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터넷 정보검색사 1급, 2급시험대비 정리 및 요약
# 인터넷(정의&특징)
# 인터넷 기본 서비스
# 국내 인터넷의 역사
# 국내 인터넷 사용 현황
# 국내 인터넷 관련 기구
# 국외 인터넷 관련기구
# 인터넷 관련 문서
# 도메인
# 국내 도메인의 구조
# 해외 도메인의 구조
# IP주소
# IPv6
#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 버추얼 호스트(Virtual Host)
# 정보통신 시스템
#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구분
# 인터네트워킹 장비
# 프로토콜(Protocol)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 인터넷 표준 통신 규약 TCP/IP
#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
#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
# OSI 7계층과 TCP/IP 프로토콜 계
# 인트라넷(Intranet)
# 엑스트라넷(Extranet)
# 인터넷 관련 법규
# 네티켓(Netiquette)
# 인터넷 관련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 인터넷 접속 기술
# 대표적인 바이러스
# 인터넷 보안 기술
# 암호 시스템
# 전자우편 보안(PGP, PEM, SSL)
# 보안
# 웹(Web)
# 프로토콜의 잘 알려진 포트번호
[웹 프로그래밍 언어]
# 클라이언트측의 언어
# 서버측의 언어
# JAVA와 JavaScript
# 서버 관련 검색 명령어
# 서버 관련 에러 코드(메시지)
# 홈페이지(웹사이트)
# 태그
# 텍스트 파일 형식
# 이미지 파일 형식
# 오디오 파일 형식
# 비디오 파일 형식
# 압축프로그램의 종류
# 플러그 인(Plug-in) 프로그램
# 웹브라우저(Web Browser)
# 전자우편
# 메일 서버의 종류
# 한글 표준코드의 종류
# 메일링 리스트
# UMS
# FTP
# 유즈넷
# 대표적인 모그룹
# IRC(Internet Relay Chat)
#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 인터넷 방송
# 인터넷 폰
# 무선데이터서비스
# 검색엔진
# 로봇
# 검색엔진의 구분(중요)
# 대표적인 검색 옵션
# FTP 명령어
# 유닉스(UNIX) 명령어
# Automatic Completion(자동완성)
# Eudora
# Cashe(캐쉬)
# Frame(프레임)
# Telnet
# Finger
# Mirroring
# 라우팅
# 블루리본
# Plug and Play
# 리눅스(Linux)
# 유닉스(UNIX)
# 전자서명법
# ASP
# InterNIC(
# FSF
# Whois 검색
# CIA의 World Fact book
# 쿠키
# 시소러스(Thesaurus)
# Thread(쓰레드)
# Mobile(모바일)
# P2P
# 리키즈(Leakage)
# 블르투스(Bluetooth)
# 패치(Patch)
# 인터넷(정의&특징)
# 인터넷 기본 서비스
# 국내 인터넷의 역사
# 국내 인터넷 사용 현황
# 국내 인터넷 관련 기구
# 국외 인터넷 관련기구
# 인터넷 관련 문서
# 도메인
# 국내 도메인의 구조
# 해외 도메인의 구조
# IP주소
# IPv6
#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 버추얼 호스트(Virtual Host)
# 정보통신 시스템
#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구분
# 인터네트워킹 장비
# 프로토콜(Protocol)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 인터넷 표준 통신 규약 TCP/IP
#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
#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
# OSI 7계층과 TCP/IP 프로토콜 계
# 인트라넷(Intranet)
# 엑스트라넷(Extranet)
# 인터넷 관련 법규
# 네티켓(Netiquette)
# 인터넷 관련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 인터넷 접속 기술
# 대표적인 바이러스
# 인터넷 보안 기술
# 암호 시스템
# 전자우편 보안(PGP, PEM, SSL)
# 보안
# 웹(Web)
# 프로토콜의 잘 알려진 포트번호
[웹 프로그래밍 언어]
# 클라이언트측의 언어
# 서버측의 언어
# JAVA와 JavaScript
# 서버 관련 검색 명령어
# 서버 관련 에러 코드(메시지)
# 홈페이지(웹사이트)
# 태그
# 텍스트 파일 형식
# 이미지 파일 형식
# 오디오 파일 형식
# 비디오 파일 형식
# 압축프로그램의 종류
# 플러그 인(Plug-in) 프로그램
# 웹브라우저(Web Browser)
# 전자우편
# 메일 서버의 종류
# 한글 표준코드의 종류
# 메일링 리스트
# UMS
# FTP
# 유즈넷
# 대표적인 모그룹
# IRC(Internet Relay Chat)
#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 인터넷 방송
# 인터넷 폰
# 무선데이터서비스
# 검색엔진
# 로봇
# 검색엔진의 구분(중요)
# 대표적인 검색 옵션
# FTP 명령어
# 유닉스(UNIX) 명령어
# Automatic Completion(자동완성)
# Eudora
# Cashe(캐쉬)
# Frame(프레임)
# Telnet
# Finger
# Mirroring
# 라우팅
# 블루리본
# Plug and Play
# 리눅스(Linux)
# 유닉스(UNIX)
# 전자서명법
# ASP
# InterNIC(
# FSF
# Whois 검색
# CIA의 World Fact book
# 쿠키
# 시소러스(Thesaurus)
# Thread(쓰레드)
# Mobile(모바일)
# P2P
# 리키즈(Leakage)
# 블르투스(Bluetooth)
# 패치(Patch)
본문내용
Log파일의 형식.
