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대한 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에 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제

2. 광물자원

3. 에너지

4. 농업·임업·어업

5. 제조업

6. 서비스 산업

7. 노동

8. 정부의 역할

9. 교통

10. 무역

11. 정치·사회

12. 군사

13. 사회복지

14. 보건

15. 주택

16. 법의 집행

17. 교육

18. 정부와 보도기관

19. 문화

20. 스포츠·레크리에이션

21. 한국과의 관계
① 개항 이전
② 개항 이후
③ 일제강점기
④ 38 선의 확정
⑤ 8 ·15해방

22. 북한과의 관계

본문내용

분단점령을 발표했고 이어 9월 8일 하지 중장 휘하의 미군이 인천에 상륙함으로써 3년에 걸친 미군의 남한통치가 시작되었다. 미군정청은 통치 초기부터 임시정부 부인, 신탁통치안의 고수, 미온적인 대공정책 등으로 우익 정치 인사들과 관계가 원만하지 못했다. 특히 이승만과 하지는 정치적 견해 차이로 반목이 심했다.
이러한 이유로 하지는 김규식 중심의 중간우파와 여운형 중심의 중간좌파에 의한 좌우합작으로 정치적 난국을 타개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미국은 1947년경부터 시작된 미·소 냉전에 따라 모스크바 협정 노선을 버리고 한반도문제를 국제연합(UN)에 넘기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이승만의 복안대로 남한 단독정부가 수립되었고,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된 1948년 8월 15일 0시를 기하여 미군정이 폐지되었다.
대한민국이 출범하자 미국은 제일 먼저 한국을 승인하고 초대 주한미국대표로 무초를 임명하고 한국에서도 초대주미대사로 장면을 임명함으로써 약 반세기 만에 양국의 공식외교가 재개되었다. 한국은 건국 초기부터 북한의 군사적 위협, 신생국가로서의 경제사정 등으로 대미일변도의 외교를 펴 미국으로부터 군사·경제 원조를 획득하는 데 집중적으로 노력했다. 그러나 미국은 전후 군사비를 삭감해야 할 국내사정 때문에 병력을 감축해야 했으므로 한국에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으리라고 단정하고 약간의 병력과 군사고문단만을 남기고 전면 철수했다. 이 상황에서 6·25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6 ·25전쟁 이후 미국이 한반도의 긴장상태를 깊이 인식하면서 한국과 미국 간의 정치적·군사적 관계는 매우 긴밀해졌다. 또한 전후에도 주한미군이 주둔하여 안보를 다지고 경제 원조를 강화했으며 전후복구사업 및 경제부흥사업을 적극 도왔다. 그러나 1960년 케네디 대통령 때 한국의 5·16군사정변을 못 마땅히 여긴 미국이 민정복귀를 강력히 요구함으로써 양국의 불편한 관계가 한동안 지속되기도 했다.
그 후 존슨·닉슨·포드 대통령 시대에는 비교적 평온한 상태를 유지했으나 1970년대 후반 카터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미군철수문제·인권문제·박동선사건 등으로 긴장된 관계가 또 한번 연출되었다. 레이건 대통령 때는 비교적 원만한 관계가 유지되었다.
그 이후로는 경제적인 문제로 서로 마찰을 빚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미국은 안보상 긴밀한 협조국으로, 1953년 10월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된 이래 꾸준히 군사원조를 제공해 한국군의 현대화를 도왔고, 최신예전투기를 한국에 배치해 방어력을 강화하는 데 힘써왔으며 매년 한미합동의 팀 스피리트 훈련 등을 통해 양국군의 실전능력을 높이고 있다. 또 국교개설 이래 이승만·박정희·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고 아이젠하워·존슨·포드·카터·레이건·부시·클린턴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해 양국간의 당면문제를 협의했다.
6 ·25전쟁 이후 미국의 대한 경제원조는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1961년 초까지 한국경제에 거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그 뒤 현재까지도 무역·자본도입·합작투자 등 경제전반에 걸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980년 미국 국제개발처(AID)의 발표에 따르면 미국은 1946~79년에 한국에 146억 810만 달러의 경제 원조를 제공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중에는 1960년대까지 제공한 무상원조 47억 원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1980년 한미국제무역은 한국의 무역규모의 27%를 기록했으며 액수로는 460억 달러에 이르렀다. 한국은 미국의 국제무역 상대국으로서 5번째 주요수출국이자 8번째 주요수입국이다.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이스라엘과 더불어 미국의 원조를 많이 받은 나라 중의 하나로 1962년까지 상당한 액수의 무상원조를 받았으나 그 과정에서 미국에 대한 의존적 타성 때문에 오히려 경제적 자립의욕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962 년 무상원조가 끊어지고 차관으로 전환되면서 경제가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쌍무적 무역시대로 전환되었다. 대미수출의존도는 한때 51.7%로 정점에 달했으나 그 뒤 다변화수출정책에 따라 1980년대에는 26%를 나타냈다. 1987년 미국의 대한수출은 87억 5,821만 달러, 수입은 183억 1,079만 달러로 심한 무역역조현상을 보였으며 이는 통상마찰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그 뒤 수출입간의 균형이 이루어져 대한무역에서도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중으로 1996년 현재 대한 수출액이 333억 537만 9,000달러, 수입액이 216억 7,046만 5,000달러이다.
한편 한국인의 미국 이민 역사는 그 뿌리가 깊은데 1885년 서재필을 비롯한 한국인의 이민이 처음 실시된 이래, 유학생 및 노동자의 이민이 행해졌다. 1902년에는 하와이 사탕수수밭 노동자로 일하기 위해 121명이 도미하는 등 1905년에는 한국인 이민자가 7,000명에 달했다. 일제강점기 동안 주춤했던 이민은 6·25전쟁 이후 날로 증가해 아시아계에서 5번째로 많은 숫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1996 년 현재 한국의 재미교민은 184만 9,108명, 체류자는 15만 1,330명에 이르고 있으며 지역적으로는 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뉴욕·시카고·호놀룰루 등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정치적으로도 그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한국인들의 생활근거지가 흑인거주지와 인접해 있고 서로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경우가 많은데 1992년의 로스앤젤레스 폭동사건은 이러한 사정이 표면화된 대표적인 예이다.
22. 북한과의 관계
미국은 1948년 북한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라는 공산체제가 수립되면서 북한을 인식하게 되었고 6·25전쟁을 통해 적대국으로서 마주친 경험이 있다. 그 후 냉전시대와 더불어 미국과 북한과의 관계는 사실상 백지상태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72년 미국과 중국이 교류를 시작하면서 미국은 북한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으며 한국문제는 남북한 간에 상호 해결할 것을 주장함으로써 남북한간의 정치협상에 자극을 주었다.
이후 미국은 남북한간의 직접대화를 찬성해왔으며 제24회 서울 올림픽 대회 개최 이후 한국의 대북방정책의 전개와 동서냉전시대 종식에 발맞추어 북한과의 대화 창구를 개설하고 관계 개선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키워드

미국,   경제,   광물자원,   에너지,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노동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3.29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