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만성신부전 CRF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만성신부전 CRF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기초자료 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1) 현병력
(2) 과거력
3. 간호력
4. 각 기관의 조사
5. 신체검진
6. 질병에 관한 문헌 고찰
7.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8. 의학적 치료 및 경과

Ⅱ.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투약목적
부작용
Renalmin tab
1회 1정, 1일 1회
1일 1회 1정. PO
Vit B. C 보충
현기증, 실신, 피로, 측복통, 두통
Feroba - U
1일 1-2회 식후 씹지않고 삼켜서 복용
1일 1회 (0.0.1)PO
빈혈 치료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복통, 설사, 변비, 위부불쾌감, 두드러기, 가려움증, 광선과민증
Lasix 40mg
1일 1회 20-80mg 매일 또는 격일. 최대 600mg/day. 고혈압에는 1일 80mg 2회 분복.
1일 2회 PO
항고혈압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저염소혈증성 알칼리증등의 전해질 평형실조 , 빈혈, 무과립구증, 혈소판감소, 백혈구감소, 어지러움, 두통, 감각이상, 황달, BUN/Cr 상승. 난청. 발진, 두드러기, 무력감, 권태감, 기립성 저혈압
anplag tab
1회 100mg 1일 3회 식후 복용
100mg 1T 식후 PO
말초순환 증진
AST,ALT, ALP, LDH의 상승, 발진, 발적, 구진, 가려움, 복통, 변비, 식욕부진, 설사, 구내염, 심계항진, 숨이참, 흉통, 안면홍조, 손의 부종, 빈혈, 뇌출혈, 비출혈, 체중증가, 권태감, 발열 등
raratoryl
1일 10~40mg 1-2회 분복
10mg 1일 2회 PO
항고혈압
BUN/Cr 상승, 급성신부전, Hb.Hct 감소, ANA 양성, 안면, 혀, 성문, 인두의 종창, 광과민증, 박리성 피부염, 발진, 가려움, 오심, 구토, 소화불량, 변비, 설염, 심계항진, 저혈압, 빈맥, 서맥 , 협심증 등
dilatrend
1일 1회. 하루최대 50mg 까지 가능
12.5mg 1일 2회 PO
항고혈압
두통, 피로, 수면장애, 우울, 환각, 서백, 방실차단, 심부전, 두드러기, 가려움, 설사, 복통, 구토, 변비, 구강건조
renagel
혈중 인
6.0-7.5mg/dl 1회1정 1일3회7.5-9.0mg/dl 1회 2정 1일 3회
9.0mg/이 이상 1회 2정 1일 3회
800mg (1.3.1)
혈중 인 조절
두통, 감염, 통증,고혈압, 저혈압,혈전증, 설사, 소화불량, 구토, 기침증가
colchine
1일 0.5-1mg PO
0.6mg 1일 1회 PO
통풍치료
구역, 구토, 설사, 복통, 장경련, 위장애, 탈수증, 저혈압, 무뇨증, 탈모증, 간기능이상
allopurinol
100-300mg/day 1-3회 분할 식후투여
100mg 1일 1회 PO
통풍치료
발열, 발한,구역,구토,빈맥,관절통, 자반증,식욕부진,묽은변, 골수억제,범혈구감소증, 백내장
(2) 지지요법
` 식이요법 : 혈액투석식
2) 외과적 치료 및 특수치료
① Jugular catheter insertion (05.10)
② AVF ( Lt. radiocephalic frstula formation lt wrist) (05.16)
③ perm catheter insertion (05.19) 
④ Hemodialysis(화,목,토)
Ⅱ. 간호과정 적용
적용날짜: 2008/05/21일 10am
사정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 가슴이 뛰고 목이 죄는 듯한 느낌이 들면서 불안하네요”
“ 머리가 좀 많이 아파요”
" 가끔씩 발이 저려요“
- V/S : BP 170/100
- palpitation 호소함.
- mild headache 호소함.
- 손과 발의 피부가 차갑게 촉지됨.
- 말초 맥박(족배동맥) 감소됨.
- 손톱 색깔이 창백하게 사정됨.
- ABGA : PO2 ▼71.6
- CBC : RBC ▼ 3.29 Hgb ▼9.7 Hct ▼28.4
간호진단
고혈압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기대결과
대상자는 5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평소 혈압(150/90)을 유지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2시간 간격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두통유무를 확인한다.
필요시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필요시 항고혈압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대상자의 상태변화를 빠르게 발견할 수 있다.
혈압이 상승되면 두통이 더 심해 질 수 있다.
수분의 축적은 혈압을 상승 시킬 수 있다.
약물투여로서 증상을 완화시킨다.
매 2시간마다 대상자의 V/S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두통 양상을 매 2시간마다 사정하였다.
수분섭취는 따로 시행하지 않았음.
nifedipine 1cap prn 조절하는 것을 관찰하였다.(1pm)
평가
대상자는 5월 21일 3pm에 혈압이 140/90으로 check 되었다.
Ⅲ. 참고문헌
-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 건강사정. 현문사
-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 인체구조와 기능 . 현문사
- 임상 및 진단 검사와 간호편람. 청구문화사
- 임상 약리학(개정2판), 청구문화사
- MOSBY'S DICTIONARY - MOSBY, 현문사
- 인터넷 사이트 - http://www.kimsonline.co.kr KIMS 온라인
Ⅳ. 실습일지 및 소감
날짜
실습내용
2008/05/13~2008/05/16
evening(2~9pm)
인수인계(대상자파악)
대상자 간호관찰(injection, foley insert 등), 드레싱 관찰
Special vital check, BST, Tatal vital check.
Bed cleansing, Bed making
Transfusion 관찰
EMR 사용(case 환자 정보 사정, vital sign 기록)
복막투석 관찰
inject connection & remove
대상자 모시고 검사실 다녀오기, 혈액검사물 심부름, 약국다녀오기
대상자 complain 해결
인공신장실 실습
2008/05/19~2008/05/21
day (7am~3pm)
대상자 간호관찰(injection, foley insert 등), 드레싱 관찰
Special vital check, BST, Tatal vital check.
Bed cleansing, Bed making
Transfusion 관찰
EMR 사용(case 환자 정보 사정, vital sign 기록)
복막투석 관찰
inject connection & remove
대상자 모시고 검사실 다녀오기, 혈액검사물 심부름, 약국다녀오기
대상자 complain 해결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2.06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