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Risk for infection_케이스스터디 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Risk for infection_케이스스터디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이론적 중재 (약 20개 가량있어서 무조건 A+)
간호수행 (약 20개 가량있어서 무조건 A+)
간호평가

본문내용

Tab. 1mg QD PO(α-blocker), Proscar 5mg QD PO(5α-reductase inhibitor) 복용하면서 방광 근육의 수축력이 회복되는 1주 기간동안 유치 도뇨관을 유지했으며, 이후 요폐 증상 호전되어 Foley catheter remove 후 400cc 자가 배뇨하여 배뇨장애가 호전되었다.
21. 대상자에게 현재 양성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해 요도가 눌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임을 설명하고, 약 복용하면서 방광 수축 기능이 회복하는 동안 약 1주간 유치 도뇨관을 하고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단기간 사용하므로 비교적 감염위험이 적지만, 도뇨관 자체가 침습적인 중재로 균이 들어가서 감염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무균적으로 삽입하고 관리할 때도 청결 유지하는 등 필요한 중재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했다. 대상자에게 스스로 도뇨관을 조작하거나 소변주머니를 들거나 하는 행동을 해선 안되며, 손씻기를 잘 하고 만지고 늘 청결하게 유지해야 함을 설명했다. 매일 저녁 회음부 간호를 시행하나 삽입 부위의 청결을 위해 주기적으로 물과 비누로 씻어주는 것이 좋으며, 줄이 꺾이거나 꼬이지 않게 주의하고 늘 소변이 잘 나오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이상이 있을 시 직접 해결하려 하지 말고 의료진을 호출하도록 지도했다.
22. 대상자에게 하복부나 옆구리 통증, 작열감, 혈액이 섞여 있거나 탁하고 악취 나는 소변, 발열, 오한, 홍조, 발한 등 감염 증상이 있을 시 즉시 보고하도록 설명했다. 소변줄이 빠졌거나 소변 배출이 되지 않을 때도 합병증이 생기지 않게 이른 중재가 필요하므로 반드시 알리도록 지도했다. 침상 옆, 화장실 안의 콜벨사용법을 교육하고 언제든지 눌러서 보고할 수 있게 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날짜/
검사
UA-WBC
UA-RBC
UA-Blood
2/1
Negative
5
1+
2/4
Negative
4
1+
2/7
Negative
0
Negative
① 3일 후(2/4) 요검사에서 혈액이 검출됨: 미달성
→7일 후(2/7) 재평가: 혈액 검출되지 않음 달성
날짜/
검사
WBC
(×10/ℓ)
ESR
(㎜/hr)
CRP
(㎎/㎗)
2/1
9.8
10
0.1
2/4
9.4
9
0.8
2/7
9.6
9
0.9
② 5일 동안 요검사에서 백혈구가 검출되지 않음 달성
③ 5일 동안 혈액 검사상의 감염 지표 (WBC, ESR, CRP)가 모두 정상 범위임 달성
④ 7일 동안(2/1~2/7) 농뇨, 혈뇨, 탁하고 악취나는 소변, 혈뇨, 옆구리 또는 치골위 통증과 같은 요로감염의 징후가 없었음 달성
⑤ 7일 동안(2/1~2/7) 37.5℃ 이상의 발열, 오한, 발한과 같은 전신감염 징후가 없었음 달성
⑥ 교육 후(2/1) 대상자는 유치도뇨관 적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증상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함: “소변이 탁하고 찌꺼기가 나오거나, 열나고 춥고 하면 감염된 증상이에요. ” 달성
⑦ 교육 후(2/1) 대상자는 요로감염 예방 방법을 1가지 이상 말함: “소변줄이 안 빠지게 조심해야겠네요. 소변주머니도 위로 들지말고 바닥에 안 닿게 고정해두면 되죠? 아, 맞다 물도 많이 마실게요. ”/“무슨 일 생기면 제가 안 만지고 바로 부를게요. ” 달성
장기목표
① 2/1~2/7 유치도뇨관을 유지하며 입원했고 자가 배뇨 잘하여 2/8 퇴원약 처방받고 퇴원했으며, 입원기간동안 감염은 발생하지 않음 달성
참고자료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현문사. 원종순 외
근거기반임상실무지침/유치도뇨(2014). 유치도뇨 간호실무지침 개발그룹. 병원간호사회
논문: 『수용개작방법을 활용한 유치도뇨 간호실무지침 개발』(2015). 임상간호연구. 21(1). p31-42
논문: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for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a large cross-sectional study of six hospitals』(2019). BMJ open journals. 9(2). Allison S Letica-Kriegel
대한비뇨의학회: https://www.urology.or.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5.06.19
  • 저작시기202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2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