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애 - 콩트 Comte, Auguste (1798. 1. 19. Montpellier ~ 1857. 9. 5. Paris)
그의 역사관
(1) 사회학 이론에 관하여
(2) 연구 방법론
관찰
실험
비교와 역사적 분석
(3) 사회학의 구조
사회 정학(靜學)
사회 동학(動學)
(4) 지식진보의 단계와 과학의 위계
가톨릭사상과 프로테스탄트 사상에 관한 그의 평가
콩트의 역사관- 마지막 고찰
그의 기독교에 대한 비판
그의 기독교와 세속적 미래주의의 삶에 대한 차이점
그의 역사관
(1) 사회학 이론에 관하여
(2) 연구 방법론
관찰
실험
비교와 역사적 분석
(3) 사회학의 구조
사회 정학(靜學)
사회 동학(動學)
(4) 지식진보의 단계와 과학의 위계
가톨릭사상과 프로테스탄트 사상에 관한 그의 평가
콩트의 역사관- 마지막 고찰
그의 기독교에 대한 비판
그의 기독교와 세속적 미래주의의 삶에 대한 차이점
본문내용
의 기준으로 집단이 아닌 개인을 삼는다. 그래서 전도라는 개념이 생겨난 것이다. 만약, 한 국가를 구원의 대상으로 삼는다면 전도라는 행위는 필요 없는 행위가 되어 버린다. 그러나,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 역사를 서술할 때에는 개인의 행위 대신, ‘인류’의 행위(여기서는 정치-政治)를 역사로 표현된다.
‘보편성’은 기독교적 역사관에도 존재한다. (구원은 집단 전체가 아닌, 개개인에게 모두 일어나므로.) 그러나, 그의 역사관은 기독교적 역사관의 주장하는 개인과는 인연을 끊었으므로, 신학적이지도 않다.(그의 역사관은 사회, 집단을 중심으로 바라보므로.)
그래서 그의 역사철학에는 모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성을 쉽게 이해하려면, 변증법적 모순을 이해해야 한다. -ex)사람은 사람을 살리려고(병원을 통해) 하지만, 사람을 죽이려고(무기 공장이나 군대)도 한다.
그가 말하는 진보도 모순을 가지기는 마찬가지이다. 진보는 새로운 형태의 타락도 가져올 수 있다.
개인의 죽음과 관련한 그의 진보사상에서 전제는 진보는 계속되는 세대들에 의해 그 수행자의 지속적 한 집단을 이끌어간다는 것이다. 한 집단을 이끌어 갈 주요인물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집단의 퇴보를 가져올 수 있다. -개인의 죽음이 퇴보를 가져오는 경우.
그러나 인간의 수명 길어질 경우, 연장자의 보수성과 연소자의 진보성의 갈등-진보의 속도는 떨어진다.
인간의 수명이 무한일 경우, 진보는 일어나지 않을 것.
인간의 수명이 줄어들 경우, 진보의 속도는 급격히 올라간다. 그러나 급격한 진보는 안정성을 주지 않으므로 불행하다. 그래서 사람의 수명은 지금의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콩트의 역사의식은 일차원적인 것이다. 역사의 무한한 실제성과 비인간적 이면서도 인간적인 특성은 역사의 다차원 성을 무시한다. 그의 역사관은 오직 한 방향으로의 진보만을 주장한다. x, y, z 축의 3차원 그래프가 아닌, x축만 있는 직선이 될 뿐이다. 그러나, 역사의 흐름은 다차원 적이기에 역사의 표면만 보았다고 비판받는다. -그의 역사관으로는 진보 뿐 아니라 퇴보도 일어나는 역사의 성격도, 실증적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일들도 일어나는 역사의 특성도 설명할 수 없다.
그의 이상적 미래상은 ‘사랑은=사회적 정감’ 아래서의 질서가 발전하여 질서와 진보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는 신이 없는 카톨릭 세계를 신뢰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추기경들의 선거로 교황을 뽑는 수장권도 ‘신의 섭리’가 아닌, 카톨릭이 사회와 타협할 필요성에 의한 것이다. 그는 신학적 신앙과 공허함, 독단성을 비판했다. 그러나, 진화와 인간성에 대한 신뢰도 일차원적인 관계로 그것의 독단성, 공허함을 간과했다.
그의 기독교에 대한 비판
기독교적 역사관에서 기독교가 인류의 최고 진화형태인 것은 그 자체의 진화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이므로 옳지 않다. 그러나, 그의 진화에 대한 신뢰도 일차원적인 진보에 관한 것은 기독교적이란 것과 그의 과학적 이성과 진보는 이성적 예견이 자연과학을 비롯한 어떤 곳에서도 해석의 시금석이 된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 그의 생각은 성경의 예언의 성취가 전통 성경의 해석에 시금석이 되듯, ‘이성적 예견’ 이 자연과학의 해석에서도 시금석이 된다는 주장이므로 이것도 기독교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기독교와 세속적 미래주의의 삶에 대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기독교에서 삶이란, 영원한 실제를 면대한 일정한 선택이며, 여호와에 대한 경외감을 가지면서 여호와의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라면,
세속적 미래주의의 경우, 순례자의 여정은 도달할 수 없는 무한한 전진이며, 진보를 신뢰한다. 절대적 존재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는 존재하지 않는다.
