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 연구주제 선정 이유 및 토론 내용
☺ 연구방향
☺ 문헌고찰
1. 개념정리
2. 선행연구고찰
☺ 연구주제 선정 이유 및 토론 내용
☺ 연구방향
☺ 문헌고찰
1. 개념정리
2. 선행연구고찰
본문내용
INFP, ESFP는 같은 비율로 나타났고, 그 밖의 유형은 적게 나타났다. 선호지표에서 I, S, T, J가 속한 유형이 미국인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MBTI 성격유형의 선호별(E-I, S-N, T-F, J-P), 기능별(ST, SF, NF, NT), 기질별(SJ, SP, EJ, EP), 태도실행(IJ, IP, EJ, EP)과 16가지 유형별에 따른 사랑의 구성요소를 알아보았다. EI지표에서는 친밀감, 열정, 헌신의 구성요소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SN지표에서는 친밀감요소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TF지표와 JP지표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자신의 에너지 방향에 따라 사랑의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사물에 대한 인식의 기능에 따라 친밀감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MBTI 기능별, 기질별에 따른 사랑의 구성요소의 형성은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MBTI 태도실행지표에 따라서는 친밀감과 헌신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너지의 방향과 행동양식에 따라 사랑의 구성요소가 구성됨을 알 수 있다. MBTI 16가지 성격유형에 따라서는 친밀감 요소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과 사랑의 구성요소 간의 상관을 살펴보았을 때 정적상관이 있음을 나타났다. 셋째, MBTI 성격유형의 선호별(E-I, S-N, T-F, J-P), 기능별(ST, SF, NF, NT), 기질별(SJ, SP, EJ, EP), 태도실행(IJ, IP, EJ, EP)과 16가지 유형별에 따른 사랑유형을 알아보았다. EI지표에서는 좋은 친구 같은 사랑과 낭만적 사랑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SN지표와 TF지표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JP지표에서는 논리적 사랑과 소유적 사랑에 유의미함이 나타났다. MBTI 기능별, 기질별에 따른 사랑유형은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MBTI 태도실행지표에서는 좋은 친구 같은 사랑, 논리적 사랑, 낭만적 사랑, 소유적 사랑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너지의 방향과 행동양식에 따라 사랑유형이 구성됨을 짐작할 수 있다. MBTI 16가지 성격유형에 따라서는 논리적 사랑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과 사랑유형간의 상관을 살펴보았을 때 좋은 친구 같은 사랑에서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낭만적 사랑에서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사랑의 구성요소와 사랑유형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사랑의 구성요소에서 친밀감은 이타적 사랑, 유희적 사랑, 낭만적 사랑과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열정은 이타적 사랑, 유희적 사랑, 낭만적 사랑에, 헌신은 이타적 사랑, 유희적 사랑, 낭만적 사랑에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사랑의 구성과 유형에 영향이 있음이 나타났다. 즉, 자신의 에너지 방향과, 인식의 기능에 따라서, 태도, 실행면에 의해 사랑의 구성과 유형에 영향이 미침을 짐작할 수 있다.
목차>
연구주제 선정 이유 및 토론 내용
연구방향
문헌고찰
1. 개념정리
2. 선행연구고찰
목차>
연구주제 선정 이유 및 토론 내용
연구방향
문헌고찰
1. 개념정리
2. 선행연구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