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R성인 소아차이점, 응급 장비 사용법, 응급약물, ABGA해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포의 과도한 환기로 CO2가 과도하게 배출되었을 경우에 발생한다.
pain, anxiery, emotional stress 등의 요인에 의한 교감신경 자극
저산소증(Hypoxia)이 유발되는 상황
감염이 발생하여 열이 나는 상황
인공호흡기 치료 중 과도한 환기
임신(Pragnancy) 3기
두꺼워진 폐포로 인한 모세혈관막 울혈성 심부전, 초기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 폐렴(Pneumonia), 폐색전증
호흡 중추의 외상성 자극 (Center Nervous System trauma) 중추신경계 손상, 중추신경계 종양, 뇌내압(Intracranial pressure) 상승, 과다한 운동, 극심한 스트레스, 심한 동통
ㄷ) 증상
빈호흡 (Tachypnea ; deep and rapid breathing)
불안 (Restlessness)
빈맥 (Tachycardia)
떨림, 불안감 (Tremor)
혈관수축 (Vasoconstriction)
신경근의 자극 (Neuromuscular irritability)
감각이상 (Numness)
저칼륨혈증 (Hypokalemia)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ㄹ) 중재
교감신경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중재를 시행한다.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는 중재를 시행한다.
산소와 결합을 많이 시킴으로 Hypoxemia를 교정한다.
호흡방법을 개선하여 PCO2를 증가시킨다.
ABGA를 검사한다.
보상기전 Kidneys에서 H+을 흡수하고 HCO3-를 재흡수 하지 않는다.
대사성 산증 (Metabolic acidosis)
대사성 산증은 체내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서취되는 비휘발성산이 신장을 통해서 otjf되는 양보다 더 많은 경우를 말한다.
ㄱ) 기준
PH 7.35 이하
Bicarbonate(HCO3-) 22 meq 이하
PaCO2 정상범위
ㄴ) 원인
Metabolic acidosis의 원인을 알아보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는 음이온차 (anion gap)이 이용된다.
인체내 체액 속에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는 항상 같다.
Na+ + unmeasured cation = Cl- + HCO3- + unmeasured anion
하지만 이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음이온차가 발생한다.
Anion gap = unmeasured anion - unmeasured cation
= Na+ - (Cl- + HCO3-)
정상치는 12 ± 4 meq/L 이다.
Anion gap이 증가 젖산증 (Lactic acidosis)
당뇨성 케톤산증 (Ketoacidosis)
Anion gap이 정상 설사 (Catharsis)
신기증부전
신세뇨관 산증 (Renal tubular acidosis)
Anion gap이 감소 전체적으로 양성전위를 띠는 비정상단백질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
ㄷ) 증상
보상성 과호흡 (Kussmal breathing)
두통과 불안 (Headache & Lethargy)
중추신경계 감압 (Central Nerbous System) - 혼수상태 (coma)
메스꺼움 & 구토 (Nausea & Vomiting)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부정맥
고칼륨혈증 (Hyperkalemia)
고칼슘혈증 (Hypercalcemia)
ㄹ) 중재
에너지원으로 glucose을 충분히 공급하고 필요시 insulin을 공급하여 분해이화작용 (catabolism)을 예방한다.
호흡기계의 보상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호흡량을 증가시킨다.
중탄산염 (Sodium bicarbonte, NaHCO3)을 정맥내로 투여한다.
발작 (seizure)을 예방한다.
조직관류 (Tissue perfusion)와 산소와의 결합 (Oxygenation)을 증가시킨다.
전해질 불균형 (Electrolyte imbalance)를 교정한다.
보상기전 Hyperventilation
PCO2를 저하
HCO3- H2CO3 = 20 1
대사성 알칼리증 (Metabolic alkalosis)
ㄱ) 기준
PH 7.45 이상
Bicarbonate(HCO3-) 26 meq 이상
PaCO2 정상범위
ㄴ) 원인
염화물이나 포타슘이 부족할 때
Bicarbonate를 투여하거나 retension 되는 상황일 때
장기간 cortocostreroids를 투여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수소이온의 손실 (Hydrogen ion loss)
과다한 HCO3- 섭취했을 경우 (HCO3- > 26mmHg)
이는 우유 알칼리증후군에 의한 것이며
전혈의 과다한 수혈에 의한 것이다.
과다한 HCO3- 재흡수를 했을 경우
고알도스테론 혈증
감초중독증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다.
ㄷ) 증상
전신 혹은 호흡근육의 약화 (Muscle weakness)
신경근육의 민감(Neuromuscular irritability)으로 인한 발작(seizure), 경련(twitching), 근육강직성 경련(tetany)
위장 운동력의 감소 (Decrease gstrointestinal motility)
의식의 coma 상태로의 변화
중추성 호흡자극 억제로 환기량의 적어짐. (Hypoventilation)
조직의 저산소증 (산화혈색소 해리 곡선의 죄측이동)
오심(nausea), 구토(vomitting)
부정맥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저칼류혈증 (Hypokalemia)
ㄹ) 중재
Electrolyte imbalance 교정 Potassium replacemen
Calcium replacement
염화물 투여 (Acetazolamide 투여) 소변으로 bicarbonate를 배설시킨다.
염화물(CI)과 중탄산염은 세포외액을 구성하는 중요한 음이온이며, 이 두 음이온을 교환성 음이온이라고 부르는데 신장으로부터 한 음이온의 흡수가 촉진되면 반대로 다른 음이온의 배설이 촉진되는 관계에 있다.
알칼리의 섭취 (Alkaline intake)를 제한한다.
Vital Sign을 monitoring한다.
발작 (Seizure)을 예방한다.
보상기전 PaCO2를 증가
HCO3- H2CO3 = 20 1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4.12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