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의 유익과 해로움 및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유전자 조작 식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본론1*GMO유익
본론2*GMO해로움
GMO가 세계를 먹여 살릴 수 없는 10가지 이유 --8~10

결론

GMO표시요령과 법률안
우리나라에서 많이 유통되는 유전자 조작 식품

본문내용

프킨, 전병기 외 옮김, {바이오테크 시대}, 민음사, 1999
미국의 대표적 문명비평가이자 생명공학 감시운동 활동가인 제레미 리프킨이 쓴 생명공학 비판서로, 21세기 '생명공학의 시대'에 생명공학의 명암을 명쾌하게 밝히고 있는 책
앤드류 킴브렐, 김동광 옮김, {휴먼보디숍 : 생명의 엔지니어링과 마케팅}, 김영사, 1994
미국에서 생명공학과 GMO반대운동의 선두에서 활동하고 있는 앤드류 킴브렐이 쓴 생명공학 비판서로, 생명공학의 기술적 발전이 어떤 상업적 요구를 수반하며, 인체 시장이라는 전세계적 규모로 발전하게 되는지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유통되는 유전자 조작 식품
콩(대두)
콩은 유전자 조작 식품 중에서도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목이다. 유전자 조작 기술 중에서 주로 제초제 내성을 키우는 방식이 대두에 많이 쓰여진다. 유전자 조작 대두는 주로 식용유로 쓰인다. 식용유에는 대두 외에도 유채, 면실, 옥수수(이상 유전자 조작 생산 가능), 쌀겨, 깨, 야자, 올리브 등이 원료로 쓰이는데, 이 다양한 식용유 원료 가운데서 대두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대두는 식용유 생산에 쓰이는 다른 원료에 비해 지방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화학용제인 헥산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이 용제를 증발시켜 원유로 만든다. 그런 다음 탈색, 탈산, 탈취 등의 정제공정을 거쳐 제품이 된다. 이 과정 중에도 다양한 화학물질이 사용되기 때문에, 유전자 조작 대두를 원료로 쓴 대두유에는 인체에 유해한 요소가 훨씬 더 많은 셈이다.
그런데도 대두의 생산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식용유 원료로서 대두가 가장 많이 쓰이는 이유는 대두에서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가 가축의 사료로 쓰이기 때문이다. 축산 수요가 점점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이다. 현재 유전자 조작 농산물을 사용한 식품 중에서 가장 많이 나돌고 있는 것이 식용유이다.
그 밖에도 두부, 마가린, 두부, 간장, 된장, 두유, 콩단백, 식물성 다이어트 식품 등 다양한 콩 가공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국산콩을 사용하였다고, 혹은 유전자 조작콩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명기하지 않은 것은 거의 미국산 유전자 조작콩을 사용했다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이다.
옥수수
대두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유전자 조작 식품은 옥수수이다. 제초제 내성 옥수수,살충성 옥수수, 그 두 가지 성질을 혼합한 옥수수가 유전자 조작의 결과로 개발되었다. 유전자 조작 옥수수 역시 미국에서 주로 재배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이 가축의 사료이다. 인간이 직접 먹는 것이 아니라 가축에게 먹이는 것이니까 유전자 조작 농산물을 써도 괜찮을 거라는 발상에서 그러는지 몰라도, 유전자 조작 옥수수에 아직 밝혀내지 못한 새로운 독이 있다면 그 독은 새롭기 때문에, 즉 가축의 몸 안에서 그 독을 해독할 능력이 아직 발달되지 못했기 때문에 가축의 몸 안에 축적되게 되며, 이것을 인간이 먹게 되므로 인간은 가축보다 더욱 농축된 독을 먹게 되는 결과가 된다. 어쨌든 미국에서 유전자 조작 옥수수의 재배는 확대 일로에 있어 1999년에는 전체 옥수수 재배 면적의 38%에 달했다. 옥수수는 사료 이외에도 옥수수 기름, 옥수수 전분, 콘 스낵 과자, 옥수수 통조림, 냉동 옥수수, 맥주(옥수수 전분 이용) 등을 통해서도 우리의 식탁에 오른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옥수수는 제철에 그대로 쪄서 팔리는 정도이며, 그 밖에 옥수수 가공 식품으로서 국내에서 소비되는 것은 거의 전부 수입 옥수수를 이용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감자
감자에는 주로 살충성을 갖도록 유전자를 조작하는 방법이 쓰여진다. 현재 생식용 감자는 직접 유통되지는 않는다. 왜냐 하면 유전자 조작 감자는 100% 미국에서만 생산되며, 곡식 이외의 농산물을 그대로 수입하는 것은 풍토병 전염 등의 이유로 전세계적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냉동 감자, 감자 전분, 건조 감자, 프라이드 포테토, 매쉬드 포테토, 감자 스낵 과자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우리 사회에서 유통되고 있다
유채.목화
노란 꽃이 피는 제주도의 유채밭이 명물로서 기억되기는 하지만 국산 유채는 가공되어 유통될 정도로 많은 양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국내에서 유통되는 유채유의 원료는 거의 100% 캐나다 산이거나 호주 산이다. 1999년 캐나다에서는 전체 유채 생산 중 유전자 조작 유채가 차지하는 비율이 50%에 이르고 있다. 유채에는 주로 제초제 내성을 갖도록 하는 유전자 조작법이 쓰인다. 캐나다 산 유채유는 카놀라유라고 불리우는 양질의 식용유로 가격이 그만큼 비싸다. 가격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는 비교적 시장점유율이 낮은 편이다. 그러나 유채유는 마요네즈의 원료로 많이 쓰이며 고급 마요네즈일수록 맛을 높이기 위해 카놀라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면화 역시 면실유의 원료로 유전자 조작 면화의 생산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 나라의 면실유의 원료는 중국과 호주에서 주로 수입되는데, 몬산토 등 유전자 조작 식품의 개발과 유통으로 유명한 다국적 기업이 중국과 호주의 종자 기업을 합병하여, 중국산과 호주산 면화는 유전자 조작 작물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제초제 내성, 살충성 면화가 주로 유전자 조작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다.면실유는 마가린을 만드는 원료로서 많이 쓰인다. 우리 나라에서도 주식으로서 빵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마가린의 사용도 확대되고 있으며, 빵 자체를 만드는데도 과자나 스낵류를 만드는데도 마가린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토마토
토마토는 수확 후 잘 무르고 상하기 때문에 익기 전인 푸른 상태에서 따서 유통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전자 조작법 중에서도 안티센스법이 쓰인다. DNA의 단백질의 합성을 봉쇄함으로써 과육을 무르게 하는 효소의 작용을 봉쇄하여 빨갛게 익은 다음에도 오래 동안 단단한 과육을 유지하며 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충분히 익은 후에 따서 유통하거나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맛도 더 좋고 색깔도 곱게 된다.
역시 생식품으로서는 국내에 들어올 수 없지만, 쥬스, 케찹, 퓨레, 페이스트 등 가공된 형태로서는 많이 수입되고 있으며 점점 소비량이 늘어나고 있는 품목의 하나이다.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4.04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