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전통 화장 방법 연구
1. 서론
2. 화장의 이론적 고찰
3. 화장의 사적 고찰
① 상고시대
② 삼국시대
③ 고려시대
④ 조선시대
⑤ 개화기
4. 화장품의 유래와 원료
① 분백분
② 밀납
③ 화장품 원료 제조에 쓰인 기름류
④ 그을음으로 만든 눈썹
⑤ 홍화즙을 말려서 만든 연지연지
⑥ 사향
5. 결론
1. 서론
2. 화장의 이론적 고찰
3. 화장의 사적 고찰
① 상고시대
② 삼국시대
③ 고려시대
④ 조선시대
⑤ 개화기
4. 화장품의 유래와 원료
① 분백분
② 밀납
③ 화장품 원료 제조에 쓰인 기름류
④ 그을음으로 만든 눈썹
⑤ 홍화즙을 말려서 만든 연지연지
⑥ 사향
5. 결론
본문내용
나 하며 야한 화장은 정숙한 여자가 할 짓이 못된다는 전통적인 관념에 지배당했던 옛 여인네들도 입술연지만은 애용하였다. 그것은 입술 색깔이 푸른 여자는 음녀라는 이유에서였다. 본래 연지는 볼이나 이마에 칠한 것이자 루즈처럼 입술에 칠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입술이 창백하면 시집을 못 간다는 관념 때문에 옛 처녀들은 은밀히 연지를 구해 입술에 칠하는 습속이 퍼지게 되었다. 특히 연지의 붉은 색을 잡귀가 꺼린다하여 소녀들의 이마와 입술, 뺨에 널리 이용되었다. 연지는 홍람화의 화즙이나 수은과 유황의 화합물로 짙은 홍색의 광택이 있는 광물인 주사로 만들었는데, 주사로 연지를 만드는 기술은 연금술의 일부로 중국에서 모방해 가기도 하였다. 꽃 연지를 만드는 원료인 홍화의 잎이나 줄기는 쇠지 않을 때 나물을 무쳐 먹거나 열매로 기름을 짜서 약용으로 쓰이기도 했는데, 연지 꽃은 얼굴을 예쁘게 한다는 속전 때문이다. 오뉴월에 피는 홍화의 꽃을 새벽에 일찍 일어나 이슬이 마르기 전에 따 말린 다음, 물에 재었다가 베주머니에 넣어 약 짜듯이 짜서 즙을 낸다. 이 화즙을 체로 쳐서 응달에서 말려 고약처럼 굳힌다. 이것을 홍떡이라 부르며, 이 홍떡을 가루 내어 덜 붉은 노란 가루를 가려낸 다음 생나무 재나 짚을 태운 재로 홍색소를 분리시킨다. 이렇게 만들어진 생연지의 과장을 되풀이할수록 상품이 되며 두벌홍·세벌홍 등 질적인 차이가 생겨난다. 그런데 이처럼 길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홍화 가루는 1만여 평의 밭에서 고작 70∼80킬로그램 정도 생산가능하며 연작이 불가능하여 값이 매우 비쌌다. 그런데 개화기에는 창과 기를 구별하는 표식으로 백분만 칠하면 창이요 꽃 연지까지 칠하면 기로 알았다고 한다. 지금은 염료를 유분에 용해·분산 시켜 스틱 형태로 제조한 립스틱을 많은 여성들이 애용하고 있다.
⑥ 사향
원시 종교의식에서 사용하여 최고의 화장품으로 불리는 향료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대중화되어 상·하류 남녀 구별 없이 널이 애용되었다. 향은 일반 가정에서 제사 때 망령을 부르는 매개물로도 사용되었으며, 화장료는 물론 성욕촉진제로서 방사)에도 꽤 오래 이용되었다. 시체를 썩지 않게 하거나 청결하게 하는 방부용으로도 쓰였으며 장신구나 가구, 분·비누의 날 비린내를 가시기 위해서도 향료의 보급이 촉진되었다. 신라시대 여인들은 중국에서 고가로 사들인 향을 주머니에 넣고 패용 하였으나 당시의 향료는 대부분이 가루나 덩어리였다. 향료를 향기 짙은 꽃잎이나 줄기를 말려 분말로 만들어 그대로 사용하거나 도자기에 기름과 함께 재어 두었다가 손끝에 찍어 사용하였다. 이밖에 향료를 동물·광물에서도 추출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사향을 최상으로 여겼다. 사향은 반추 동물인 사향노루 수컷의 복부에 있는 선 분비물로, 그 달걀만한 크기의 향주머니 속에 평균 30∼60 그램 정도의 향료가 들어 있다고 한다. 