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역사
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정의
Ⅲ.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효과
1. 진행 후 효과
2. 준비물
3. 방법
Ⅳ.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준비물
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놀이활동
1. 목적
2. 대상
3. 준비물
4. 놀이방법
5. 판정
6. 유의점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와 민속놀이자료집
1. 대상인원수
2. 준비물
3. 놀이의 유래
4. 놀이 방법
5. 유의점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놀이방법
1. 준비물
2. 놀이인원
3. 놀이방법
참고문헌
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정의
Ⅲ.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효과
1. 진행 후 효과
2. 준비물
3. 방법
Ⅳ.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준비물
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놀이활동
1. 목적
2. 대상
3. 준비물
4. 놀이방법
5. 판정
6. 유의점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와 민속놀이자료집
1. 대상인원수
2. 준비물
3. 놀이의 유래
4. 놀이 방법
5. 유의점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놀이방법
1. 준비물
2. 놀이인원
3. 놀이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엄두를 못 내다가 오늘에 이르러 우리 놀이가 새롭게 조명되면서 고궁에서나 명절 행사때 단골메뉴로 등장하여 누구나 쉽게 해 볼 수 있는 놀이가 되었다.
-교수적 수정이 된 놀이방법
1) 방울과 반짝이줄이 달린 공과 던져진 공이 통 안으로 들어가도록 만들어진 판을 플라스틱 통과 연결하여 준비한다.
2) 던지는 자리는 통과 약 1.5m 정도의 거리를 둔다.
3) 한 사람이 10개의 공을 차례로 던져서, 공이 들어갈 때마다 10점씩 계산한다.
4)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사람이 이긴다.
Ⅲ.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효과
1. 진행 후 효과
수와 시간, 눈손협응, 전신 협응력 신장
2. 준비물
투호 30개, 깊은 양동이 2개
3. 방법
①6개씩 투호를 나누어 갖고 두 편으로 나눈다.
②우선 짧은 거리에서 투호를 한다.
③거리 감각이 익혀지면 조금 떨어져서 화살을 던져 양동이에 많이 넣는 편이 이긴다.
Ⅳ.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준비물
이 활동은 그다지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누구든지 쉽게 할 수 있고 각 가정에서도 가족들과 게임을 할 수 있는 가족적인 활동이다.
게임을 위해 지름 20-30 센치 정도의 항아리와 20개 정도의 화살이 필요하다.
게임은 출발선에서 2-3미터 앞에 항아리를 놓고 던지는데 가장 많이 넣는 사람이 이기게 되는 것이다.
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놀이활동
1. 목적
조정력
2. 대상
1, 2학년 남, 여
3. 준비물
개인별로 나무젓가락 5개,양동이2
4. 놀이방법
1) 투호를 할 통(양동이)과 투호(나무젓가락)를 준비한다.
2) 투호통을 놓고 2-2.5미터 떨어진 곳에 선을 긋는다.
3) 모둠원이 각자 5개씩 나무젓가락을 양동이에 던져 넣는다.
4) 모둠원이 던져 넣은 개수를 모두 더해 기록으로 한다.
5. 판정
많이 던져 넣은 모둠이 이긴다.
6. 유의점
나무 젓가락 끝에 고무 찰흙을 붙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양동이 보다는 분유통 3개를 두꺼운 테이프로 옆으로 나란히 붙여 쓰면 더욱 재미있다.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와 민속놀이자료집
1. 대상인원수
2인 이상(개인, 단체 )
2. 준비물
투호병, 화살
3. 놀이의 유래
투호놀이는 일정한 거리에 놓인 병 속에 화살을 던져 노는 놀이인데 두 편이 청홍색의 화살을 가지고 어느 편이 더 많은 화살을 병 속에 던져 넣는냐에 따라 승부를 가리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주로 궁중이나 고관들의 피로연 때 여흥으로 이 놀이를 벌였다고 한다. 본래는 중국 당나라 때에 성행되었던 것인데《북사》〈백제전〉과 《신당서》〈고구려전〉에 이것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 나라 삼국 시대에 이미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4. 놀이 방법
① 투호병은 입지름이 3인치이고 귀의 입지름은 1인치이며 높이는 1자이다.
