치감각, 촉각, 진동감각, 고유체위 감각 등의 재활 치료를 통해 도움을 받을수 있다.
-(언어치료)
실어증, 구음 장애등은 언어병리학자나 언어치료사에 의하여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다.
뇌졸중의 위험인자관리
고혈압 : 뇌졸중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이며 뇌경색환자에서 50%이상, 뇌출혈환자에서 70-88%가 동반된다. 고혈압이 있으면 동맥경화증이 일어나서 혈관의 벽이 두꺼워지거나 딱딱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고 혈관의 안벽이 상처받기 쉬워 매끄럽지 못해 엉겨붙으면서 결국 막히게 되어 뇌경색이 일어나게 된다. 또 혈압이 높은 경우에는 작은 혈관의 벽이 약해지다 파열되므로 뇌출혈 원인이 된다.
심장병 : 뇌졸중환자의 75%에서 심장병이 동반된다.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장판막증 또는 심방세동 등에 의하여 심장내의 피의 흐름에 이상이 생겨 혈액이 심장내에 부분적으로 정체해 있게 되고 따라서 응고되어 피찌꺼기(혈구가 뭉쳐진 작은 덩어리)가 생기게 되며 이것이 떨어져 나가 뇌혈관을 막게 되어 뇌경색이 발생하게 된다.
당뇨병 : 당뇨병환자에서는 고지혈증이 발생하여 동맥경화증이 초래되며 따라서 고혈압이 잘 동반된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작은 동맥이 막혀서 정상인에 비해 약 3배 정도 뇌경색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뇌졸중의 과거력 : 뇌졸중환자에서 위험인자에 대한 치료없이는 흔히 재발함을 볼 수 있는데 재발빈도는 100명의 환자 당 해마다 8~10명 정도이며 일시적으로 혈관이 막혔다가 저절로 풀려서 24시간 내에 정상으로 회복되는 경우에서도 약 40%에서의 뇌경색이 결국 발생하게 된다.
고지혈증 : 혈중의 총콜레스테롤 양과 저밀도 지방단백이 증가하게 되면 동맥경화증이 촉진되고 고밀도 지방단백이 많아지면 동맥경화증이 억제된다. 고지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뇌졸중이 잘 발생하게 된다.
흡연 : 담배를 피우게 되면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인하여 혈중 카테콜라민이 증가하게 되고 동맥경화증이 유발되어 뇌졸중에 대한 위험이 3배로 늘어난다. 특히 최근까지도 담배를 하루에 10개피 이상을 피우고 있는 경우에는 뇌경색증이 잘 발생하게 된다.
비만과 식이 습관 : 비만환자에서는 고혈압과 당뇨병의 빈도가 비교적 높아 동맥경화증이 쉽게 발생하므로 뇌졸중의 위험이 커진다.
알콜 : 만성 알콜 중독이나 과음을 할 때는 심부정맥과 심근수축이상, 고혈압 및 뇌혈관 수축 등을 일으켜서 쉽게 뇌졸중이 많이 발생한다.
뇌출혈의 다른 위험인자들 : 뇌동맥류, 동정맥기형 및 출혈성 질환을 가지는 경우에는 뇌출혈의 위험성이 상당히 높다.
나이: 연간 발생하는 뇌졸중의 야 28%가 65세 이하에서 일어난다. 나이가 들수록 뇌졸중을 앓을 확률이 높아지며 ,70대는 50대에 비해 발병 빈도가 4배 정도 높다.
경구용 피임약: 여성에서 피임약 복용은 피를 잘 굳게하고 따라서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복용하는 호르몬은 피임약으로 복용하는 호르몬과는 용량이나 성분의 조성이 달라 뇌경색의 위험성을 높이지는 않는다.
9) 뇌졸중의 예방법
★ 위험인자의 조절
고혈압 조절 : 예) 수축기 혈압이 160이상 일때 정상 혈압자의 4뱅의 이환율이 있음
금연 : 예) 흡연은 뇌졸중의 위험을 50%나 증가시킴
당뇨병 : 예) 3.5배 정도 이환율이 있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 예) 동맥경화 예방
심장질환 관리
절주 : 과음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생활요법
1. 겨울철 추운 곳에서 오랜 시간을 있거나 갑자기 추운곳으로 나오는 것을 피한다.
특히 고혈압이나 비만한 고령자는 화장실, 목욕탕 등 급격한 기온변화나 혈압변화를 가져오는 곳에서 특별히 주의를 해야 한다. 이는 추우면 혈관이 수축하여 혈압을 높혀 혈관이 터지기 쉽기 때문이다.
2. 과로를 피한다.
3.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 해소를 잘 해야 한다.
4.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5. 규칙적인 운동
신체에 불어넣는 에너지보다 신체를 움직여 소비하는 에너지가 적으면 에너지 과잉이 되고 비만의 원인이 된다. 에너지의 균형을 잡는 것 이외에 운동부족을 그대로 방치하고 식사의 양을 줄이는 것보다 신체를 자주 움직여서 거기에 어울리는 에너지를 소비하도록 해야 한다. 또 적당한 운동은 스트레스 해소, 불면해소에도 효과가 있다. 전업주부나 앉아서 하는 일이 많은 사람은 1일에 남성은 200~300㎉, 여성은 100~200㎉ 정도의 운동이 이상적이다.
6. 배변습관을 좋게 가지도록 노력한다.
7. 염분의 과다섭취에 주의한다.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 1일 10g 이내로 한다. 단순당분을 섭취하지 않는다.
8. 동맥경화(콜레스테롤)예방식사법을 이용한다.
동물성 지방질을 피하고 신선한 야채를 섭취하기를 권함
참/고/문/헌
- 중앙문화사(2000), 신경외과과 최신개정판
- 김종성(2001), 뇌졸중 119
- 임상간호사회(2003), 환자교육지침서 2. 뇌졸중
- On-line http://medcity.com
- 현문사(2002), 원색인체해부도(Atlas of Anatomy)
- 정담(2000), 성인간호학
추천자료
뇌출혈 (cerebral hemorrhage)
뇌병변장애의 종류와 판정기준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식사요법B형)우리나라의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의 발생현황과 증상 및 식사요법에 대하여
[중추신경계][중추신경계발생][중추신경계구조][뇌척수막][뇌척수액]중추신경계의 발생, 중추...
뇌내출혈 문헌고찰
뇌내 출혈(Intracerabral hemorrhage: ICH)
성인간호학-뇌출혈케이스
[사회복지] 뇌병변장애&정의&기준&뇌병변 장애에 관한 모든것^-^
뇌경색 케이스
[뇌출혈][뇌출혈 개념][뇌출혈 종류][뇌출혈 증상][뇌출혈과 고혈압][유발인자][뇌출혈 진단...
[뇌병변장애, 뇌병변장애 정의, 뇌병변장애 진단보고서, 뇌병변장애 종류, 뇌병변장애 문제점...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뇌졸중 (Stroke.)
흡인성 폐렴 케이스 (현병력 뇌출혈) , 흡인성 폐렴 케이스,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