이 향주머니를 절개하면 내부에 암갈색의 가루가 들어 있는데, 이 향주머니를 잘게 썰어 유지에 녹임으로서 향지를 만들고 이 향지가 바로 향장료의 원료가 되는 것이다. 사향을 '침실의 비향'이라고 부르듯이 성욕을 흥분시키는 조정효과가 뛰어나다. 그래서 미운 딸이 시집갈 때면 소박을 면하게 하기 위해 사향낭을 건네주었다고 한다. 또 '싸고 싼 사향도 냄새가 난다'는 말과 같이 지속성이 대단히 강하다. 옛날 조상들은 향을 특히 신성하게 여겨 서약할 때나 독서를 할 때도 상용하는 등 화장에만 국한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5. 결론
화장이란 선천적인 자신의 용모를 화장품과 미용술로서 수정 보안해서 아름답게 꾸미는 일이다. 또한 화장은 아름다움을 추구해서 자신의 용모를 돋보이고, 노화를 방지하려는 인간의 본능에서 비롯된 것이다. 화장의 역사는 인류의 정착생활과 문화가 발달됨에 따라 화장술도 함께 진보되어 왔다고 할 것이다. 화장의 역사는 수발의 역사와 때를 같이 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사시대의 유물이나 역사시대의 기록은 고대 여인의 부지런하고 아름다웠던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여인들은 한결같이 변함이 없었다. 고대에는 모권제도가 있어 사회적으로 우위를 차지한 시기도 있었으나 부권제도로 바뀌면서 지위는 낮아졌고 이조 오백년은 유교라는 굴레로 철저한 남존여비의 설움을 받기도 하였으나 언제나 여인들은 부지런하고 아름다웠다. 선사시대의 여인은 몸을 꾸미던 흔적은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 이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시대 고분벽화가 가장 구체적으로 그 시대 여인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유물은 역시 많지 않았다. 여기에 비하면 신라시대의 고분에서는 많은 유물이 출토되어 화려하였던 모습을 상상하기에 충분하였다. 어느 고분에서나 출토되는 금제 귀걸이, 목걸이, 비취구옥 등으로 당시의 여인들이 화사하게 몸을 꾸몄음을 짐작할 수 있다. 1971년 발견된 백제 무령왕릉의 유물은 백제 여인의 생활에 관한 새로운 지견을 가져다주었다.
고려시대에는 여인관계 유물이 풍부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전대에 비하면 다양해지고 있다. 고려청자의 분합이나 기름병 그 중에서도 동경과 청자 화장도구들은 전대에 없었던 혜원 신윤복, 단원 김홍도 같은 풍속화가의 작품을 통하여 여인들의 몸가짐과 마음씨를 짐작할 수 있게 되고 장도를 지니고 다니던 역대 여인들에게서 의연한 자세와 위엄을 느끼게 한다. 사임당 신씨 같은 여류화가를 통하여 곱고 아름다운 심정을 대할 수 있게도 된다. 어느 민족이든 성격과 생활양식에 의하여 짙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한편으로는 외부의 영향을 받아 변모 동화되기도 한다. 그러한 가운데 화장은 하나의 자연적 산물이 되어 갔다. 우리나라 전통 피부 관리·모발관리·화장 문화는 개화기 이후 '신식화장품'의 수입과 더불어 그 의미를 차츰 상실해 왔으나, 현대에 와서 전통 화장품 원료를 현대 화장품에 응용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에 한국 여성의 독자적인 아름다움을 부각시켜 미의 정형이 바람직하게 제시되어져야 하고 문화적·지리학적 환경에 맞는 한국 여성의 얼굴 유형에 맞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화장술과 향장료의 보급이 시급하매 이 분야에 대한 관련 학계와 기업의 요구가 요망된다.
