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기 성리학 수용 고려사회 변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4세기 성리학 수용 고려사회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 리 말

2. 성리학의 수용

3. 성리학 수용이후의 정치운영 양상

4. 성리학 수용전후의 개혁정치 차이

5. 성리학 수용이후의 대원관계

6. 민지를 통해 본 역사의식

본문내용

정치에 동의했기때문이 아니라 대원관계에서 세조구제의 유지를 충렬왕대 정치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했던 것이다. 하지만 충선왕을 중심으로 추진된 개혁은 대원관계에서 세조구제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고 이로부터 세조구제의 유지와 측근정치의 청산이 서로 대립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당시 민지는 충선왕의 개혁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고려-원 관계에서 세조구제가 갖는 역사적 의미에 대한 인식때문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의 논문. p.150
민지는 고려-원 관계에서 ‘세조구제’의 역사적 의미를 누구보다도 깊이 인식하고 외교활동을 통해 이를 지켜가고자 노력하였다.
충선왕이 복위한 뒤로는 민지는 원 제국 안에서 고려의 위상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역사편찬을 통해 전통문화를 강조하고 원으로부터 전래된 성리학을 부정하였다. 이는 당시 고려의 전통을 강조하면서 원에 대해 ‘세조구제’를 유지하고자 했던 지식인들의 현실인식의 일면을 보여 주는 것으로 평가 된다.결국 민지가 우려한 것처럼 세조구제에 대해 정쟁이 벌어지고 충숙, 충혜왕대에는 세조구제의 유지와 측근정치의 청산이라는 두 가지 정책이 극단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즉, 성리학을 포함한 원 문화의 수용이 ‘불개토풍’의 원칙위에 서 있는 세조구제의 유지를 어렵게 할 것이며 그것은 결국 고려왕조의 유지마저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던 것이다. 위의 논문. p.151
성리학을 부정하는 민지뿐 아니라 성리학자들 역시 사대를 추구하면서 우리만의 독자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면모나 세조구제의 유지를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태도는 당대 지식인들에게서 자주적인 의식을 엿 볼 수 있다.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4.13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