# DES: 암호화기법으로 WWW에서 많이 사용된다.
- 암호화: 네트워크 보안의 일종으로 데이터의 특정한 처리를 통해서 침입자 또는 파괴자가 데이터를 입수해도 그 내용을 볼 수 없게 하는 방법.
# Dig: IP주소를 가지고 실제 호스트명을 알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Zmodem: PC통신에서의 파일전송프로토콜 중 정형화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또한 복수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이 잠시
중단되어도 이후에 파일을 다시 이어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 자신의 사무실에 인터넷 전용회선을 설치할 때 반드시 필요한 장비: LAN-card, HUB, Router, DSU(Data Service Unit)
# KINDS(카인즈)- www.kinds.or.kr -> 국내의 대표적인 뉴스기사 검색 사이트.
# Browser Search Bot: 전 세계 각종 웹 서버를 돌아다니며 자료를 수집하는 검색엔진.
# SNMP: TCP/IP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
# 스팸(Spam)메일: 받아보고 싶지 않은 광고성 전자우편.
# 통신비밀보호법: 통신 및 대화의 비밀과 자유에 대한 제한은 그 대상을 한정하고 엄격한 법적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통신 비밀을 보호하고 통신의 자유를 신장함을 목적으로 한다.
# sendmail: 메일릴레이 기능 제공, Spam메일 차단 기능 제공, SMTP 프로토콜 사용.
# MUD(Multi-User Dungon)게임: 인터넷을 통해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게임으로, 게임을 진행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의 게임.
# Daemon(데몬): 서버에 항상 상주해 있으면서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들어오면 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버 프로그램.
# 불건전정보차단용 소프트웨어: NCAPatrol, NetNanny, SurfWatch, CYBERSitter.
# htdocs 디렉토리:: 웹 서버 구축과 관련하여 서버로 접속했을 때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읽게 되는 HTML문서들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cgi-src 디렉토리: Sample CGI 소스가 들어 있다.
src 디렉토리: 웹 서버 프로그램의 소스가 들어 있다.
# Wallet 기능: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제공하며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사용한 신용카드의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 포탈사이트: 인터넷 접속, 전자우편, 홈페이지 공간, 회원간의 커뮤니티, 정보제공, 쇼핑등을 하나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종합정보제공사이트.
# PERL: 인터프리터 언어로 C언어와 구조가 유사하고 문자열 및 배열처리가 우수하다.(CGI에 가장 적합한 언어)
-> 텍스트 파일을 검색하여 실용적인 정보를 추출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보고하는 데 아주 적절한 언어.
# 쿠키(COOKIE): 웹 사이트와 인터넷 사용자 자신의 컴퓨터 사이에서 통신을 매개해 주는 정보.
-> 인터넷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이 사이트 내에서 어떤 정보를 읽어들이고 남겼는지를 기록하는 기능.
# .elm: 여러 시스템을 사용할 때 자신에게 온 전자우편을 자동으로 한 곳에 모아 전자우편을 읽을 수 있게 지정하는 파일.
# subscribe: 관심있는 분야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메일링 리스트에 등록하는 행위를 말한다.
# HDSL: T1/E1의 설치비용 및 시간을 단축, 원격지에서 최소 전력을 사용하므로 remote powering이 가능, 모니터링 장비가 필요 없다.
# 전자우편에서 한글깨짐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바이너리 형식으로 전송, 송신측에서는 KSC-5601 8비트 형식의 코드를 ISO-2022-KR 7비트
체계로 바꾸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역으로 변환한다. EUC-KR 8비트 형식으로 전송한다.
# 시소러스(Thesaurus): 검색어와 관련어를 정리한 통제 어휘집.
-> 사용자가 검색식에 입력한 문자열과 같지 않더라도 의미상 같거나 관련이 있는 용어들을 검색 가능하도록 구축한 데이터베이스.
