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 인간과 신화(3.유교) 를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자 - 인간과 신화(3.유교) 를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진 한대의 유학을 ‘재난과 승리’로 표현한 이유와 그 근거에 대해 논평하시오.

2.유교가 서구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에 대한 필자의 입장을 정리하고 그 논점을 비평하시오.

본문내용

그의 사상이 도가사상에 기초를 둔 것이라는 말이있다. 이 도가사상과 법가사상은 모두 유교의 대적이었다.
기원전 3세기 유가들은 古道의 부활을 원하는 집단으로 일반에게 인식되었을 뿐 아니라 자신들도 그렇게 생각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법가들은 새로운 방책으로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는 과감한 개혁가로 자처하였다. 이 주장에도 전혀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자유에 관한 법가의 입장은 확실히 반동적이었다. 봉건제의 전성기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개인의 자유가 새로이 주장되었을 때 유가는 이것을 옹호하고 나섰지만 법가들은 이 자유를 질서의 파괴자로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법가사상이 완전히 인정받고 실현된 나라는 멀리 서쪽 변방에 위치한 진나라 뿐 이었다.
인접한 이민족과의 전투 때문에 백성들은 항상 호전적이 될 수밖에 없었고 문화를 즐길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항상 규율을 존중하고 권위에 순종하는 사람이 된 것 같다.
진시황은 [한비자]를 보고 한비자를 만나고 싶어 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미 다른법가가 그보다 먼저 진에 와있었으니 그사람이 바로 이사이다. 그는 한비자 보다는 능력이 부족했으나 진시황의 신임을 받고 있다는 이점이 있었고 한비자를 살해하는데 그후 살해되는 동료 사상에 의거하여 진을 승리로 이끌었다.
학자들 특히 유가사상가들이 전체주의적인 국가에 동화되기 어렵다고 생각하였고 그것은 곧 판명되었다. 그들은 용감하게도 진시황을 비판하기도 하였지만 진시황은 그것을 순전히 언어의 도단이라고 생각하였다. 더욱이 그들은 상당히 많은 말썽을 일으켰기 때문에 그들이 백성을 선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될 정도였다.
진대에 유교를 박해한 것은 유교운동을 더욱 강화 시켰던 것 같다. 법가사상이 유교에 가한 진정한 타격은 유교를 박해한 것이 아니라 유교를 왜곡 시켰다는 점이다. 한대의 권위주의적인 정통유교의 성격에 실제 법가사상의 요소가 상당히 많은 점은 왕왕 지적되어 왔다는 점은 법사사상의 경향을 띤 것이다. 실제 법가사상은 장기간에 걸쳐 유가사상내에 부단히 침두되었다. 유가와 법가 서로가 원문에 왜곡된 것들을 첨가 하였고 조작하였다.
[논어]에선 공자의 입을 빌어 봉건적인 위계질서를 강조한 부분이 나오는데 법가사상의 영향이 명백하며 전체주의적인 군주의 면모가 보인다. 또한 공자가 왕의 권위주의적인 독재를 찬성하였다든가 또는 그가 봉건제도의 옹호자였다는 따위의 생각들도 여기서 유래된 것이다. 또 한가지는 공자는 성인이란 신비하게도 날 때부터 모든 지식을 겸비한다는 관념으로서의 경험과 반성 그리고 부단한 배움을 통한 지식의 습득을 강조하였는데 이런 입장과는 크게 다른 말이 써져 있다.
법가는 지식을 독소적인 요소로 보았고 공부라는 것을 경멸하였으며 학식을 가진 사람들을 신용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자의 입장과는 다른 말들이 써져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어에서 공자 자신의 지식론과는 그 근본부터가 다른 관념, 즉 태어날때부터 무소부지란 성인의 관념을 유교 내에 확고하게 정착시키는데 성공하였다.
법가이론이 유교안에 침투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한대에도 의연히 계속 된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면에서 볼때 작가가 진,한대 유학을 재난이라 표현한 이유를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해준다.
서쪽 변방의 진나라 뿐만 아니라 그 시대 군주들의 눈길을 끌었던 정치는 역시 법가사상이 아닌가 싶다. 중국인들의 유학 또한 중요하였지만 당시 각박하고 어지러울 때에 유학보단 실제적이고 군주를 위한 법가사상이 부상할 수밖에 없었으리라. 군주가 만사를 지시하고 독제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백성은 아무것도 이해할 필요가 없고 복종하기만 하면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4.1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