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 리 말
2. 성리학의 수용
3. 성리학 수용이후의 정치운영 양상
4. 성리학 수용전후의 개혁정치 차이
5. 성리학 수용이후의 대원관계
6. 민지를 통해 본 역사의식
2. 성리학의 수용
3. 성리학 수용이후의 정치운영 양상
4. 성리학 수용전후의 개혁정치 차이
5. 성리학 수용이후의 대원관계
6. 민지를 통해 본 역사의식
본문내용
정치에 동의했기때문이 아니라 대원관계에서 세조구제의 유지를 충렬왕대 정치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했던 것이다. 하지만 충선왕을 중심으로 추진된 개혁은 대원관계에서 세조구제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고 이로부터 세조구제의 유지와 측근정치의 청산이 서로 대립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당시 민지는 충선왕의 개혁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고려-원 관계에서 세조구제가 갖는 역사적 의미에 대한 인식때문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의 논문. p.150
민지는 고려-원 관계에서 ‘세조구제’의 역사적 의미를 누구보다도 깊이 인식하고 외교활동을 통해 이를 지켜가고자 노력하였다.
충선왕이 복위한 뒤로는 민지는 원 제국 안에서 고려의 위상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역사편찬을 통해 전통문화를 강조하고 원으로부터 전래된 성리학을 부정하였다. 이는 당시 고려의 전통을 강조하면서 원에 대해 ‘세조구제’를 유지하고자 했던 지식인들의 현실인식의 일면을 보여 주는 것으로 평가 된다.결국 민지가 우려한 것처럼 세조구제에 대해 정쟁이 벌어지고 충숙, 충혜왕대에는 세조구제의 유지와 측근정치의 청산이라는 두 가지 정책이 극단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즉, 성리학을 포함한 원 문화의 수용이 ‘불개토풍’의 원칙위에 서 있는 세조구제의 유지를 어렵게 할 것이며 그것은 결국 고려왕조의 유지마저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던 것이다. 위의 논문. p.151
성리학을 부정하는 민지뿐 아니라 성리학자들 역시 사대를 추구하면서 우리만의 독자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면모나 세조구제의 유지를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태도는 당대 지식인들에게서 자주적인 의식을 엿 볼 수 있다.
민지는 고려-원 관계에서 ‘세조구제’의 역사적 의미를 누구보다도 깊이 인식하고 외교활동을 통해 이를 지켜가고자 노력하였다.
충선왕이 복위한 뒤로는 민지는 원 제국 안에서 고려의 위상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역사편찬을 통해 전통문화를 강조하고 원으로부터 전래된 성리학을 부정하였다. 이는 당시 고려의 전통을 강조하면서 원에 대해 ‘세조구제’를 유지하고자 했던 지식인들의 현실인식의 일면을 보여 주는 것으로 평가 된다.결국 민지가 우려한 것처럼 세조구제에 대해 정쟁이 벌어지고 충숙, 충혜왕대에는 세조구제의 유지와 측근정치의 청산이라는 두 가지 정책이 극단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즉, 성리학을 포함한 원 문화의 수용이 ‘불개토풍’의 원칙위에 서 있는 세조구제의 유지를 어렵게 할 것이며 그것은 결국 고려왕조의 유지마저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던 것이다. 위의 논문. p.151
성리학을 부정하는 민지뿐 아니라 성리학자들 역시 사대를 추구하면서 우리만의 독자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면모나 세조구제의 유지를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태도는 당대 지식인들에게서 자주적인 의식을 엿 볼 수 있다.
추천자료
21세기 사회변화와 지식경영
웰빙 열풍이 우리 사회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대사]부족국가에서 군장국가로가는 과정의 사회변화
가족의 정의와 사회변화에 따른 가족의 특성에 대해 조사.
1.관료제주의의특성과문제점 2.가족의정의와사회변화에따른가족의특성 3.아동의권리중가장시...
정보화와 사회변화
정보통신과 교통체계의 발달로 인한 사회변화와 이에 따른 도시정책의 방향
사회변화와 부모교육의 미래와 전망
사회변화의 현상과 복지국가의 대두와 재편
명말청초의 사회변화1 ppt
명말청초 사회변화 중 인구의 이동과 그 영향
노년에 대해서 새롭게 인식한 사회변화
[청소년복지] 사회변화에 따른 청소년 청소년정책(靑少年政策)의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