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USN 기술 개발 로드맵을 보여준다. 센서노드의 경우 소형화를 지양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센서 노드에 사용되는 ZigBee나 IEEE 802.15.4 칩은 SoC 기술을 통해 점점 소형화 및 저전력화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센서노드에는 TinyOS, Nano-Qplus, Micro C/OS-II 등 다양한 OS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OS가 좀 더 경량화 될 필요가 있고, 전력을 적게 사용하도록 개발 되어
야 한다. 그리고 USN용 OS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표준화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MAC/PHY 계층의 통신 기술은 IEEE 802.15.4를 기반으로 한다. 3장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IEEE 802.15.4는 전력을 적게 사용하지만 데이터 전송률 또한 낮다.
반면, IEEE 802.15.3 태스크 그룹에서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MAC/PHY를 제정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이 두가지의 기술이 갖는 장점을 포함한 MAC/PHY가 제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IEEE 802.15.4a 태스크 그룹에서 연구되고 있는 UWB 기반의 위치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정밀도 높은 위치 인식 기술이 연구되어야 한다.
결론
초기의 센서네트워크는 모니터링 및 감시용, 군사용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제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ITS 시스템, 텔레메틱스, 재고관리, 환자관리, 동물관리, 자연재해관리, 건물관리 등 다양한 분야로 그 영역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영역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USN이다. USN 기술을 통해 센서네트워크는 기존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이루게 되었고, 수동적인 형태의 작동을 하던 센서가 능동적인(active)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센서 중심의 통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앞으로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센서의 용도는 더욱 다양해질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IT 분야를 선도해 나가기 위해서 USN은 필수적인 분야이다.현재 우리나라는USN 기술 개발을 위해 IT839 전략, USN 시범사업을 수행하는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USN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USN의 기반이 되는 센서네트워크 기술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USN 기술 동향 정보 및 기술 분석 내용을 토대로 USN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였다. 더불어, 현재 USN의 유력한 기반기술인 ZigBee와 6LoWPAN에 대한 기
분석 및 비교를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USN 기술 발전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USN 기술 개발 로드맵 및 USN 응용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USN 발전 모델은 추후 국가적인 USN 응용서비스 시범 사업을 위한 기반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현재 센서 노드에 사용되는 ZigBee나 IEEE 802.15.4 칩은 SoC 기술을 통해 점점 소형화 및 저전력화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센서노드에는 TinyOS, Nano-Qplus, Micro C/OS-II 등 다양한 OS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OS가 좀 더 경량화 될 필요가 있고, 전력을 적게 사용하도록 개발 되어
야 한다. 그리고 USN용 OS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표준화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MAC/PHY 계층의 통신 기술은 IEEE 802.15.4를 기반으로 한다. 3장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IEEE 802.15.4는 전력을 적게 사용하지만 데이터 전송률 또한 낮다.
반면, IEEE 802.15.3 태스크 그룹에서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MAC/PHY를 제정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이 두가지의 기술이 갖는 장점을 포함한 MAC/PHY가 제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IEEE 802.15.4a 태스크 그룹에서 연구되고 있는 UWB 기반의 위치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정밀도 높은 위치 인식 기술이 연구되어야 한다.
결론
초기의 센서네트워크는 모니터링 및 감시용, 군사용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제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ITS 시스템, 텔레메틱스, 재고관리, 환자관리, 동물관리, 자연재해관리, 건물관리 등 다양한 분야로 그 영역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영역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USN이다. USN 기술을 통해 센서네트워크는 기존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이루게 되었고, 수동적인 형태의 작동을 하던 센서가 능동적인(active)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센서 중심의 통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앞으로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센서의 용도는 더욱 다양해질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IT 분야를 선도해 나가기 위해서 USN은 필수적인 분야이다.현재 우리나라는USN 기술 개발을 위해 IT839 전략, USN 시범사업을 수행하는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USN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USN의 기반이 되는 센서네트워크 기술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USN 기술 동향 정보 및 기술 분석 내용을 토대로 USN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였다. 더불어, 현재 USN의 유력한 기반기술인 ZigBee와 6LoWPAN에 대한 기
분석 및 비교를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USN 기술 발전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USN 기술 개발 로드맵 및 USN 응용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USN 발전 모델은 추후 국가적인 USN 응용서비스 시범 사업을 위한 기반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추천자료
유비쿼터스-'공유와 감시의 두 얼굴'
유비권터스의 개념과 역기능
유비궈터스에대하여
(유비쿼터스) 유비쿼터스의 정의와 적용사례, 우리생활의 변화,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
(유비쿼터스) 유비쿼터스에 대한 소개와 우리 생활에서의 적용 및 장단점(찬반양론) 및 나아...
유비쿼터스에 대한 이해와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래에 따른 생활 양식의 변화와 문제점 및 개...
[경영학]유비 쿼터스
유비쿼터스/유비컴퓨팅(Ubiquitous/Ubicomputing)
유비쿼터스에대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개념(정의, 특징)과 유비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