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초자료수집 (baseline data)
2. 결과관찰항목의 선정 원칙
3. 연구자료의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통계분석의 원칙
2. 결과관찰항목의 선정 원칙
3. 연구자료의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통계분석의 원칙
본문내용
을 이용하는 것이 귀무가설의 검정보다 선호된다. 시험약과 대조약간에 유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임상시험을 수행한 후 연구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결과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여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내릴 경우에는 먼저 연구대상수가 너무 적어 통계적 검정력이 낮아서 나타난 현상이 아닌지 확인하여야 한다. 즉, 연구자료에서 산출된 차이와 연구에 참여한 대상수로 통계적 검정력을 산출하였을 때, 80%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면, 두 군간에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유보하여야 한다. 80%이상의 통계적 검정력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대상수를 통계적으로 산출하여 그 규모가 될 때까지 연구를 더 진행한 후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야 타당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급성위장관염(AGE) 환아에 대한 case study
정상자연질분만 케이스 스터디
가와사키 아동 질환(Kawaski Disease) 케이스
<케이스> 총담관결석증과 관련된 사례연구
대퇴골 골절(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케이스
(A+) 만성신부전 CRF 케이스 스터디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CRF)case study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문헌고찰
골절에 대한 케이스 case - 입원시 진단명 : intertrochanteric fracture, close
[간호] 간경변증(간경화증)
요로결석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