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회 인터넷의 올바른 인식과 바람직한 인간상 실현을 위한 인터넷의 역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I. 서 론

II. 정보사회와 새로운 인간형의 출현 및 바람직한 인간상
1. 정보사회의 배경
2. 정보사회의 정의와 특징
3. 전자미디어의 출현
4. 정보사회 인간의 사회적 성격
5. 정보사회에서의 바람직한 인간상

Ⅲ. 정보사회에서 정보와 지식의 차이

IV. 정보사회를 대비한 교육방안
1. 정보사회와 교육의 미래
2. 교육내용
1) 도덕성 교육
2) 창의성 교육
3) 주체성 교육
3. 교육방법

V. 바람직한 인간상을 실현을 위한 인터넷의 역할과 한계
1. 인터넷의 역할
2. 인터넷의 한계

VI.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자 중심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첫째, 학습에 대한 객관주의적 관점을 구성주의적 관점으로 전환해야한다.
둘째, 인지적 산출보다는 인지적 과정을 강조해야한다.
셋째, 교사·프로그램 통제수업에서 학습자 통제수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한 인터넷의 역할과 한계는 무엇인가?
1. 인터넷의 역할
첫째, 원격·가상교육을 보편화 시킬 것이다.
둘째, 네트워크 교육체제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셋째, 평생학습사회를 위한 개방교육체제로 전환 시킬 것이다.
다섯째, 인터넷은 국제적인 이해와 국제간 정보교환을 원활히 하도록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성장시키도록하는데 있어 세계문화에 대한 결핍과 그로인한 문화지체현상을 해소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2. 인터넷의 한계
첫째,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은 익명성(anonymity)과 은익성(capsulation)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인간에 내재된 공격적이며 파괴적인 욕구를 자극할 수 있으며, 이런 파괴적인 행위에 대한 예방 및 방어가 힘들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로, 개인정보의 유출을 들 수 있다.
셋째, 허위 정보 및 왜곡된 정보의 유통을 들 수 있다.
넷째, 정보의 빈부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다섯째, 문화적 종속과 획일성을 들 수 있다.
여섯째, 교육비용과 교육효과적인 면을 보장하기 힘들다.
현대사회는 무서운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그에 따라 시대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간상도 변하고 있다. 사회가 요구하는 기능요건, 인지방식, 그리고 환경여건에 큰 변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시대에 바람직한 인간을 길러내기 위해 교육도 변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교육은 전통의 상태를 고수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바림직한 인간상을 구현하도록 교육이 제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목표, 방법, 교육과정의 편제 등을 개정하고 이를 위해 행·재정적 지원을 위해 조직 등을 재정비해야 한다.
또한 정보사회의 중요한 커뮤티케이션 수단인 인터넷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할 것이다.
참고 문헌
노정현, "정보화사회에 대비한 학교 컴퓨터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1993.
노주경, 정보화사회를 대비한 교육과정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 통신정책연구 소, 1987.
박경섭,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의 질 향상", 교육개혁우수사례보고서, 1997.
박태균 외, 정보화사회에 대비한 교육,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88.
사회과학연구소, 정보화사회, 서울: 서울대학출판부, 1995.
신동의, "교육방법론의 측면에서 본 우리 나라 교육정보화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1997.
아놀드 토인비(최혁순 역), 인간의 현재와 미래, 서울: 문예출판사, 1982.
오형순,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컴퓨터의 역할",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3.
이두희, "정보화사회와 미래의 과학교육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 학원, 1997.
에듀넷, 구성주의란 무엇인가, 98대서 연수자료, 에듀넷 공개자료실
전영곤, "21세기를 대비한 바람직한 인간상",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1995.
정택희 외, 미래사회를 대비한 학교 컴퓨터 교육의 기본방향과 대책,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1993.
최정호 외,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출판사, 1995.
크리스챤아카데미 , 정보화시대 교육의 선택, 서울: 대화출판사, 1997.
Frank, W., (조동기 역), 정보사회이론, 서울: 사회비평사, 1997.
한국교육혁신연구회, 교육혁신의 방법과 진로, 서울: 교육과학사, 1991.
교육부, 교육소식, 제 6호, 1997.
______, 교육소식, 제 15호, 1997.
______, 교육소식, 제 19호, 1997.
______, 교육월보, 통권 114호, 1991.
김성구, 신자유주의 어떻게 볼 것인가, 대학신문 1997년 11월 10일
아놀드 토인비(최혁순 역), 인간의 현재와 미래, 서울: 예당출판사, 1982.
양원영, "정보화시대를 위한 교육", 교육학연구 제 31권 4호, 1993.
이숙행, "21세기가 요구하는 인간상", 교육학연구 제 31권 4호, 1993.
LG에드, 미래의 얼굴 1998년 3·4월호.
------, 미래의 얼굴 1998년 7·8월호.
------, 미래의 얼굴 1999년 5·6월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해외교육정보 1997년 9월호.
------------------, 해외교육정보 1997년 10월호.
------------------, 해외교육정보 1998년 2월호.
윤준수,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대전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정보사회학회편, 정보사회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사, 1999.
중앙교육연구소, 교육진흥, 가을호, 1996, pp.4-93.
한국정보문화센타, 초고속정보통신, 창간호, 1995.
한국통신, 클릭, 안녕하세요, 1999년 제 1회 사이버 백일장 우수작 모음집, 한국통신경기본부, 1999.
한국통신, 정보사회로 가는 길, 제 8회 대학생 논문현상공모 당선작 모음집, 한국통신, 1999.
홍성태, 사이버공간, 사이버문화, 서울: 문화과학사, 1997.
National Commission on Excellence in Education, A Nation at Risk, Washington, D. C.: U. S. Department of Education, 1983.
Somokh, B. and Davis, N.,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Effectively in Teaching and Learing, London: Routhledge, 1997.
천세영, 신자유주의와 교육의 공공성 문제,
Http://school.hongik.ac.kr/~donghea/na/nanum122.htm.
피에르 부르디외(민주노조운동연구소 역), 신자유주의의 본질,
http://www.jinbo.net/~copyle/archives/bourdieu.htm.
  • 가격2,9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3.2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