② 병 속은 팥으로 채운다.
③ 던지는 이의 거리는 병에서 6자 가량 떨어진다.
④ 한 사람이 12개의 살을 던져 승부를 다툰다.
⑤ 병에 던져 꽃힌 것을 상으로 삼는데 1백20을 채우는 쪽이 이긴다.
5. 유의점
① 던지는 사람은 양쪽 어깨에 균형을 취해야 살을 정확히 던질 수 있다.
② 이기는 것을 현, 지는 것을 불승이라 한다.
③ 한번을 1호(1경)라 하며 그 점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벌이 주어진다.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놀이방법
1. 준비물
투호화살 5개 이상, 투호항아리 1개
2. 놀이인원
2 - 10명 정도
3. 놀이방법
① 일정한 거리(3m정도)앞에 항아리를 놓아두고 화살을 던져서 항아리 안에 넣는 화살의 개수를 측정.
② 1인당 5 - 10개 정도의 화살을 던지게 한다.
③ 넣은 화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사람이 이긴다.
④ 인원이 많을 경우 두 모둠으로 나누어 모둠별로 넣은 화살의 개수를 합산하여 승부를 가리는 방법도 있다.
참고문헌
○ 김유경(2007),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 박병천 외 1명(1999), 전통 민속놀이의 체육학적 분류, 공주대학교스포츠과학연구소
○ 조향자(2008), 유아 사회성 발달을 위한 전통놀이의 효율적 지도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 조현승 외 2명(2012), 초등학교 민속놀이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
○ 조성숙(2002), 초등학교 전통놀이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 차옥수(1996), 초등체육 교육과정중 학년별 민속놀이, 한국초등체육학회
-교수적 수정이 된 놀이방법
1) 방울과 반짝이줄이 달린 공과 던져진 공이 통 안으로 들어가도록 만들어진 판을 플라스틱 통과 연결하여 준비한다.
2) 던지는 자리는 통과 약 1.5m 정도의 거리를 둔다.
3) 한 사람이 10개의 공을 차례로 던져서, 공이 들어갈 때마다 10점씩 계산한다.
4)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사람이 이긴다.
Ⅲ.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효과
1. 진행 후 효과
수와 시간, 눈손협응, 전신 협응력 신장
2. 준비물
투호 30개, 깊은 양동이 2개
3. 방법
①6개씩 투호를 나누어 갖고 두 편으로 나눈다.
②우선 짧은 거리에서 투호를 한다.
③거리 감각이 익혀지면 조금 떨어져서 화살을 던져 양동이에 많이 넣는 편이 이긴다.
Ⅳ.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준비물
이 활동은 그다지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누구든지 쉽게 할 수 있고 각 가정에서도 가족들과 게임을 할 수 있는 가족적인 활동이다.
게임을 위해 지름 20-30 센치 정도의 항아리와 20개 정도의 화살이 필요하다.
게임은 출발선에서 2-3미터 앞에 항아리를 놓고 던지는데 가장 많이 넣는 사람이 이기게 되는 것이다.
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놀이활동
1. 목적
조정력
2. 대상
1, 2학년 남, 여
3. 준비물
개인별로 나무젓가락 5개,양동이2
4. 놀이방법
1) 투호를 할 통(양동이)과 투호(나무젓가락)를 준비한다.
2) 투호통을 놓고 2-2.5미터 떨어진 곳에 선을 긋는다.
3) 모둠원이 각자 5개씩 나무젓가락을 양동이에 던져 넣는다.
4) 모둠원이 던져 넣은 개수를 모두 더해 기록으로 한다.
5. 판정
많이 던져 넣은 모둠이 이긴다.