⑥ 사향
원시 종교의식에서 사용하여 최고의 화장품으로 불리는 향료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대중화되어 상·하류 남녀 구별 없이 널이 애용되었다. 향은 일반 가정에서 제사 때 망령을 부르는 매개물로도 사용되었으며, 화장료는 물론 성욕촉진제로서 방사)에도 꽤 오래 이용되었다. 시체를 썩지 않게 하거나 청결하게 하는 방부용으로도 쓰였으며 장신구나 가구, 분·비누의 날 비린내를 가시기 위해서도 향료의 보급이 촉진되었다. 신라시대 여인들은 중국에서 고가로 사들인 향을 주머니에 넣고 패용 하였으나 당시의 향료는 대부분이 가루나 덩어리였다. 향료를 향기 짙은 꽃잎이나 줄기를 말려 분말로 만들어 그대로 사용하거나 도자기에 기름과 함께 재어 두었다가 손끝에 찍어 사용하였다. 이밖에 향료를 동물·광물에서도 추출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사향을 최상으로 여겼다. 사향은 반추 동물인 사향노루 수컷의 복부에 있는 선 분비물로, 그 달걀만한 크기의 향주머니 속에 평균 30∼60 그램 정도의 향료가 들어 있다고 한다. 이 향주머니를 절개하면 내부에 암갈색의 가루가 들어 있는데, 이 향주머니를 잘게 썰어 유지에 녹임으로서 향지를 만들고 이 향지가 바로 향장료의 원료가 되는 것이다. 사향을 '침실의 비향'이라고 부르듯이 성욕을 흥분시키는 조정효과가 뛰어나다. 그래서 미운 딸이 시집갈 때면 소박을 면하게 하기 위해 사향낭을 건네주었다고 한다. 또 '싸고 싼 사향도 냄새가 난다'는 말과 같이 지속성이 대단히 강하다. 옛날 조상들은 향을 특히 신성하게 여겨 서약할 때나 독서를 할 때도 상용하는 등 화장에만 국한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5. 결론
화장이란 선천적인 자신의 용모를 화장품과 미용술로서 수정 보안해서 아름답게 꾸미는 일이다. 또한 화장은 아름다움을 추구해서 자신의 용모를 돋보이고, 노화를 방지하려는 인간의 본능에서 비롯된 것이다. 화장의 역사는 인류의 정착생활과 문화가 발달됨에 따라 화장술도 함께 진보되어 왔다고 할 것이다. 화장의 역사는 수발의 역사와 때를 같이 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사시대의 유물이나 역사시대의 기록은 고대 여인의 부지런하고 아름다웠던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여인들은 한결같이 변함이 없었다. 고대에는 모권제도가 있어 사회적으로 우위를 차지한 시기도 있었으나 부권제도로 바뀌면서 지위는 낮아졌고 이조 오백년은 유교라는 굴레로 철저한 남존여비의 설움을 받기도 하였으나 언제나 여인들은 부지런하고 아름다웠다. 선사시대의 여인은 몸을 꾸미던 흔적은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 이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시대 고분벽화가 가장 구체적으로 그 시대 여인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유물은 역시 많지 않았다. 여기에 비하면 신라시대의 고분에서는 많은 유물이 출토되어 화려하였던 모습을 상상하기에 충분하였다. 어느 고분에서나 출토되는 금제 귀걸이, 목걸이, 비취구옥 등으로 당시의 여인들이 화사하게 몸을 꾸몄음을 짐작할 수 있다. 1971년 발견된 백제 무령왕릉의 유물은 백제 여인의 생활에 관한 새로운 지견을 가져다주었다.
고려시대에는 여인관계 유물이 풍부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전대에 비하면 다양해지고 있다. 고려청자의 분합이나 기름병 그 중에서도 동경과 청자 화장도구들은 전대에 없었던 혜원 신윤복, 단원 김홍도 같은 풍속화가의 작품을 통하여 여인들의 몸가짐과 마음씨를 짐작할 수 있게 되고 장도를 지니고 다니던 역대 여인들에게서 의연한 자세와 위엄을 느끼게 한다. 사임당 신씨 같은 여류화가를 통하여 곱고 아름다운 심정을 대할 수 있게도 된다. 어느 민족이든 성격과 생활양식에 의하여 짙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한편으로는 외부의 영향을 받아 변모 동화되기도 한다. 그러한 가운데 화장은 하나의 자연적 산물이 되어 갔다. 우리나라 전통 피부 관리·모발관리·화장 문화는 개화기 이후 '신식화장품'의 수입과 더불어 그 의미를 차츰 상실해 왔으나, 현대에 와서 전통 화장품 원료를 현대 화장품에 응용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에 한국 여성의 독자적인 아름다움을 부각시켜 미의 정형이 바람직하게 제시되어져야 하고 문화적·지리학적 환경에 맞는 한국 여성의 얼굴 유형에 맞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화장술과 향장료의 보급이 시급하매 이 분야에 대한 관련 학계와 기업의 요구가 요망된다.
추천자료
[불교][불교사상][한국불교]불교와 불교사상 및 한국불교의 특징(석가모니의 설교 방법, 삼국...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개념과 구성요소,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계와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우리말(한글, 한국어, 국어) 특질, 우리말(한글, 한국어, 국어) 중요성, 우리말(한글, 한국어...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구(장고)의 정의와 구조,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구(장고)의 특징, ...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가마싸움놀이(가마타기)의 의미, 유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가...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닭싸움(닭싸움놀이)의 명칭, 응용,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닭싸움...
[전통놀이]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강강술래(강강수월래)의 정의, 유래, 한국 전통놀이(민속...
[한국 전통놀이 말타기]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말타기(말뚝박기)의 개념, 교육적 효과, 한...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팽이놀이(팽이치기) 유래,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팽이놀이(팽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닭싸움(닭싸움놀이) 목적,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닭싸움(닭싸움...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 역사, 정의,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
(관광) 한국과 일본, 중국의 다도 체험 안내 (茶, 다도의 유래, 다도의 방법, 중국 & 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Q.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특징을 비교해보고 외국인 ...
외국인을위한한국문화교육론-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