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 가느다란 관을 집어넣어 고인 혈액이 이 관을 타고 지속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수술
⇒ 두개골과 뇌표면 사이의 공간에 혈액이 고인경우(경막하출혈)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수술
⑦ 뇌실-복강 단락술(Ventriculo-Pritoneal shunt)
⇒ 뇌실로부터 생성된 뇌척수액이 빠져나가는 길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증상을 일으게 되므로 이를 뇌실과 복강간에 도관을 통해 통로를 만들어 준다.
6. 합병증
1) 재출혈 , 뇌부종, 수두증, 전간
2) 인지기능저하 : 대표적인 인지능력 장애의 예로 신체상 장애(Body image deterioration)가 있는데 이는 환자가 신체 부위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신 체의 좌측 부위를 인지하기 어렵다. 좌우 구별의 혼동, 마비증의 불인정, 청각, 시각 및 감촉에 의한 물건을 알아내는 인식 장애를 말한다. 그 외에 모양의 차이, 물건에 접근 하는 것, 수직 감각 및 공간 개념, 출입이나 상하에 대한개념의 장애 등 여러 종류가 있다.
3) 언어장애 : 실어증, 실행증, 눌어증(근육, 즉 혀, 구개 근육, 인두 근육 등이 정교하게 작용하지 못하여 발음이 정확하게 나오지 못하는 경우이다.)
4) 경직, 연하곤란
Ⅲ 결 론
지금까지 뇌내출혈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았다. 즉 뇌내출혈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는 뇌 허니아에 의한 뇌간의 기능부전이며, 주로 출혈이 있고 첫 주내에, 그리고, 신경학적 의식평가의 척도로 글래스고우 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라는 것이 있는데, 출혈당시의 이 척도가 7점이하(대개 의식이 없으면서 통증에 대해 미약한 반응을 보이는 정도)인 경우에 사망률이 높다고 한다. 뇌출혈로 인해 또다른 합병증을 불러오기 때문에 그만큼 위험한 신경계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뇌출혈이 의심되는 증상이 유발 시에는 그릇된 조치를 취하기보다는 가능한 한 빨리 급성기의 출혈된 피의 치료가 환자의 뇌조 직의 손상이 진행되는 것을 차단시켜 뇌기능회복에 도움이 되므로 가능한 한 빨리 수술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조기수술시에는 재 출혈의 위험성이 상대적 으 로 높은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목의 심한 굴곡이나 신전은 피하고, 머리는 중립적 자세를 유지한다. 또한 머리를 30° 정도 올리면 정맥 배액이 증진되고 두개내압 상승을 예방하는 체위변경을 해주는 것도 좋다.
뇌손상은 우리의 인체에 많은 손상을 끼치는 만큼 뇌의 기능은 막대하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우리 몸에서 많은 기능을 해내고 있는 뇌인데도 불구하고, 솔직히 나는 평소에 너무 가볍게만 생각했던 것 같다. 그저 알아서 움직인다고만 생각 했는데 정말 우리 몸의 장기 하나 하나는 중요하지 않은게 하나도 없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본 고를 통해 수업시간에 미리 배워서 작성 하면서 다시 복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누구에게든지 나의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측면으로의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수문사
뇌신경외과학(도해) 제일의학
⇒ 두개골과 뇌표면 사이의 공간에 혈액이 고인경우(경막하출혈)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수술
⑦ 뇌실-복강 단락술(Ventriculo-Pritoneal shunt)
⇒ 뇌실로부터 생성된 뇌척수액이 빠져나가는 길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증상을 일으게 되므로 이를 뇌실과 복강간에 도관을 통해 통로를 만들어 준다.
6. 합병증
1) 재출혈 , 뇌부종, 수두증, 전간
2) 인지기능저하 : 대표적인 인지능력 장애의 예로 신체상 장애(Body image deterioration)가 있는데 이는 환자가 신체 부위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신 체의 좌측 부위를 인지하기 어렵다. 좌우 구별의 혼동, 마비증의 불인정, 청각, 시각 및 감촉에 의한 물건을 알아내는 인식 장애를 말한다. 그 외에 모양의 차이, 물건에 접근 하는 것, 수직 감각 및 공간 개념, 출입이나 상하에 대한개념의 장애 등 여러 종류가 있다.
3) 언어장애 : 실어증, 실행증, 눌어증(근육, 즉 혀, 구개 근육, 인두 근육 등이 정교하게 작용하지 못하여 발음이 정확하게 나오지 못하는 경우이다.)
4) 경직, 연하곤란
Ⅲ 결 론
지금까지 뇌내출혈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았다. 즉 뇌내출혈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는 뇌 허니아에 의한 뇌간의 기능부전이며, 주로 출혈이 있고 첫 주내에, 그리고, 신경학적 의식평가의 척도로 글래스고우 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라는 것이 있는데, 출혈당시의 이 척도가 7점이하(대개 의식이 없으면서 통증에 대해 미약한 반응을 보이는 정도)인 경우에 사망률이 높다고 한다. 뇌출혈로 인해 또다른 합병증을 불러오기 때문에 그만큼 위험한 신경계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뇌출혈이 의심되는 증상이 유발 시에는 그릇된 조치를 취하기보다는 가능한 한 빨리 급성기의 출혈된 피의 치료가 환자의 뇌조 직의 손상이 진행되는 것을 차단시켜 뇌기능회복에 도움이 되므로 가능한 한 빨리 수술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조기수술시에는 재 출혈의 위험성이 상대적 으 로 높은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목의 심한 굴곡이나 신전은 피하고, 머리는 중립적 자세를 유지한다. 또한 머리를 30° 정도 올리면 정맥 배액이 증진되고 두개내압 상승을 예방하는 체위변경을 해주는 것도 좋다.
뇌손상은 우리의 인체에 많은 손상을 끼치는 만큼 뇌의 기능은 막대하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우리 몸에서 많은 기능을 해내고 있는 뇌인데도 불구하고, 솔직히 나는 평소에 너무 가볍게만 생각했던 것 같다. 그저 알아서 움직인다고만 생각 했는데 정말 우리 몸의 장기 하나 하나는 중요하지 않은게 하나도 없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본 고를 통해 수업시간에 미리 배워서 작성 하면서 다시 복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누구에게든지 나의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측면으로의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수문사
뇌신경외과학(도해) 제일의학
추천자료
ICH(두개내 출혈)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SAH)
뇌졸증(CVA)에 대하여
지주막하출혈 성인간호학 SAH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지주막하출혈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성인) NICU 뇌실내출혈(ICH) 사례연구
[간호학]ICH케이스(NSICU)
뇌졸증_PPT
성인4뇌졸중환자의간호사례
성인간호학 SAH 지주막하 출혈 case
뇌졸중 CASE
지주막하출혈 SAH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뇌졸중 케이스, 중환자실 케이스, 중환자실 간호과정 A++ case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