6. 유의점
나무 젓가락 끝에 고무 찰흙을 붙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양동이 보다는 분유통 3개를 두꺼운 테이프로 옆으로 나란히 붙여 쓰면 더욱 재미있다.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와 민속놀이자료집
1. 대상인원수
2인 이상(개인, 단체 )
2. 준비물
투호병, 화살
3. 놀이의 유래
투호놀이는 일정한 거리에 놓인 병 속에 화살을 던져 노는 놀이인데 두 편이 청홍색의 화살을 가지고 어느 편이 더 많은 화살을 병 속에 던져 넣는냐에 따라 승부를 가리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주로 궁중이나 고관들의 피로연 때 여흥으로 이 놀이를 벌였다고 한다. 본래는 중국 당나라 때에 성행되었던 것인데《북사》〈백제전〉과 《신당서》〈고구려전〉에 이것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 나라 삼국 시대에 이미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4. 놀이 방법
① 투호병은 입지름이 3인치이고 귀의 입지름은 1인치이며 높이는 1자이다.
② 병 속은 팥으로 채운다.
③ 던지는 이의 거리는 병에서 6자 가량 떨어진다.
④ 한 사람이 12개의 살을 던져 승부를 다툰다.
⑤ 병에 던져 꽃힌 것을 상으로 삼는데 1백20을 채우는 쪽이 이긴다.
5. 유의점
① 던지는 사람은 양쪽 어깨에 균형을 취해야 살을 정확히 던질 수 있다.
② 이기는 것을 현, 지는 것을 불승이라 한다.
③ 한번을 1호(1경)라 하며 그 점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벌이 주어진다.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투호(투호놀이)의 놀이방법
1. 준비물
투호화살 5개 이상, 투호항아리 1개
2. 놀이인원
2 - 10명 정도
3. 놀이방법
① 일정한 거리(3m정도)앞에 항아리를 놓아두고 화살을 던져서 항아리 안에 넣는 화살의 개수를 측정.
② 1인당 5 - 10개 정도의 화살을 던지게 한다.
③ 넣은 화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사람이 이긴다.
④ 인원이 많을 경우 두 모둠으로 나누어 모둠별로 넣은 화살의 개수를 합산하여 승부를 가리는 방법도 있다.
참고문헌
○ 김유경(2007),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 박병천 외 1명(1999), 전통 민속놀이의 체육학적 분류, 공주대학교스포츠과학연구소
○ 조향자(2008), 유아 사회성 발달을 위한 전통놀이의 효율적 지도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 조현승 외 2명(2012), 초등학교 민속놀이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
○ 조성숙(2002), 초등학교 전통놀이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 차옥수(1996), 초등체육 교육과정중 학년별 민속놀이, 한국초등체육학회
추천자료
투호놀이에 대한 학습지도안
강강술래에 관한 고찰... (민속학, 놀이)
구비문학-민속극론(탈춤,인형극,발탈놀이)
유아사회교육 모의수업 계획안(투호놀이)
[민속예술]영남지역 탈놀이의 언어매체 분석 및 지역적 특성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배경, 특성, 성격,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지역수준교육과정, ...
계발활동(클럽활동, CA활동)의 목표와 연간지도계획, 계발활동(클럽활동, CA활동)의 편성과 ...
유아(만5세) 투호놀이 활동계획안
4)체육-5. 여가활동 - 조상의 전통놀이 속으로(투호 놀이)
정월대보름놀이 사례1 투호놀이, 정월대보름놀이 사례2 연날리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3 쥐불...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널뛰기, 지신밟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윷놀이, 널뛰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고싸움놀이, 연날리기), 정월대...
[연희][거리굿 연희][마을굿 연희][민속극 연희][박첨지놀이 연희]거리굿의 연희, 마을굿의 ...
전통놀이의 이해 - 놀이의 의미, 줄다리기, 강강술래, 답교놀이, 귀족적 놀이(투호, 승람도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