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평생교육 학습공동체와 YMCA
1. 학습공동체운동의 역사적 기원
2. 학습공동체운동의 추진과 몇 가지 걸림돌
3. 평생교육의 개념이해와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
4.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YMCA
Ⅲ. 서울YMCA의 평생교육운동
1. 근대적 평생교육의 효시
2. 근대적 평생교육기관의 시원 ‘황성기독교청년회’
3. 민중자각의 모티브, 창립초기의 평생교육운동
⑴ YMCA운동의 근저 - 신앙교육
⑵ 영.지.체의 균형잡힌 인격형성 - 체육교육
⑶ 근대화의 토대구축 - 실업교육
⑷ 문명개화의 전당 - 학관교육
⑸ 민중계몽의 표본 - 공개강연과 토론회
⑹ 문화창달의 기수 - 문화교육
⑺ 주경야독의 원류 - 노동야학
4. 일제의 강압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평생교육운동
5. 희비의 민족사와 평생교육운동
6. 평생교육이념실현을 향한 평생교육운동
Ⅳ. 서울YMCA 평생교육운동의 과제
참고문헌
Ⅰ. 서 론
Ⅱ. 평생교육 학습공동체와 YMCA
1. 학습공동체운동의 역사적 기원
2. 학습공동체운동의 추진과 몇 가지 걸림돌
3. 평생교육의 개념이해와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
4.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YMCA
Ⅲ. 서울YMCA의 평생교육운동
1. 근대적 평생교육의 효시
2. 근대적 평생교육기관의 시원 ‘황성기독교청년회’
3. 민중자각의 모티브, 창립초기의 평생교육운동
⑴ YMCA운동의 근저 - 신앙교육
⑵ 영.지.체의 균형잡힌 인격형성 - 체육교육
⑶ 근대화의 토대구축 - 실업교육
⑷ 문명개화의 전당 - 학관교육
⑸ 민중계몽의 표본 - 공개강연과 토론회
⑹ 문화창달의 기수 - 문화교육
⑺ 주경야독의 원류 - 노동야학
4. 일제의 강압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평생교육운동
5. 희비의 민족사와 평생교육운동
6. 평생교육이념실현을 향한 평생교육운동
Ⅳ. 서울YMCA 평생교육운동의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응하여 서울YMCA가 선구자적 역할을 하며 개척해 나온 프로그램으로 손꼽힌다. 뿐만 아니라 사회체육활동도 영·유아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全)연령층을 대상으로 사회체육교육을 펼치면서 21세기 더불어 사는 공동체실현을 목표로 한 장애인 및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회체육교육도 심혈을 기울이며 펼쳐가고 있다.
특히 서울YMCA 창립 2세기의 원년인 2004년도 평생교육분야 사업계획을 보면 세계시민교육, 정보화교육, 영상문화교육 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해 가며, 주 5일제 시대 사회참여활동, 청년실업 및 여성, 실직자, 장애인, 노인 등의 평생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법률자원봉사자교육, 상담자원봉사자교육, TV모니터 요원 훈련교육, 녹색가게 자원봉사자 교육 등을 강화하며, 민주시민교육의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할 것을 천명하고 있다.
Ⅳ. 서울YMCA 평생교육운동의 과제
서울YMCA는 지난 100여 년에 걸친 평생교육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세기와 창립 2세기에도 체계적인 평생교육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 가는 가운데 평생교육의 이념을 지속적으로 구현해 가지 않으면 안된다.
창립 초기부터 YMCA 지도자들은 선교·교육·계몽을 앞세워 1904년 노동야학을 시작으로 체계적인 평생교육을 시작하였으며, 1905년 이를 강화하기 위하여 교육부를 신설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업·상업·공업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기술을 천시하던 시대의식을 변혁하고 선진제도를 도입하여 근대화의 터전을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교육은 민족의식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데 각종 교육을 통해 '애국애족정신, 민주정신, 독립정신, 민족자립의 각오, 국력배양의 자세, 국민경제의 발전'을 도모하였던 것이다. 이에 대해 일제는 제국주의적인 침략야욕으로 1916년에는 중학과 영문과 등의 인문계 학과교육이 폐지하는 등 수많은 핍박을 하였다. 이에 서울YMCA는 단편적으로 분산, 실시해 오던 교육사업을 일원화·체계화하고, 1920년 중앙청소년학교, 1930년 영창학교를 통하여 민족지도력을 배양했을 뿐만 아니라 사회체육을 통한 민족단결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YMCA의 평생교육정신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시대마다 시대변화상을 반영하며 평생교육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가운데 민족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왔다. 창립 이후 100여 년 간 평생교육의 주체뿐만 아니라 대상에는 다양한 연령층과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의 각 분야에 진출하여 YMCA를 통하여 배운 바를 실현해 가는 가운데 사회의 지도자로서 민족의 미래를 열어 가는 초석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서울YMCA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평생교육기관으로서 100여 년 간 평생교육의 이념실현과 민족발전의 기틀을 형성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선배들이 이룩해 놓은 찬연한 성과를 계승하고 창립 2세기의 평생교육을 새로이 열어 가는 겸허한 마음으로 평생교육의 지평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가야 할 것이다.
