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인안내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맹인안내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맹인안내견의 유래와 현황

2. 맹인안내견의 의의

3. 맹인안내견의 자격

4. 안내견이 되기까지의 단계

5. 안내견 훈련

6. 사용자와의 매칭

7. 사용자 교육

8. 사후관리

9. 은퇴

10. 맹인안내견을 만났을 때

11. 맹인안내견 육성에 관한 사회적 과제

본문내용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전 세계적으로 안내견은 사회봉사 차원에서 사회단체나 유력 인사들의 기부금으로 양성되며, 수요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것이 원칙이므로 안내견은 “더불어 사는 문화”, “나누고 베푸는 문화”, “이웃의 고통을 함께 하는 문화”의 상징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아직도 기부 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상태라서 삼성화재로부터 연간 수십억 원이 드는 것으로 알려진 안내견 학교 운영비 전액을 지원 받아 운영되고 있다.
국내에 단 하나뿐인 삼성화재 안내견 학교는 안내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부족과 운영상의 제약으로 인해 연간 10~12마리의 안내견을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는 25만여 명의 시각장애인이 있고, 안내견 분양을 신청한 시각장애인은 260여 명이다. 신청자는 많고 배출되는 안내견은 한정되어 있으니 절대적인 공급부족 현상에 처해 있는 상황이다. 삼성화재는 이윤창출을 존재 목적으로 하는 일반기업이므로 무한정 재원을 염출하여 안내견 양성에 투입할 수도 없는 형편이다. 때문에 우리도 외국의 사례처럼 사회 지도층 인사나 뜻있는 중산층들의 기부금으로 안내견 학교를 운영하는 방법을 연구해 보는 것이 현실적 대안이 될 것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4.0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