# Thread(쓰레드): 유즈넷에서 어떤 주제에 대한 답장/재답장들을 계층적 구조로 묶어 놓은 것을 뜻하는 용어.
# Mobile(모바일): 인터넷이 지원되는 휴대 전화기나 PDA와 같은 무선통신 장비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국내 프로그램 저작권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권리에 관한 분쟁을 조정하는 기관.
# wab: 아웃룩 익스프레스 5.5에서 사용되는 주소록의 확장자 .
ldif: 넷스케이프 메신저에서 주소록 파일의 확장자.
# P2P: 소리바다 또는 냅스터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개인의 PC에 있는 파일을 공유하거나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방식.
# 리키즈(Leakage): 검색관련 용어 중 검색되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검색어의 사용으로 누락된 정보.
# 블르투스(Bluetooth): 인텔, IBM, 노키아, 에릭슨 등 5개의 업체가 공동으로 개발, PDA, 노트북등을 함께 연결하여 동기화 할 수 있다.
# 아바타(Avatar): 분신, 화신을 뜻하며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를 대신하는 것으로 게임, 채팅에서 많이 사용된다.
# CTI: ‘컴퓨터와 전화의 통합’으로 불리며, 통합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
# 패치(Patch):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공개된 이후에 발견한 오류들에 대하여 추가적인 보완을 할 수 있도록 배포되는 후속 프로그램.
# 해적(Piracy): 불법적인 소프트웨어 복제금지를 무력화하여 저작권이 있는 소프트웨어를 무단 복사하거나 복제하여 배포하는 행위.
# 기술적보호조치: 프로그램의 식별번호, 고유번호, 암호화 등의 핵심기술이나 장치를 통하여 프로그램 저작권을 보호하는 의미의 용어.
# 정보통신 시스템의 4요소: 단말장치, 데이터 전송회선, 통신제어장치, 컴퓨터.
# 익스플러로와 넷스케이프의 동일기능 비교
익스플러로
넷스케이프
Outlook Express
Messenger
Front Page
Composer
새로고침
Reload
즐겨찾기
Bookmarks
총정리 끝. 공부하시느라 수고하셨구요. 인터넷 정보검색사시험 꼭 합격하세요.
# DES: 암호화기법으로 WWW에서 많이 사용된다.
- 암호화: 네트워크 보안의 일종으로 데이터의 특정한 처리를 통해서 침입자 또는 파괴자가 데이터를 입수해도 그 내용을 볼 수 없게 하는 방법.
# Dig: IP주소를 가지고 실제 호스트명을 알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Zmodem: PC통신에서의 파일전송프로토콜 중 정형화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또한 복수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이 잠시
중단되어도 이후에 파일을 다시 이어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 자신의 사무실에 인터넷 전용회선을 설치할 때 반드시 필요한 장비: LAN-card, HUB, Router, DSU(Data Service Unit)
# KINDS(카인즈)- www.kinds.or.kr -> 국내의 대표적인 뉴스기사 검색 사이트.
# Browser Search Bot: 전 세계 각종 웹 서버를 돌아다니며 자료를 수집하는 검색엔진.
# SNMP: TCP/IP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
# 스팸(Spam)메일: 받아보고 싶지 않은 광고성 전자우편.
# 통신비밀보호법: 통신 및 대화의 비밀과 자유에 대한 제한은 그 대상을 한정하고 엄격한 법적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통신 비밀을 보호하고 통신의 자유를 신장함을 목적으로 한다.
# sendmail: 메일릴레이 기능 제공, Spam메일 차단 기능 제공, SMTP 프로토콜 사용.
# MUD(Multi-User Dungon)게임: 인터넷을 통해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게임으로, 게임을 진행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의 게임.
# Daemon(데몬): 서버에 항상 상주해 있으면서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들어오면 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버 프로그램.
# 불건전정보차단용 소프트웨어: NCAPatrol, NetNanny, SurfWatch, CYBERSitter.
# htdocs 디렉토리:: 웹 서버 구축과 관련하여 서버로 접속했을 때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읽게 되는 HTML문서들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cgi-src 디렉토리: Sample CGI 소스가 들어 있다.
src 디렉토리: 웹 서버 프로그램의 소스가 들어 있다.
# Wallet 기능: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제공하며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사용한 신용카드의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 포탈사이트: 인터넷 접속, 전자우편, 홈페이지 공간, 회원간의 커뮤니티, 정보제공, 쇼핑등을 하나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종합정보제공사이트.
# PERL: 인터프리터 언어로 C언어와 구조가 유사하고 문자열 및 배열처리가 우수하다.(CGI에 가장 적합한 언어)
-> 텍스트 파일을 검색하여 실용적인 정보를 추출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보고하는 데 아주 적절한 언어.
