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취(정맥마취.흡입마취,기관내삽관,동맥혈압,중심정맥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신마취(정맥마취.흡입마취,기관내삽관,동맥혈압,중심정맥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전신마취

흡입마취

정맥마취

기도유지

기관내 삽관-삽관방법,발관,삽관합병증,삽관유의사항,

LMA(laryngeal mask airway,후두마스크)

일측폐 마취(One lung anesthesia)

Nasotracheal intubation

A-line monitoring(aterial blood pressure monitoring,동맥혈압)

중심정맥압(CVP)

본문내용

. 기관튜브에 비해서 마취심도가 낮은 경우에도 잘 견딘다.
6. 기관튜브와 달리 식도나 기관지내 삽관의 위험성이 없다.
7. 기관삽관이 어려운 경우나 응급소생술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8. 특히 성대를 보호하여야 하는 환자(가수, 성악가 등)에게 효과적이다
◎단점
1. 위내용물의 흡인(aspiration)을 막을 수 없다.
2. 반복해서 소독하여 자주 사용(50회 이상)하면 기낭의 허니아로 적절한 위치를 잡는데 장애가 온다.
3. 인공환기시 압력이 높으면 공기의 유출이 일어날 수 있다
◆One lung anesthesia(일측 폐 마취)
◎목적:일측폐마취(one lung anesthesia)는 측와위로 수술시 상측 환부로부터 건강한 하측 폐로 혈액, 고름 또는 분비물 둥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절대적 적응
1. 한쪽 폐를 다른 쪽 폐로부터 격리(오염이나 넘쳐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
1) 염중(폐농양)
2) 대량출혈
2. 환기분포의 조절
1) 기관지흉막루
2) 기관지흉막피부루
3) 기관지파괴(disruption)
4) 거대일측 폐낭종
3. 일측성 기관지폐세척(lavage)
폐-폐포단백증(proteinosis)
◎상대적 적응
1. 외과적 노출 - 높은 우선권
1) 흉곽대동맥류
2) 폐절제술
3) 상엽절제술
4) 흉강경진단법
2. 외과적 노출 - 낮은 우선권
1) 식도절제술
2) 중 및 하엽 절제술 및 하부분절 절제술
3. 완전폐쇄성, 만성폐색전의 제거
◎일측폐 환기에 의한 전신마취시의 마취관리
1.기도 저항
전신마취는 대부분 기도 저항을 증가시킨다. 이는 전신마취에 의한 기능적
잔기용량(FRC)의 감소에 의하는데 특히 흉부 수술시 야기되는 여러 조건
에 의해 더욱 기도 저항이 증가된다. 이러한 효과는 흡입마취제를 사용
함으로써 어느 정도 경감시킬 수가 있다. 즉 enflurane, isoflura
ne등이 강력한 기도 확장작용이 있는데 이중 isoflurane이 심근 수축력 저
하가 가장 적고 심실 부정맥 유발이 적어서 많이 추천되는 약제이다
2.저산소성 폐 수축 (Hypoxic pulmonary vasoconstriction, HPV)
일측 폐환기에 의한 수술시 여러 요인에 의해 동맥혈 저산소증이 야기된다. 이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저산소성 폐 수축(HPV)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술 중 각종 혈관
수축제나 혈관 확장제의 사용, 폐에 가하는 수술 조작에 의한 자극, 사용되는 마취제
의 효과 등으로 HPV는 방해를 받는다. 보통 정맥마취제는 HPV를 방해하지 않으며 흡
입마취제는 다양한 반응을 보이나 전반적인 HPV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하다.
3.호흡 구동 (Respiratory drive)
전신마취로 의식소실과 진통을 얻지만 이때 사용되는 흡입마취제, 마약성 진통제,
진정제 등은 중추신경계에서의 호흡반응을 억제시킨다. 마취의 깊이가 깊어질 수록
혈중 이산화탄소분압의 상승에 따른 호흡반응이 저하되는데 기계적 환기가 계속되는
수술 중에는 문제가 없겠으나 수술 후에는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보통 할로겐화 흡
입마취제는 0.05 MAC 정도의 낮은 농도에서도 저산소증에 대한 호흡반응을 떨어뜨리
는데 수술이 끝나고 환자가 의식을 막 회복하려고 하는 시점에서 특히 hypoxic drive에
호흡을 의존하는 폐질환이 있는 경우 이러한 효과는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수술
중 보조적인 마약류의 사용은 흡입마취제 단독 사용시 보다 호흡저하의 위험이 증대된다
4.일측폐환기시 적정 산소치의 유지를 위한 대책
좌측위에서 양측폐환기를 할 때 심박출량의 약 35%가 상측 폐에서 가스교환이 일어
난다. 일측폐환기가 되면 여러 요인들이 션트의 정도에 관여하여 심박출량의 약 20
-25%가 비환기 무기폐로 혈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일측폐환기시에는 호흡수
를 호기말 이산화탄소 가스분압이 36-40mmHg정도 되게 적절히 조절하며 hypoca
pnia는 조장되지 않게 한다. 일단 저산소혈증이 나타나게 되면 DLT가 정위치에 있
음을 확인한 후에 FiO2를 1.0으로 하고 일회호흡량을 증가시켜(10-14 ml/kg) 환기
폐의 환기를 개선시킨다. 심한 저산소증이 지속될 경우 비환기 무기폐에 지속적
양압호흡(CPAP, 5-10 cmH2O)과 환기측 폐에 호기말 양압(PEEP, 5-10 cmH2O)
을 적절히 조절하여 산소화를 개선시키는데 대부분 CPAP의 적용만으로 개선이 된다.
Arterial blood pressure monitoring
◆개요:카테터를 동맥내로 삽입한후 변환기에 연결하여 혈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 적응증
1.다량의 수액이동과 출혈 예상되는 수술
2.체외순환 이 필요한 수술
3.대동맥 수술
4.ABGA분석이 자주 필요한 폐질환 환자
5.심근경색, 관상동맥 환자
6.심부전,판막질환 환자
7.패혈셩 쇽이나 다중장기부전(multiple organ failure)촨아
8.광범위 외상환자
◆부위:요골,상완,액와,대퇴,족부동맥-주로 요골과 대퇴동맥 이용
◆합병증:공기색전증
감염-Sampling 과정과 3-way가 주요 감염 원인
catheter는 48 or 47시간 마다 교환 해 주어야 한다.
Central Venous Pressure monitoring
◆개요:순환 혈액량과 심수축력간의 평형지침으로 사용되며 정상은 2-15cmh2o다
호흡에 의한 변동이 있으므로 항상 호기말에측정되어야 한다.)
◆중심정맥 카테터의 용도
⇒중심정맥압 측정,약물주입,말초정맥 불량환자에게 혈액,수액의 급속주입,공기색전의
흡인,고농도 영양액 주입,임시 심박조율기의 설치
.삽입부위-internal juglar-시술쉽다.우심실로의주행방향이곧고짧으며 치명적 합병증적다
Subclavian vein-기흉을 만들 수 있다
External juglar-합병증의 발생이 가장 적으나 실패할 확률도 높다
.합병증-혈종,pneumothorax,가슴관천자,가슴막유출,혈전,색전,감염
.임상적의의
높을때-순환혈량부족
과다한 교감신경차단 혹은 혈관확장으로 인한 정맥용량의 과다 팽창
낮을때-순환 혈량 과다
정맥 용량의 감소
대정맥 폐쇄,폐색전증,악성고혈압,우심부전,cardiac temponade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4.0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