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오네스코
1) 이오네스코의 연극세계
2) 작품
++ 대머리 여가수 ++
++ 의자들 ++
++ 코뿔소 ++
2. 사무엘 베케트
1) 사무엘베케트의 연극세계
2) 작품
++ 고도를 기다리며 ++
++ 연극 ++
3. 헤롤드핀터
1)헤롤드 핀터의 연극세계
▪침묵의 언어
2) 작품
+++ 배신 +++
+++ 생일 파티 +++
1) 이오네스코의 연극세계
2) 작품
++ 대머리 여가수 ++
++ 의자들 ++
++ 코뿔소 ++
2. 사무엘 베케트
1) 사무엘베케트의 연극세계
2) 작품
++ 고도를 기다리며 ++
++ 연극 ++
3. 헤롤드핀터
1)헤롤드 핀터의 연극세계
▪침묵의 언어
2) 작품
+++ 배신 +++
+++ 생일 파티 +++
본문내용
의 상태를 만듬.
2) 작품
+++ 배신 +++
<배신>은 독특한 구조와 내용을 갖고 있는 그의 중기 작품 중의 하나로 구조적으로는 연극이 현재에서 시작해서 9년 전의 과거에서 끝나는 구조로 모든 결과가 처음부터 보여지고 그 전과정을 관객들이 지켜봄으로써 하나하나 확인해 나가는 과정에서 핀터는 사실보다 더 진실한 배신의 실체를 해부한다. 이 작품은 영국 런던의 국립 극장에서 1978년11월 15일 영국 연출계의 거장 피터 홀의 연출로 초연되었다. 무대 장치가 1장에서 9장까지 9번의 전환이 필요한 작품이라 회전 무대를 이용했었다.
이 극은 flashback기법을 써서 현재에서 과거를 되짚어 보는 효과를 내었다. 불륜이 일어났고 일어나지 않고는 이미 처음부터 나와있다. 그래서 그다지 그런 사실은 중요하지 않다. 제리가 그의 가장 친한 친구의 아내와 불륜을 행했고 2장에서는 누가 누구를 배신했는지 나타나 있고 그 이후로는 배신이 어떻게 이루어줬는지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지금껏 미처 몰랐던 사실들을 알게 되면서 관객도 배신감을 느끼도록 한다.
관객은 이미 결말을 알기에 이것이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지켜보게 된다. 그래서 각 장마다 나오는 말이나 복선들을 잘 새기려고 노력하고, 어떻게 될 것인가 추측하고 극중 인물들의 행동을 주시한다.
flashback기법을 써서 다중적인 배신을 잘 나타낼 수 있었다. 만약 순차적인 구성이었다면 관객은 과정보다 결과에 더 치중을 두었을 것이다.
+++ 생일 파티 +++
생일 파티는 총체적인 인간존재의 불안감을 시적 이미지로 나타내고 있는 작품이다. 스탠리 웨버(Stanley Webber) 전직이 피아니스트인 30대 후반의 남자로 어느 한적한 해변의 하숙집으로 은신해 온다. 그는 외부인과의 접촉을 피하면서 집안에만 머문다. 그러나 스탠리를 추적해 오는 위협적인 외부의 힘이 나타난다. 그 힘의 주체는 유태인 골드버그(Goldberg) 와 아일랜드인 맥켄(McCann) 이다. 스탠리는 맥(Meg)이 그를 위해 열어준 생일 파티 도중 그들에게 정신병자로 취급되어 끌려나간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왜 스탠리가 세상으로부터 도피하려고 하는가?, 왜 골드버그와 맥켄이 스탠리를 추적하여 파멸시키는가? 하는 의문에 답을 찾을 수 없다. 은신처를 잃어버리고 언어기능마저도 상실하는 스탠리의 비극은 한 개인의 비극일 뿐 아니라 현대인의 존재상황에 대한 메타포인 것이다.
2) 작품
+++ 배신 +++
<배신>은 독특한 구조와 내용을 갖고 있는 그의 중기 작품 중의 하나로 구조적으로는 연극이 현재에서 시작해서 9년 전의 과거에서 끝나는 구조로 모든 결과가 처음부터 보여지고 그 전과정을 관객들이 지켜봄으로써 하나하나 확인해 나가는 과정에서 핀터는 사실보다 더 진실한 배신의 실체를 해부한다. 이 작품은 영국 런던의 국립 극장에서 1978년11월 15일 영국 연출계의 거장 피터 홀의 연출로 초연되었다. 무대 장치가 1장에서 9장까지 9번의 전환이 필요한 작품이라 회전 무대를 이용했었다.
이 극은 flashback기법을 써서 현재에서 과거를 되짚어 보는 효과를 내었다. 불륜이 일어났고 일어나지 않고는 이미 처음부터 나와있다. 그래서 그다지 그런 사실은 중요하지 않다. 제리가 그의 가장 친한 친구의 아내와 불륜을 행했고 2장에서는 누가 누구를 배신했는지 나타나 있고 그 이후로는 배신이 어떻게 이루어줬는지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지금껏 미처 몰랐던 사실들을 알게 되면서 관객도 배신감을 느끼도록 한다.
관객은 이미 결말을 알기에 이것이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지켜보게 된다. 그래서 각 장마다 나오는 말이나 복선들을 잘 새기려고 노력하고, 어떻게 될 것인가 추측하고 극중 인물들의 행동을 주시한다.
flashback기법을 써서 다중적인 배신을 잘 나타낼 수 있었다. 만약 순차적인 구성이었다면 관객은 과정보다 결과에 더 치중을 두었을 것이다.
+++ 생일 파티 +++
생일 파티는 총체적인 인간존재의 불안감을 시적 이미지로 나타내고 있는 작품이다. 스탠리 웨버(Stanley Webber) 전직이 피아니스트인 30대 후반의 남자로 어느 한적한 해변의 하숙집으로 은신해 온다. 그는 외부인과의 접촉을 피하면서 집안에만 머문다. 그러나 스탠리를 추적해 오는 위협적인 외부의 힘이 나타난다. 그 힘의 주체는 유태인 골드버그(Goldberg) 와 아일랜드인 맥켄(McCann) 이다. 스탠리는 맥(Meg)이 그를 위해 열어준 생일 파티 도중 그들에게 정신병자로 취급되어 끌려나간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왜 스탠리가 세상으로부터 도피하려고 하는가?, 왜 골드버그와 맥켄이 스탠리를 추적하여 파멸시키는가? 하는 의문에 답을 찾을 수 없다. 은신처를 잃어버리고 언어기능마저도 상실하는 스탠리의 비극은 한 개인의 비극일 뿐 아니라 현대인의 존재상황에 대한 메타포인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