특히 21세기의 특징으로 제시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인적자원개발은 국가전체의 핵심과제임을 인식하고, 디지털 혁명시대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휴먼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응용교육을 통하여 교육참여자들 스스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제가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평생학습사회의 실현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므로 21세기 평생학습사회를 열어 가는 핵심주체는 지역사회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학습이 지역사회에 활성화되려면 지역 주민의 다양한 평생교육적 욕구가 무엇인지 조사, 파악해 그에 부응하는 학습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서울YMCA는 창립 2세기를 맞이하여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가운데 변화하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계발·시행해 가면서 '서울YMCA는 파리기준과 한국YMCA의 목적문에 따라 YMCA회원으로서 인격형성과 청년문화창조에 그 이념을 두고 자유와 평등의 실현을 운동의 기본 목표로 한다'는 사업이념과 '복음적인 삶을 주도하는 Y, 시민과 함께 하는 Y, 민족의 미래를 준비하는 Y'라는 사업지표를 달성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金明吉·裵英吉, 學習權 保護를 위한 社會敎育의 再評價, 법학연구 제35권 제1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1994.
김수규, '요람에서 무덤까지' 평생교육의 이념을 실현해 온 서울YMCA, 서울YMCA 평생교육실습지침서 머리말.
金永逑, 第二回 籠球聯盟戰 所感, 靑年, 1929, 1月號.
민경배 책임집필, 서울YMCA운동사, 서울YMCA, 1993.
孫星燐, 蘭芝島 訪問記, 三同少年村을 보고, 靑年, 1954. 1. 30日字.
신원득, 지방정부의 평생교육서비스, 경기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1.
이종만, 평생교육 관련 법규의 구조와 문제점에 대한 논의, 교육법학연구 제15권 1호, 대한교육법학회, 2003. 6.
______, 평생교육의 법제화 과정 및 개정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지 제34권 제1호, 한국농업교육학회, 2002.
월남(月南)시민문화연구소, 서울YMCA 평생교육실습지침서, 2002. 4.
A Sketch of the Industrial Work of the Korea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From 1906 to 1913.
Editorial Cmment, The Korea Review, 1903, 4月號, pp.163∼165.
G.A.Gregg, Annual Report, 1911. 9. 30.
G.A.Gregg, Annual Report, 1918. 9. 30.
G.T.Ladd, In Korea With Marquis lto, Longman's Green, 1908.
J. S. Gale's letter to the International Committee, YMCA, New York, 1905.
P.L,Gillett, Annual Report, 1912. 9. 30日字.
http://www.haeun.es.kr/life_edu_2_2.php
http://www.reportworld.co.kr/data/124/F123822.html
특히 서울YMCA 창립 2세기의 원년인 2004년도 평생교육분야 사업계획을 보면 세계시민교육, 정보화교육, 영상문화교육 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해 가며, 주 5일제 시대 사회참여활동, 청년실업 및 여성, 실직자, 장애인, 노인 등의 평생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법률자원봉사자교육, 상담자원봉사자교육, TV모니터 요원 훈련교육, 녹색가게 자원봉사자 교육 등을 강화하며, 민주시민교육의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할 것을 천명하고 있다.
Ⅳ. 서울YMCA 평생교육운동의 과제
서울YMCA는 지난 100여 년에 걸친 평생교육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세기와 창립 2세기에도 체계적인 평생교육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 가는 가운데 평생교육의 이념을 지속적으로 구현해 가지 않으면 안된다.
