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외국의 노인권익운동의 유형
III. 각국 노인권익운동의 사례
IV. 외국의 노인권익 정책
Ⅴ. 외국의 노인권익과 사회보장제도
ⅵ. 선진국의 노인권익과 비정부기구
ⅶ. 외국 노인권익운동의 실태
ⅷ. 결 론
참고문헌
II. 외국의 노인권익운동의 유형
III. 각국 노인권익운동의 사례
IV. 외국의 노인권익 정책
Ⅴ. 외국의 노인권익과 사회보장제도
ⅵ. 선진국의 노인권익과 비정부기구
ⅶ. 외국 노인권익운동의 실태
ⅷ.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동이 일어날 여건이 충분히 조성되었다. 재정경제부 발표에 따르면 2002년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약 3백79만 명으로 전체인구 대비 8%에 이른다. 앞으로 40년 뒤면 생산연령층(15세 이상 65세 미만)인구가 6백만이 감소하는데 비해 노령인구는 1천4백53만 명으로 젊은층 2명이 1명의 노인을 부양해야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래서 갈수록 출산율이 떨어지고 노인층은 해마다 늘어나 국민의 노인부양부담이 커지면서 노인들의 사회진출과 경제력을 떠맡아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연령차별 반대운동’도 노인권익운동과 궁극적으로 맞닿아 있다. 연령차별반대라는 사회적으로 보편타당한 주제가 활발한 논의를 거친 뒤 자연스럽게 노인들의 경제활동문제와 연결되어 사회적으로 더욱 큰 문제로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이렇게 자연스럽게 분출되는 노인들의 권익보호 주장을 한편으로는 노인보건복지정책으로 흡수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세부적으로 노인권익보호 단체를 엮어내는 토양으로 만들어 더욱 풍부하고 건강한 사회로 나가기 위한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각 비정부기구에서 분야별로 노인과 관련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할 수 있도록 ‘노인권익분과’를 만들어야 한다. 환경, 인권, 생태, 통일, 여성 등 모든 비정부기구도 앞으로 다가올 노령화 사회를 준비해야 한다. 코피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나이가 든다는 것(Aging)은 사회적인 문제(Problem)를 일으키는 것이 아닌 사회적인 성취(Achievement)를 뜻 한다” 며 노인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자체를 바꿔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선진국 노인권익운동은 이제 새로운 흐름을 타고 있다. 첫째는 노인문제를 빈곤해결과 최저생활 보장을 위한 연기금문제라는 좁은 틀에서 벗어나 이제는 전체적인 국가프로젝트로서 접근하고 있다. 둘째는 철저한 역할분담이다. 역할분담의 주체는 노인, 노인권익운동을 강력히 추진하는 엔지오 그리고 정부 이렇게 3자로 구성되어 있다. 정부는 이러한 엔지오가 제시하는 정책적인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정책에 반영하며 엔지오와 노인 당사자들은 이러한 정책을 모니터링 하여 정책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선진국 노인권익운동은 일부 노인계층을 위한 운동이 아닌 모든 계층의 공감대를 만들어 가고 있는 보편적인 운동으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참고문헌
고양곤(2000), 외국 노인권익운동의 현황.
주명룡(2001) 대한은퇴자협회 자료.
참고문헌
고양곤(2000), 외국 노인권익운동의 현황.
주명룡(2001) 대한은퇴자협회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