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월경의 진단 및 치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Initial evaluation

2. Further evaluation

3. 치 료

본문내용

사상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H-P failure로 진단하고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이상을 감별하기 위하여 GnRH test를 시행한다. GnRH test는 GnRH 100-150 mg을 30초에 걸쳐 서서히 정맥 주사한 후 기저치, 15분, 30분, 60분, 90분, 120분에 각각 혈중 LH, FSH 농도를 측정하여 LH 농도가 기저치에 비하여 1.7배 이상 상승한 경우를 양성 반응으로 진단하며, 양성 반응을 보이면 시상하부의 병변에 의한 것으로 판정한다.
3. 치 료
무월경의 치료는 원인 인자에 따라 치료하는 것이 원칙이다. 즉 만성 무배란이 원인인 경우 임신을 원하면 배란유도(ovulation induction, OI)를 시행하고, 임신을 원하지 않으면 피임약의 복용을 추천할 수 있다. 조기 난소부전증 환자에서는 만성적인 estrogen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 및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호르몬 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이 필요하며, 염색체 이상 특히 Y-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성선제거술을 시행한다. 이외에 각각의 원인 인자에 대한 특이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합당한 치료를 실시한다.
무월경은 임상에서 드물지 않게 접할 수 있은 증상으로서 진단을 위한 환자의 평가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하여야 하는 검사는 환자의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이다. 무월경의 진단시 유방 발육 및 자궁 유무로 구분하여 검사를 시행하거나, 부하검사 및 호르몬검사를 단계적으로 시행하여 원인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무월경 환자의 치료는 원인 인자에 따른 특이적 치료가 요구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4.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6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