창립 초기부터 YMCA 지도자들은 선교·교육·계몽을 앞세워 1904년 노동야학을 시작으로 체계적인 평생교육을 시작하였으며, 1905년 이를 강화하기 위하여 교육부를 신설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업·상업·공업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기술을 천시하던 시대의식을 변혁하고 선진제도를 도입하여 근대화의 터전을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교육은 민족의식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데 각종 교육을 통해 '애국애족정신, 민주정신, 독립정신, 민족자립의 각오, 국력배양의 자세, 국민경제의 발전'을 도모하였던 것이다. 이에 대해 일제는 제국주의적인 침략야욕으로 1916년에는 중학과 영문과 등의 인문계 학과교육이 폐지하는 등 수많은 핍박을 하였다. 이에 서울YMCA는 단편적으로 분산, 실시해 오던 교육사업을 일원화·체계화하고, 1920년 중앙청소년학교, 1930년 영창학교를 통하여 민족지도력을 배양했을 뿐만 아니라 사회체육을 통한 민족단결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YMCA의 평생교육정신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시대마다 시대변화상을 반영하며 평생교육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가운데 민족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왔다. 창립 이후 100여 년 간 평생교육의 주체뿐만 아니라 대상에는 다양한 연령층과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의 각 분야에 진출하여 YMCA를 통하여 배운 바를 실현해 가는 가운데 사회의 지도자로서 민족의 미래를 열어 가는 초석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서울YMCA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평생교육기관으로서 100여 년 간 평생교육의 이념실현과 민족발전의 기틀을 형성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선배들이 이룩해 놓은 찬연한 성과를 계승하고 창립 2세기의 평생교육을 새로이 열어 가는 겸허한 마음으로 평생교육의 지평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가야 할 것이다.
특히 21세기의 특징으로 제시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인적자원개발은 국가전체의 핵심과제임을 인식하고, 디지털 혁명시대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휴먼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응용교육을 통하여 교육참여자들 스스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제가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평생학습사회의 실현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므로 21세기 평생학습사회를 열어 가는 핵심주체는 지역사회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학습이 지역사회에 활성화되려면 지역 주민의 다양한 평생교육적 욕구가 무엇인지 조사, 파악해 그에 부응하는 학습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서울YMCA는 창립 2세기를 맞이하여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가운데 변화하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계발·시행해 가면서 '서울YMCA는 파리기준과 한국YMCA의 목적문에 따라 YMCA회원으로서 인격형성과 청년문화창조에 그 이념을 두고 자유와 평등의 실현을 운동의 기본 목표로 한다'는 사업이념과 '복음적인 삶을 주도하는 Y, 시민과 함께 하는 Y, 민족의 미래를 준비하는 Y'라는 사업지표를 달성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金明吉·裵英吉, 學習權 保護를 위한 社會敎育의 再評價, 법학연구 제35권 제1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1994.
김수규, '요람에서 무덤까지' 평생교육의 이념을 실현해 온 서울YMCA, 서울YMCA 평생교육실습지침서 머리말.
金永逑, 第二回 籠球聯盟戰 所感, 靑年, 1929, 1月號.
민경배 책임집필, 서울YMCA운동사, 서울YMCA, 1993.
孫星燐, 蘭芝島 訪問記, 三同少年村을 보고, 靑年, 1954. 1. 30日字.
신원득, 지방정부의 평생교육서비스, 경기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1.
이종만, 평생교육 관련 법규의 구조와 문제점에 대한 논의, 교육법학연구 제15권 1호, 대한교육법학회, 2003. 6.
______, 평생교육의 법제화 과정 및 개정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지 제34권 제1호, 한국농업교육학회, 2002.
월남(月南)시민문화연구소, 서울YMCA 평생교육실습지침서, 2002. 4.
A Sketch of the Industrial Work of the Korea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From 1906 to 1913.
Editorial Cmment, The Korea Review, 1903, 4月號, pp.163∼165.
G.A.Gregg, Annual Report, 1911. 9. 30.
G.A.Gregg, Annual Report, 1918. 9. 30.
G.T.Ladd, In Korea With Marquis lto, Longman's Green, 1908.
J. S. Gale's letter to the International Committee, YMCA, New York, 1905.
P.L,Gillett, Annual Report, 1912. 9. 30日字.
http://www.haeun.es.kr/life_edu_2_2.php
http://www.reportworld.co.kr/data/124/F123822.html
키워드
추천자료
[평생교육법]평생학습정책
[평생교육]평생 교육 기법 및 교수학습 방법 조사 및 학습지도안 작성
평생교육론 제12장 평생학습연구의 이론적 쟁점
[원격평생교육][사이버평생교육][지역사회평생교육][학생평생교육][여성평생교육][평생교육][...
[평생교육] 안드라고지이론과 전환학습과정 및 성인교육의 나아갈 방향(2012년 추천 우수 레...
평생 학습도시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토론하시오
대학 교육의 문제점 및 대안
평생교육․평생학습론이란 무엇인가?
[토론]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토론
(평생교육경영) 마포평생학습관 기관방문 후 SWOT분석하기
평생교육 기관의 성인학습 실태조사
평생교육방법론)100세 시대 국가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20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