‘보편성’은 기독교적 역사관에도 존재한다. (구원은 집단 전체가 아닌, 개개인에게 모두 일어나므로.) 그러나, 그의 역사관은 기독교적 역사관의 주장하는 개인과는 인연을 끊었으므로, 신학적이지도 않다.(그의 역사관은 사회, 집단을 중심으로 바라보므로.)
그래서 그의 역사철학에는 모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성을 쉽게 이해하려면, 변증법적 모순을 이해해야 한다. -ex)사람은 사람을 살리려고(병원을 통해) 하지만, 사람을 죽이려고(무기 공장이나 군대)도 한다.
그가 말하는 진보도 모순을 가지기는 마찬가지이다. 진보는 새로운 형태의 타락도 가져올 수 있다.
개인의 죽음과 관련한 그의 진보사상에서 전제는 진보는 계속되는 세대들에 의해 그 수행자의 지속적 한 집단을 이끌어간다는 것이다. 한 집단을 이끌어 갈 주요인물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집단의 퇴보를 가져올 수 있다. -개인의 죽음이 퇴보를 가져오는 경우.
그러나 인간의 수명 길어질 경우, 연장자의 보수성과 연소자의 진보성의 갈등-진보의 속도는 떨어진다.
인간의 수명이 무한일 경우, 진보는 일어나지 않을 것.
인간의 수명이 줄어들 경우, 진보의 속도는 급격히 올라간다. 그러나 급격한 진보는 안정성을 주지 않으므로 불행하다. 그래서 사람의 수명은 지금의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콩트의 역사의식은 일차원적인 것이다. 역사의 무한한 실제성과 비인간적 이면서도 인간적인 특성은 역사의 다차원 성을 무시한다. 그의 역사관은 오직 한 방향으로의 진보만을 주장한다. x, y, z 축의 3차원 그래프가 아닌, x축만 있는 직선이 될 뿐이다. 그러나, 역사의 흐름은 다차원 적이기에 역사의 표면만 보았다고 비판받는다. -그의 역사관으로는 진보 뿐 아니라 퇴보도 일어나는 역사의 성격도, 실증적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일들도 일어나는 역사의 특성도 설명할 수 없다.
그의 이상적 미래상은 ‘사랑은=사회적 정감’ 아래서의 질서가 발전하여 질서와 진보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는 신이 없는 카톨릭 세계를 신뢰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추기경들의 선거로 교황을 뽑는 수장권도 ‘신의 섭리’가 아닌, 카톨릭이 사회와 타협할 필요성에 의한 것이다. 그는 신학적 신앙과 공허함, 독단성을 비판했다. 그러나, 진화와 인간성에 대한 신뢰도 일차원적인 관계로 그것의 독단성, 공허함을 간과했다.
그의 기독교에 대한 비판
기독교적 역사관에서 기독교가 인류의 최고 진화형태인 것은 그 자체의 진화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이므로 옳지 않다. 그러나, 그의 진화에 대한 신뢰도 일차원적인 진보에 관한 것은 기독교적이란 것과 그의 과학적 이성과 진보는 이성적 예견이 자연과학을 비롯한 어떤 곳에서도 해석의 시금석이 된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 그의 생각은 성경의 예언의 성취가 전통 성경의 해석에 시금석이 되듯, ‘이성적 예견’ 이 자연과학의 해석에서도 시금석이 된다는 주장이므로 이것도 기독교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기독교와 세속적 미래주의의 삶에 대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기독교에서 삶이란, 영원한 실제를 면대한 일정한 선택이며, 여호와에 대한 경외감을 가지면서 여호와의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라면,
세속적 미래주의의 경우, 순례자의 여정은 도달할 수 없는 무한한 전진이며, 진보를 신뢰한다. 절대적 존재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는 존재하지 않는다.
추천자료
낭만주의 발생의 사회적 조건
인간과 사회 요약
낭만주의
비평이론의 종류와 그 이론에 대하여
[자연주의]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 작가와 작품, 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와 사실주의(사실주...
[기능주의 갈등주의]기능주의와 갈등주의에 입각한 사회문제 설명, 사회문제에 대한 기능주의...
(방송)텔레비전 모니터 종합 보고서
관계의 재구성 감상문
[자연주의][자연주의 교육철학]자연주의와 사실주의, 자연주의의 개념, 자연주의의 발생배경,...
사회학 선구자들
사회학
기능주의적 관점과 갈등주의적 관점을 비교 서술하시오. - 비교분석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예를 들고 비...
교육사회학의 기능론적 관점