# 쿠키(COOKIE): 웹 사이트와 인터넷 사용자 자신의 컴퓨터 사이에서 통신을 매개해 주는 정보.
-> 인터넷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이 사이트 내에서 어떤 정보를 읽어들이고 남겼는지를 기록하는 기능.
# .elm: 여러 시스템을 사용할 때 자신에게 온 전자우편을 자동으로 한 곳에 모아 전자우편을 읽을 수 있게 지정하는 파일.
# subscribe: 관심있는 분야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메일링 리스트에 등록하는 행위를 말한다.
# HDSL: T1/E1의 설치비용 및 시간을 단축, 원격지에서 최소 전력을 사용하므로 remote powering이 가능, 모니터링 장비가 필요 없다.
# 전자우편에서 한글깨짐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바이너리 형식으로 전송, 송신측에서는 KSC-5601 8비트 형식의 코드를 ISO-2022-KR 7비트
체계로 바꾸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역으로 변환한다. EUC-KR 8비트 형식으로 전송한다.
# 시소러스(Thesaurus): 검색어와 관련어를 정리한 통제 어휘집.
-> 사용자가 검색식에 입력한 문자열과 같지 않더라도 의미상 같거나 관련이 있는 용어들을 검색 가능하도록 구축한 데이터베이스.
# Thread(쓰레드): 유즈넷에서 어떤 주제에 대한 답장/재답장들을 계층적 구조로 묶어 놓은 것을 뜻하는 용어.
# Mobile(모바일): 인터넷이 지원되는 휴대 전화기나 PDA와 같은 무선통신 장비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국내 프로그램 저작권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권리에 관한 분쟁을 조정하는 기관.
# wab: 아웃룩 익스프레스 5.5에서 사용되는 주소록의 확장자 .
ldif: 넷스케이프 메신저에서 주소록 파일의 확장자.
# P2P: 소리바다 또는 냅스터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개인의 PC에 있는 파일을 공유하거나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방식.
# 리키즈(Leakage): 검색관련 용어 중 검색되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검색어의 사용으로 누락된 정보.
# 블르투스(Bluetooth): 인텔, IBM, 노키아, 에릭슨 등 5개의 업체가 공동으로 개발, PDA, 노트북등을 함께 연결하여 동기화 할 수 있다.
# 아바타(Avatar): 분신, 화신을 뜻하며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를 대신하는 것으로 게임, 채팅에서 많이 사용된다.
# CTI: ‘컴퓨터와 전화의 통합’으로 불리며, 통합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
# 패치(Patch):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공개된 이후에 발견한 오류들에 대하여 추가적인 보완을 할 수 있도록 배포되는 후속 프로그램.
# 해적(Piracy): 불법적인 소프트웨어 복제금지를 무력화하여 저작권이 있는 소프트웨어를 무단 복사하거나 복제하여 배포하는 행위.
# 기술적보호조치: 프로그램의 식별번호, 고유번호, 암호화 등의 핵심기술이나 장치를 통하여 프로그램 저작권을 보호하는 의미의 용어.
# 정보통신 시스템의 4요소: 단말장치, 데이터 전송회선, 통신제어장치, 컴퓨터.
# 익스플러로와 넷스케이프의 동일기능 비교
익스플러로
넷스케이프
Outlook Express
Messenger
Front Page
Composer
새로고침
Reload
즐겨찾기
Bookmarks
총정리 끝. 공부하시느라 수고하셨구요. 인터넷 정보검색사시험 꼭 합격하세요.
키워드
추천자료
인터넷 정보격차
장애인복지 - 장애인의 “정보 활용” 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인터넷 정보 활용을...
정보사회 인터넷의 올바른 인식과 바람직한 인간상 실현을 위한 인터넷의 역할
[인터넷법률]정보사회 인터넷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기본권 문제
[자율규제][정보프라이버시보호 자율규제][언론 자율규제][인터넷방송 자율규제]자율규제의 ...
인터넷쇼핑몰의 소비자정보에 관한 소비자 만족 연구
[과학기술정보][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학기술정보의 특징, 과학기술정보의 분류, 과학기...
[인터넷미술][미술품경매][미술관교육]인터넷미술의 필요성, 인터넷미술의 활용 분야, 인터넷...
윤리의 유래, 의미, 정보사회에서 인터넷 윤리, 전자깡패, 사이버 폭력의 정의, 원인, 특징, ...
윤리 유래, 의미, 정보사회에서 인터넷 윤리, 전자깡패, 사이버 폭력의 정의, 원인, 특징, 전...
[정보화][손해보험사위험관리]손해보험사위험관리의 정보화, 자원봉사업무관리의 정보화, 기...
미국 교육정보화의 정부역할, 미국 교육정보화의 인재양성, 미국 교육정보화의 인터넷 교육자...
경영정보시스템_최근들어 사물인터넷이 ICT의 핫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