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작하며
2. 호스트 이름 설정
3. IP 어드레스 지정
4. hosts 파일과 networks 파일
5. Interface 설정 및 라우팅 테이블 만들기
2. 호스트 이름 설정
3. IP 어드레스 지정
4. hosts 파일과 networks 파일
5. Interface 설정 및 라우팅 테이블 만들기
본문내용
1. 시작하며
이 장에서 TCP/IP 설정에 관한 모든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지도 않으며 TCP/IP 설정 시맞닥뜨리게 되는 어려운 문제들을 다루지도 않는다.
다만, 시스템에 처음 TCP/IP 설정 시나 가장 일반적인 문제를 풀어가는 데 필요한 내용을기술했다.
시스템에 TCP/IP 설정한다는 것은 실제 이론과는 달리 쉽지가 않다는 것을 직접 해 본 사람은 다 느낄 것이다. NIC(Network Interface Card, 흔히 LAN 카드라 부름)를 컴퓨터에 부착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므로 만만치 않은 작업이 될 것이다.
그렇다고 시도 조차 해 보지 않고 포기할 정도로 어려운 편은 아니다.
요즘 웬만한 운영체제는 설치를 할 때 기본적으로 TCP/IP 설정의 많은 부분을 자동적으로 해결하기도 한다.
TCP/IP 설정을 할 때에는 일단 설정을 한 번하면 새로운 NIC 설치나 시스템의 완전히고치는 경우가 아니라면 두 번 설정을 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어떤 명령들은 재 부팅할 때 마다 실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명령어들의 대부분은 /etc/rc의 스크립트가 맡는다. 이런 작업을 수행하는 스크립트 이름은 rc.net 이나rc.inet으로 나타내며 어떤 시스템에서는 rc.inet1 혹은 rc.inet2로 나타나기도 한다.
전자는 주로 커널 부분의 네트워킹을 초기화 시키는 데 쓰이며, 후자는 기본이 되는네트워크 프로그램(데몬들?)을 실행시키는 데 쓰인다.
2. 호스트 이름 설정
호스트 이름을 설정은 보통 부팅할 때 hostname 명령으로 정해진다.
호스트 이름을 바꾸기 위해서는
$ hostname 호스트이름와 같이 명령한다.
3. IP 어드레스 지정
만약,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외부와의 접속을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만 모든 작업을 하고자 한다면 루프 백(loop back)을 사용하면 된다.
루프 백 IP 어드레스는 항상 127.0.0.1이며 실제 인터넷에 접속한 것과 같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윈도우즈 95에서 퍼스널 웹 서버를 깔고 ASP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리눅스에서
아파치 서버를 깔고 CGI 또는 Lite 프로그래밍을 한다고 가정할 때, 웹 브라우저를 켜 놓고
URL 입력창에 http://127.0.0.1/이라고 입력하면 로컬 웹 서버에 접속한다.
이 장에서 TCP/IP 설정에 관한 모든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지도 않으며 TCP/IP 설정 시맞닥뜨리게 되는 어려운 문제들을 다루지도 않는다.
다만, 시스템에 처음 TCP/IP 설정 시나 가장 일반적인 문제를 풀어가는 데 필요한 내용을기술했다.
시스템에 TCP/IP 설정한다는 것은 실제 이론과는 달리 쉽지가 않다는 것을 직접 해 본 사람은 다 느낄 것이다. NIC(Network Interface Card, 흔히 LAN 카드라 부름)를 컴퓨터에 부착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므로 만만치 않은 작업이 될 것이다.
그렇다고 시도 조차 해 보지 않고 포기할 정도로 어려운 편은 아니다.
요즘 웬만한 운영체제는 설치를 할 때 기본적으로 TCP/IP 설정의 많은 부분을 자동적으로 해결하기도 한다.
TCP/IP 설정을 할 때에는 일단 설정을 한 번하면 새로운 NIC 설치나 시스템의 완전히고치는 경우가 아니라면 두 번 설정을 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어떤 명령들은 재 부팅할 때 마다 실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명령어들의 대부분은 /etc/rc의 스크립트가 맡는다. 이런 작업을 수행하는 스크립트 이름은 rc.net 이나rc.inet으로 나타내며 어떤 시스템에서는 rc.inet1 혹은 rc.inet2로 나타나기도 한다.
전자는 주로 커널 부분의 네트워킹을 초기화 시키는 데 쓰이며, 후자는 기본이 되는네트워크 프로그램(데몬들?)을 실행시키는 데 쓰인다.
2. 호스트 이름 설정
호스트 이름을 설정은 보통 부팅할 때 hostname 명령으로 정해진다.
호스트 이름을 바꾸기 위해서는
$ hostname 호스트이름와 같이 명령한다.
3. IP 어드레스 지정
만약,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외부와의 접속을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만 모든 작업을 하고자 한다면 루프 백(loop back)을 사용하면 된다.
루프 백 IP 어드레스는 항상 127.0.0.1이며 실제 인터넷에 접속한 것과 같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윈도우즈 95에서 퍼스널 웹 서버를 깔고 ASP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리눅스에서
아파치 서버를 깔고 CGI 또는 Lite 프로그래밍을 한다고 가정할 때, 웹 브라우저를 켜 놓고
URL 입력창에 http://127.0.0.1/이라고 입력하면 로컬 웹 서버에 접속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